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937Y1 -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937Y1
KR200199937Y1 KR2020000009912U KR20000009912U KR200199937Y1 KR 200199937 Y1 KR200199937 Y1 KR 200199937Y1 KR 2020000009912 U KR2020000009912 U KR 2020000009912U KR 20000009912 U KR20000009912 U KR 20000009912U KR 200199937 Y1 KR200199937 Y1 KR 200199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cooking
hand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2020000009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남비 등 음식조리용기의 뚜껑 결합장치를 개선하여 조리 도중 남비뚜껑의 이탈방지 또는 뜨거운 남비를 옮길 때 손잡이 부분을 양손으로 들지 않고도 뚜껑 손잡이만을 쉽게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용기 취급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용기 입구 내경이 하부보다 약간 좁게 형성된 용기본체(1)에 뚜껑(2) 및 주손잡이(6)가 고정힌지(7)에 의해 착설된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뚜껑(2)의 결합부(2a) 외측에 수개의 후크핀(4)을 돌설하여 이 후크핀(4)들이 용기본체(1)의 상측내주연(1a)에 요설한 수직요홈(5)에 삽입되어 그 회전에 따라 뚜껑(2)을 홀딩하도록 한 구성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A combining device potlid for cooking}
본 고안은 주방용 남비 등 음식조리용기의 뚜껑 결합장치를 개선하여 조리 도중 남비뚜껑의 이탈방지 또는 뜨거운 남비를 옮길 때 손잡이 부분을 양손으로 들지 않고도 뚜껑 손잡이만을 쉽게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용기 취급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종래의 주방용기나 음식조리용기는 단순히 용기에 뚜껑을 안치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의 후킹(hooking)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아니하여 용기의 운반 시 항상 양손을 사용하여 들어 옮겨야 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조리 도중 뚜껑을 닫은 상태를 지속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의 걸림장치가 없어 음식을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없으며, 증기압 등에 의한 안전성면에서도 뚜껑장치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매우 간단한 장치로서 용기 뚜껑을 용기 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이 용이하게 하여 필요시 용기 뚜껑을 용기에 홀딩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의 편리함과 취급성 및 안전성을 높이고 또한 용기 손잡이를 종래의 고정된 형태에서 몸체쪽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시에 용기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뚜껑의 걸림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손잡이 축설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용기본체 1a:상측내주연
2:뚜껑 2a:결합부
3:손잡이 4:후크핀
5:수직요홈 6:주손잡이
7:고정힌지 8:핀축
9:걸림턱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것이다.
입구부가 내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 알미늄제의 용기본체(1)에 손잡이(3)가 달린 뚜껑(2)을 결합하고 양측면에는 주손잡이(6)를 고정힌지(7) 및 핀축(8)에 의해 결합한 통상의 남비 구조에 있어서,
용기본체(1)의 상측내주연(1a)에 2개 내지 3개의 수직요홈(5)을 요입형성하고 뚜껑(2)의 결합부(2a)에는 후크핀(4)을 상기 수직요홈(5)과 일치되는 부위에 돌설하여 이 후크핀(4)이 수직요홈(5)을 통하여 들어감으로써 뚜껑(2)이 용기본체(1)에 닫혀지고 닫혀진 상태에서 뚜껑(2)을 약간 돌려서 수직요홈(5)으로부터 타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후크핀(4)이 용기본체(1)의 상측주연부(1a)에 걸려서 뚜껑(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주손잡이(6)의 고정힌지(7)는 스테인레스 금속제로 형성하여 내향 탄력을 갖도록 하고 주손잡이(6)를 핀축(8)으로 경사조절이 자재롭게 축설하며 고정힌지(7)의 후방에는 걸림턱(9)을 돌설하여 주손잡이(6)의 경사 조절시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주로 주방용 남비류에 적용하게 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조리용 용기 이외에도 타용도의 뚜껑 달린 용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주방용 냄비에 적용하였으며 이의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뚜껑(2)은 결합부(2a)에 후크핀(4)이 3방형(2방향 또는 4방향 등 용도에 따라 개수를 조정 설치할 수 있다)으로 돌설되어 있고, 이 후크핀(4)은 수직요홈(5)을 통해서만 용기본체(1)와 결합되므로 뚜껑(2)을 닫을 시에는 상기 수직요홈(5)에 후크핀(4)이 일치되도록 하여 닫아준 다음 뚜껑(2)을 측면으로 약간 돌려 준다.
이렇게 되면 뚜껑(2)이 닫힌 상태에서 후크핀(4)이 수직요홈(5)으로 부터 벗어나 용기본체(1)의 상측내주연(1a)쪽으로 위치되므로 결국 상측내주연(1a)의 내경이 뚜껑(2)측 후크핀(4) 상호간의 외경보다도 작은 오목 용기타입이어서 뚜껑(2)은 전체적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내주연(1a)에 후크되어 이탈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 조리를 하게 되면 음식물이 끓어 넘치더라도 뚜껑(2)이 이탈하지 않게 되고 [일부 증기는 수직요홈(5)을 통해 배출되므로 증기압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음] 또한 음식 조리가 끝난 후 남비전체를 들어 옮길 시에도 손잡이(3)만 들어주면 용기본체(1)가 전체적으로 홀딩되어 들어 올려지므로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뚜껑(2)을 개방할 시에는 손잡이(3)를 잡고 위로 약간 들어 주면서 측면으로 가볍게 돌려주면 후크핀(4)이 수직요홈(5)에 일치되는 순간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뚜껑(2)이 전체적으로 개방이 되는 것이다.
특히 후크핀(4)은 돌출상태가 낮으므로 뚜껑(2)의 세척이나 취급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주손잡이(6)는 고정힌지(7) 및 핀축(8)에 의해 용기본체(1)쪽으로 절 첩하거나 외측으로 전개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시에는 전개상태로 두었다가 운반보관할 시는 용기본체(1)쪽으로 접어 붙어두면 부피가 작아져 취급성이 양호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9)은 주손잡이(6)의 절첩전개 상태를 홀딩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되어 전개상태나 절첩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① 뚜껑(2)을 용기본체(1)에 대해 걸림상태와 자유상태를 선택하여 여닫을 수 있으므로 조리용도나 운반보관에 부합되도록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② 조리직후 뜨거운 용기본체(1)를 뚜껑(2)쪽 손잡이(3)만을 잡고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과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③ 후킹구조가 아주 간단하고 뚜껑(2)을 약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결합상태가 조정되므로 작동방법이 간단하다.
④ 주손잡이(6)는 가변식으로 횐전각도가 조절되므로 용기의 전체적인 사용과 운반보관이 편리하다.
⑤ 각 구성의 구조에 특별한 곤란성이나 코스트 상승용인이 적으므로 기존의 용기에 비해 원가가 크게 높지 않으면서 실용적인 용기 구성을 널리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용기 입구 내경이 하부보다 약간 좁게 형성된 용기본체(1)에 뚜껑(2) 및 주손잡이(6)가 고정힌지(7)에 의해 착설된 통상의 남비 구조에 있어서,
    뚜껑(2)의 결합부(2a) 외측에 수개의 후크핀(4)을 돌설하여 이 후크핀(4)들이 용기본체(1)의 상측내주연(1a)에 요설한 수직요홈(5)를 통해 삽입되어 그 회전에 따라 뚜껑(2)을 홀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주손잡이(6)를 고정힌지(7)의 핀축(8)에 경사 조절되게 축설하여 걸림턱(9)에 의해 상기 주손잡이(6)의 경사도가 선택적으로 스토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KR2020000009912U 2000-04-07 2000-04-07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KR200199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912U KR200199937Y1 (ko) 2000-04-07 2000-04-07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912U KR200199937Y1 (ko) 2000-04-07 2000-04-07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937Y1 true KR200199937Y1 (ko) 2000-10-16

Family

ID=1965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912U KR200199937Y1 (ko) 2000-04-07 2000-04-07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9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79Y1 (ko) * 2010-05-27 2012-10-19 박정 냄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79Y1 (ko) * 2010-05-27 2012-10-19 박정 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901B2 (en) Foldable handle for a cook-pot
US5829342A (en) Cooker assembly
US10362891B2 (en) Pressure-cooking utensil provided with a locking/unlocking control member that operates asymmetrically
JP2013154215A (ja) 係止/係止解除兼用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JP2005500209A5 (ko)
CN109835599A (zh) 用于饮料容器的盖
CA2421252A1 (en) Detachable device for gripping, lifting, handling and tilting cooking utensils with two handles
KR200199937Y1 (ko) 주방용 남비의 뚜껑 결합장치
KR101131001B1 (ko)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KR102101776B1 (ko)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US20160095467A1 (en) Handle and Container with Handle
KR101165816B1 (ko) 조리용기
WO2014012298A1 (zh) 一种旋压倒水锅
KR200341650Y1 (ko) 조리 용기
US6588323B1 (en) Self-locking device for positioning an opened container lid
CN219125962U (zh) 一种锅身及带有该锅身的汤锅
US2329422A (en) Camp kit
JP3230781U (ja) 調理容器の蓋
WO2011104651A1 (en) Lid for pot
JPH08243014A (ja) 断熱調理容器
JP3237211U (ja) 調理容器の蓋
KR101545297B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손잡이
KR102462024B1 (ko) 용기 받침장치
KR200269343Y1 (ko) 한 손으로 들 수 있는 냄비
CN220557567U (zh) 一种杯子及其杯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