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249A -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249A
KR20020000249A KR1020000034198A KR20000034198A KR20020000249A KR 20020000249 A KR20020000249 A KR 20020000249A KR 1020000034198 A KR1020000034198 A KR 1020000034198A KR 20000034198 A KR20000034198 A KR 20000034198A KR 20020000249 A KR20020000249 A KR 20020000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ain
outer tub
washing mach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857B1 (ko
Inventor
류재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8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측의 수압에 의해 기기 밖으로 세탁수가 튀어나오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기기의 오작동을 미연에 제거시키고, 기기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세탁기의 배수구측 구조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 내에 설치되고 하단부에 배수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의 외측 둘레에 물받이가 형성된 아웃터브와,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와, 상기 인너터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웃터브의 상부로 뛰어오르는 세탁수를 다시 아웃터브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물받이의 일측과 상기 배수구에 체결되는 배수관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호스와, 상기 인너터브의 회전시 발생되는 유속이 상기 배수구측에서 증가되도록 하여 배수구측의 수압이 감소되도록 일단이 상기 배수관의 일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호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아웃터브 내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배수구의 중심부를 지나도록 설치된 유관이 포함되어 구성된 전자동 세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Over flow prevention device for a automatic washer}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더러워진 세탁물을 세탁-헹굼-배수-탈수행정을 수회 반복하면서 세탁을 행하는 기기로서, 그 편리성 때문에 일반가전의 필수용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투과식 세탁기는 본체(1)와, 상기 본체 내에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해 고정설치된 상부개방형의 원통형 아웃터브(2)와, 상기 아웃터브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3)와, 상기 인너터브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인너터브와 함께 회전하는 세탁날개(4)와, 상기 아웃터브의 상단(2a)에 체결된 도너츠 형상의 터브카바(5)와, 상기 인너터브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6)으로 대별된다.
이와 더불어, 배수시 세탁수가 기기 밖으로 나가도록 상기 아웃터브의 하단부(2b)에는 배수구(2c)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시 아웃터브 개방부(2d)로 세탁수 또는 거품이 넘쳐 기기 밖으로 흘러내리거나, 아웃터브(2)와 터브카바(5)로 세탁수가 새어 기기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아웃터브의 외부 둘레를 따라 단면이 "ㄴ"자 형상을 한물받이(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물받이(7)의 물이 상기 배수구(2c)로 흘러가도록 상기 물받이의 일측 하단부와 상기 배수구가 호스(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투과식 세탁기는 세탁행정과 헹굼행정 그리고 배수행정을 반복하여, 탈수행정을 끝으로 모든 작동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투과식 세탁기의 제일 특징이 되는 투과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행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투과식 세탁기는 세탁날개(4)와 인너터브(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수단(6)에 의해 상기 인너터브가 고속회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의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인너터브(3) 내의 세탁수는 세탁물을 투과하면서 때를 제거한 후, 상기 아웃터브(2)로 이동되고, 상기 아웃터브의 내벽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아웃터브(2) 상부에는 상기 터브카바(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세탁수는 상부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상기 터브카바를 따라 다시 상기 인너터브(3) 내부로 낙하되며,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탁수가 세탁물을 투과하여 아웃터브(2)의 내벽을 따라 이동시, 상기 터브카바(5)와 상기 아웃터브 사이로 새어 나오는 세탁수와, 상기 아웃터브의 상단 개방부(2d)로 세탁물과 부딪쳐서 튀어오르는 세탁수와,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의 상단 개방부로 넘쳐나는 거품이 상기 물받이(7)로 이동된다.
그 후, 이동된 세탁수 및 거품은 상기 호스(8)를 따라 아웃터브(2)에 형성된 배수구(2c)로 이동되어, 결국 상기 세탁수가 외부로 새지 않게 되어 누수로 인한 기기의 피해를 줄여줄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세탁행정인 투과 세탁시 인너터브(3)의 고속회전으로 발생되는 수류의 압력이 상기 세탁수에 미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세탁수는 상기 세탁물을 투과하여 아웃터브(2)의 내벽을 따라 아웃터브의 상부로 상승된 후 다시 인너터브(3)로 떨어지면서 투과 세탁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기 수류의 압력을 받은 세탁수가 상기한 배수구(2c)측으로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상기 배수구(2c)로 상당한 수류의 압력이 미치게 됨에 따라, 상기 세탁수가 배수구로 이동되는 힘을 받게됨과 동시에 상기 호스(8)로 이동되는 힘을 받아 압력이 낮은 상기 물받이(7) 쪽으로 세탁수가 이동된다.
결국, 세탁수가 상기 물받이(7)로 역류된다. 즉, 상기 물받이가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오히려 상기 물받이로 세탁수가 빠져 나오게 된다(도 1의 물받이부에 나타난 화살표 참조).
따라서, 본체(1)와 아웃터브(2) 사이에 위치된 기기의 부품들(도시생략)이 상기 세탁수에 노출되어, 상기 부품들이 빨리 노후됨에 따라 기기의 수명이 단축되고, 기기가 오작동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본체(1) 하부로 상기 세탁수가 흘러나오게 되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배수구측의 수압에 의해 기기 밖으로 세탁수가 튀어나오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기기의 오작동을 미연에 제거시키고, 기기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세탁기의 배수구측 구조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투과식 세탁기의 구조 및 투과 세탁시 발생되는 세탁수의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배수구측인 도 1의 "A"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투과 세탁시 세탁수의 흐름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배수구측인 도 1의 "A"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투과 세탁시 세탁수의 흐름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수구측인 도 1의 "A"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투과 세탁시 세탁수의 흐름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아웃터브
2c: 배수구 3: 인너터브
7: 물받이 8: 호스
10: 배수관 20: 유관
22: 유관의 타단 30: 아웃터브의 내부 바닥면
40: 인너터브의 하단부 50: 돌출편
60: 가이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체 내에 설치되고 하단부에 배수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의 외측 둘레에 물받이가 형성된 아웃터브와,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와, 상기 인너터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웃터브의 상부로 뛰어오르는 세탁수를 다시 아웃터브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물받이의 일측과 상기 배수구에 체결되는 배수관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호스와, 상기 인너터브의 회전시 발생되는 유속이 상기 배수구측에서 증가되도록 하여 배수구측의 수압이 감소되도록 일단이 상기 배수관의 일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호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아웃터브 내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배수구의 중심부를 지나도록 설치된 유관이 포함되어 구성된 전자동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내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배수구측인 도 1의 "A"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투과 세탁시 세탁수의 흐름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언급된 구성요소의 명칭이 종래기술과 동일하면 동일부호를 붙이되,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것은 도 1을 참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단부(2b)에 배수구(2c)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2a)의 외측 둘레에 물받이(7)가 형성된 아웃터브(2)가 본체(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아웃터브 내에는 인너터브(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터브(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웃터브의 개방부(2d)로 뛰어오르는 세탁수를 다시 아웃터브(2)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물받이(7)의 일측과 상기 배수구(2c)에 체결되는 배수관(10)의 일측이 호스(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인너터브(3)의 회전시 발생되는 유속이 상기 배수구(2c)측에서 증가되도록 하여 배수구측의 수압이 감소되도록, 일단(21)이 상기 배수관(10)의 일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호스(8)에 연결되고, 타단(22)이 상기 아웃터브(2) 내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배수구의 중심부를 지나도록 설치된 유관(流管)(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관(20)의 타단은, 상기 아웃터브(2)의 표면과 상기 인너터브(3)의 표면에 의해 세탁수가 받는 점성이 최소화되는 지점인, 상기 아웃터브(2)의 내부 바닥면(30)보다 높고 상기 인너터브의 하단부(4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시 아웃터브(2)의 물이 상기 유관(20)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배수구(2c)로 완전히 배수되도록 상기 유관의 외경이 상기 배수구의 내경보다작도록 함이 바람직한다.
또한, 상기 인너터브(3)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상기 유관(2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관은 상기 배수관(10)의 일측에 연통되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동작 및 역할을 수행한다.
투과 세탁시, 상기 인너터브(3)가 고속회전을 함에 따라 발생되는 수류의 압력에 의해 세탁수는 세탁물을 투과하여 아웃터브(2)의 내벽을 따라 상부로 상승된 후 다시 인너터브로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아웃터브(2)는 상당한 수압을 받게되며, 특히 구조적으로 수압에 약한 배수구(2c)측으로 수압이 크게 작용되어 세탁수가 배수구로 이동됨과 동시에 물받이(7)를 통해 외부로 튀어나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 이유는 배수구(2c)와 연통되어 있는 물받이(7)측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상대적으로 배수구측에서의 수압의 크기가 상기 외부압의 크기보다 크게 되어 압력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세탁수가 이동되는 일반적인 현상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배수구(2c)측의 압력을 상기 외부압보다 작게 하여 상기한 일반적인 현상을 다시 이용하고자 한 것이다.
즉, 상기 유관(20) 중 아웃터브 내에 위치된 타단부(22)에 미치는 수압의 크기를 상기 외부압의 크기보다 작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타단부(22)의 유속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된다.
그 이유는 베르누이(Bernoulli) 방정식에서 알 수 있듯이, 유관의타단부(22)에 미치는 유속이 증가되면, 유관의 타단부의 수압이 감소되는 원리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유관의 타단부(22)에 미치는 유속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유관의 타단부 위치가 아웃터브의 내부 바닥면(30)보다 높고 인너터브의 하단부(40)보다 낮은 조건의 범위에 설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아웃터브(2)의 표면과 상기 인너터브(3)의 표면으로 갈수록 상기 표면에 의해 세탁수가 받는 점성이 커져 유속이 감소되기 때문에, 점성이 영향이 제일 적은 위치를 상기 조건에서 찾아내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한편, 상기 유관의 타단부(22) 위치가 상기 조건의 범위 내에 설치되게 되면, 아웃터브 내에 세탁수가 배수구(2c)를 통해 배수될 때 상기 유관(20)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즉, 유관의 타단부(22)가 상기 아웃터브의 내부 바닥면(30) 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면, 아웃터브(3) 내에 있는 세탁수가 배수될 때, 상기 유관(20)이 세탁수의 흐름을 방해함과 동시에 아웃터브의 내부 바닥면(30)에서 올라온 유관의 높이만큼 세탁수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관(20)의 외경이 상기 배수구(2c)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유관과 상기 배수구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배수시 상기 아웃터브(2) 내에 있는 세탁수를 완전히 제거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 투과 세탁시 인너터브(3)가 고속회전을 하고 상기 유관의 타단부(22)가 유속이 큰 범위 내에 위치됨에 따라, 유관(20)의 위치가 유속에 의해이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유관(20)의 위치가 이동되면, 유관의 타단부(22)에 미치는 유속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므로 유관의 타단부에 미치는 수압 또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관(20)은 상기 배수관(10)의 일측에 연통됨과 동시에 확실히 고정되도록 상기 배수관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수구측인 도 1의 "A"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투과 세탁시 세탁수의 흐름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관의 타단부(22)에 미치는 유속의 크기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 유관의 타단부에는, 타단(22)의 외경을 따라 소정크기로 형성되되, 위로 행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편(5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볼록부에 상응하도록 아래로 향해 볼록한 형상을 하되, 상기 돌출편과 소정거리를 두어 장착된 가이드편(6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유관(20)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아웃터브(2)와 인터터브(3) 사이의 공간은 세탁수가 통과되는 일종의 관이라고 볼수 있음에 따라, 상기와 같이 돌출편(50)과 가이드편(60)을 이용하여 관의 단면적을 줄임에 따라 상기 유관의 타단부(22)를 지나는 세탁수의 속도가 증가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유관의 타단부에 미치는 수압의 크기를 감소시켜 상기한 외부압의 크기보다 작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물받이측으로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시킴에 따라 세탁수가 본체와 아웃터브 사이에 위치된 기기의 부품들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들이 세탁수에 의해 노후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기기의 수명이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세탁수가 전기를 요하는 부품에 침투되어 발생되는 기기의 오작동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체 하부로 상기 세탁수가 흘러나오게 않게 되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한 모든 효과를 다 포함한다.

Claims (5)

  1. 본체 내에 설치되고, 하단부에 배수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의 외측 둘레에 물받이가 형성된 아웃터브와,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와,
    상기 인너터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웃터브의 상부로 뛰어오르는 세탁수를 다시 아웃터브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물받이의 일측과 상기 배수구에 체결되는 배수관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호스와,
    상기 인너터브의 회전시 발생되는 유속이 상기 배수구측에서 증가되도록 하여 배수구측의 수압이 감소되도록, 일단이 상기 배구관의 일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호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아웃터브 내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배수구의 중심부를 지나도록 설치된 유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의 타단은;
    상기 아웃터브의 표면과 상기 인너터브의 표면에 의해 세탁수가 받는 점성이 최소화되는 지점인, 상기 아웃터브의 내부 바닥면보다 높고 상기 인너터브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의 타단부에 미치는 유속의 크기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유관의 타단 외경을 따라 소정크기로 형성되되, 위로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볼록부에 상응하도록 아래로 향해 볼록한 형상을 하되, 상기 돌출편과 소정거리를 두어 장착된 가이드편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의 외경이 상기 배수구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여 배수시 아웃터브의 물이 상기 유관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배수구로 완전히 배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터브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상기 유관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관이 상기 배수관의 일측에 연통되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KR1020000034198A 2000-06-21 2000-06-21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 KR10036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98A KR100362857B1 (ko) 2000-06-21 2000-06-21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98A KR100362857B1 (ko) 2000-06-21 2000-06-21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249A true KR20020000249A (ko) 2002-01-05
KR100362857B1 KR100362857B1 (ko) 2002-12-11

Family

ID=1967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198A KR100362857B1 (ko) 2000-06-21 2000-06-21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8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51B1 (ko) * 2005-07-19 2007-04-1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CN106574416A (zh) * 2014-08-28 2017-04-19 Lg 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机
CN108360217A (zh) * 2018-04-26 2018-08-03 钟剑 一种内筒封闭的水力搅拌洗衣机的洗衣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002Y1 (ko) * 1997-05-29 1999-11-15 전주범 세탁기용 세탁조의 가이드 휠터
KR19990009464U (ko) * 1997-08-22 1999-03-15 전주범 세탁기의 급수구 감압밸브
KR200158954Y1 (ko) * 1997-09-29 1999-10-15 구자홍 드럼세탁기 냉,온수분배기의 역류방지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51B1 (ko) * 2005-07-19 2007-04-1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CN106574416A (zh) * 2014-08-28 2017-04-19 Lg 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机
US10208421B2 (en) 2014-08-28 2019-02-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6574416B (zh) * 2014-08-28 2020-01-10 Lg 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机
CN108360217A (zh) * 2018-04-26 2018-08-03 钟剑 一种内筒封闭的水力搅拌洗衣机的洗衣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857B1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07742A (ja) 節水洗濯機の内槽
KR10036285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역류방지 장치
KR20070107952A (ko) 세탁기
KR100362858B1 (ko) 세탁기의 터브커버
KR100935923B1 (ko) 세탁기의 터브커버 구조
KR100441097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유출 방지 구조
JP2022542636A (ja) 洗濯機
KR100685980B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유로 케이싱
KR20010088212A (ko) 드럼세탁기
KR101010692B1 (ko) 드럼 세탁기
KR100362859B1 (ko) 세탁기 터브커버의 역류방지구조
US4205540A (en) Washing machine additive dispenser with siphon starter
KR100207063B1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100223801B1 (ko) 드럼세탁기의 분사노즐 구조
KR100305057B1 (ko) 세탁기
KR100192292B1 (ko) 드럼 세탁기의 간헐 탈수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00043377A (ko) 직접구동방식 무공벽세탁기의 세탁수 넘침방지 구조
KR20000033976A (ko) 세탁기
KR20000065940A (ko) 투과세탁기용 세탁외조의 오버플로우 구조
KR100315772B1 (ko) 원심 배수형 세탁기
KR100353030B1 (ko) 세탁기
KR20060004133A (ko) 드럼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KR200204742Y1 (ko) 세탁기
KR200144004Y1 (ko) 전자동 세탁기
KR19980036757A (ko) 세탁기의 수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