KR20020000297A - 전화기용 한글 입력방식 - Google Patents

전화기용 한글 입력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297A
KR20020000297A KR1020000034622A KR20000034622A KR20020000297A KR 20020000297 A KR20020000297 A KR 20020000297A KR 1020000034622 A KR1020000034622 A KR 1020000034622A KR 20000034622 A KR20000034622 A KR 20000034622A KR 20020000297 A KR20020000297 A KR 20020000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s
hangul
input method
vowel
length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효성
Original Assignee
배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효성 filed Critical 배효성
Priority to KR102000003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0297A/ko
Publication of KR2002000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2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용 한글 자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의 숫자판 (0∼9)에 자음 19자, 대표 모음 3자("ㅏ","ㅣ","ㅓ")를 사용하여 모든 한글을 구현 가능하게 하고, 기존의 어느 한글 입력 방식보다 입력이 편하고, 버튼 누름 횟수도 적은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화기용 한글 입력방식{.}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시장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문자 메시지 시장, 인터넷 시장에 있어서 보다 나은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휴대폰 사용에 더욱 더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전화기용 한글 자판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에 설치된 0에서 9까지 10개의 숫자판에 자음 부분은 종래의 방식처럼 한글 자음의 특성에 나타난 관련 자음끼리 묶어서(3개정도씩 ㄱ-ㄲ-ㅋ )7개의 숫자키에 할당을 하였으며, 모음 부분은 대표 모음 3개 "ㅏ" "ㅣ" "ㅓ" 의 회전 및 조합을 통하여 구현한다. 본 발명의 주요 관심 사항은 한글 모음의 가장 효과적인 구현에 있다.
기존의 방식들은 한글 모음을 대부분 전화기 자판에 새겨 넣어서 자판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입력에 있어서도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이를 크게 개선한 것이 삼성전자에서 나온 "천지인" 이라는 입력 방식이지만 천지인도 복잡한 모음이나 이중 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하나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키를 최대 5회나 눌러야 하는 (ㅙ,ㅞ 의 경우) 약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한글 모음의 좀 더 체계적인 분석 및 연구를 통해 나온 것으로써 모든 모음을 입력할 시에 키누름 횟수가 천지인의 그것과 같거나 2회까지 적게 눌러도 된다. 같은 내용의 한글을 입력시에 삼성의 천지인보다 키누름 횟수에서 약 20% 이상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
한글은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 발명은 한글의 입력 방법중에서도 특히 모음의 입력 방식에 관한 발명이라 하겠다. 위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대표 모음인 "ㅏ" "ㅣ" "ㅓ"를 이용하여 한글의 표현 가능한 모든 모음을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모음 구현 방식을 낱낱이 설명하기에 앞서 한글 모음의 특성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알아두어야 한다. 한글 모음은 크게 삼성전자의 천지인의 그것처럼 "ㅣ" "ㅡ" "ㆍ"로 구성된다. 그리고 한글에서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이라는 것이 있어서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끼리는 한 글자를 이루는 모음이 될 수 없다. "왕"은 되지만 " 우ㅏㅇ" 과 같은 한글의 조합은 일어날 수 없다. 발음도 불가능하다. 그리고 "ㅣ"를 기반으로 구성된 모음은 많지만 "ㅡ"를 기반으로 구성된 글자는 "ㅗ, ㅛ, ㅜ, ㅠ, ㅡ" 이렇게 5글자밖에 없다. 이러한 한글 모음의 특성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모음 입력 방식을 만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자판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에 의해서 모든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아래의 표는 한글에서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키 누름 순서 및 횟수로 나타내어 완성한 것이다. 표현상의 편의를 위해서 "ㅏ"를 A, "ㅣ"를 B, "ㅓ"를 C로 나타내며 키패드를 보통 누르는 것은 표시를 생략하고, 길게는 약 0.6초간 키를 누르고 있는 것이며, 연속 누르기는 시간의 큰 간격(2∼3초) 없이 키패드를 누르는 것을 말한다.
위의 표를 보충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A를 길게 누르면 "ㅏ"가 "ㅗ"로 변한다. 거기에다가 "ㅣ","ㅏ","ㅐ"를 붙여서 이중 모음을 만드는 것이다. C를 길게 누르면 "ㅓ"가 "ㅜ"로 변한다. 거기에다가 "ㅣ","ㅓ","ㅔ"를 붙여서 이중 모음을 만든다. "ㅛ"는 "ㅑ"를 만들어 그 글자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A를 두 번 누르되 뒤에를 길게 눌러서 회전을 시키는 것이다. "ㅠ"는 "ㅕ"를 만들어 그 글자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C를 두 번 누르되 뒤에를 길게 눌러서 회전을 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글에서 모든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ㅏ"가 "ㅗ"로 "ㅓ"가 "ㅜ"로 변하도록 한 것은 앞에서 언급한 한글의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의 존재 때문이다. 이렇게 배열을 함으로서 이중 모음을 입력시에 한 키패드에서 간단하게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들의 사용을 더욱 쉽게 만드는 요인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면 모든 모음의 조합들을 입력할 때 적게는 한 번, 많아도 세 번 만 (천지인의 경우 최소 한 번, 최대 5번) 키패드를 누르면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은 천지인과의 모음 키누름 횟수 비교표이다.
위의 표에서처럼 모든 종류의 모음을 누를 때 천지인보다 평균적으로 1번 정도를 적게 눌러도 된다. 한글은 글자마다 모음이 있으므로 글자 당 1회 정도의 타수를줄일 수 있음을 뜻하는 결과이다. 이는 20% 이상의 타수를 줄이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문자 메시지 같은 기능을 이용하거나, 앞으로 나올 인터넷폰 등을 이용할 때 빠른 한글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에 능률을 향상시킬 것이다.
.

Claims (1)

  1.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ㅏ","ㅣ","ㅓ" 나 "ㅗ","ㅜ","ㅡ" 와 같은 3개의 버튼으로 모든 한글 모음을 구현할 수 있는 조합의 모음 구성.
KR1020000034622A 2000-06-22 2000-06-22 전화기용 한글 입력방식 KR20020000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622A KR20020000297A (ko) 2000-06-22 2000-06-22 전화기용 한글 입력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622A KR20020000297A (ko) 2000-06-22 2000-06-22 전화기용 한글 입력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297A true KR20020000297A (ko) 2002-01-05

Family

ID=1967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622A KR20020000297A (ko) 2000-06-22 2000-06-22 전화기용 한글 입력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029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987A (ko) * 1996-08-06 1998-05-15 신종훈 텐키를 이용한 한글신호입력방법
KR19980043544A (ko) * 1996-12-03 1998-09-05 이부균 전화기용 한글자판
KR19980067883A (ko) * 1997-02-13 1998-10-15 유기범 전화단말기의 한글문자입력장치
KR20010091356A (ko) * 2000-03-14 2001-10-23 이경도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10113193A (ko) * 2000-06-16 2001-12-28 박만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시스템의 키보드 조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987A (ko) * 1996-08-06 1998-05-15 신종훈 텐키를 이용한 한글신호입력방법
KR19980043544A (ko) * 1996-12-03 1998-09-05 이부균 전화기용 한글자판
KR19980067883A (ko) * 1997-02-13 1998-10-15 유기범 전화단말기의 한글문자입력장치
KR20010091356A (ko) * 2000-03-14 2001-10-23 이경도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10113193A (ko) * 2000-06-16 2001-12-28 박만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시스템의 키보드 조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3444A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20000297A (ko) 전화기용 한글 입력방식
CN100464285C (zh) 手机码手机输入平台
KR20010106807A (ko)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JP3071704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77416B1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200500139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20000054571A (ko) 휴대전화기 숫자판에서의 한글입력법
KR20040069231A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03531B1 (ko) 문자입력장치
KR19980044150A (ko) 전화 자판키 문자 입력 시스템
KR100231945B1 (ko) 한글.영문자 조합장치 및 조합방법
KR200600622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JP3082298U (ja) ダイヤルを使った小型日本語入力キーボード構成
KR20000060607A (ko)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KR20070062702A (ko) 부호를 이용한 핸드폰 영문 입력 시스템
KR1006867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하는 알파벳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