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482Y1 - 탄산 음료병 - Google Patents

탄산 음료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482Y1
KR200199482Y1 KR2020000012673U KR20000012673U KR200199482Y1 KR 200199482 Y1 KR200199482 Y1 KR 200199482Y1 KR 2020000012673 U KR2020000012673 U KR 2020000012673U KR 20000012673 U KR20000012673 U KR 20000012673U KR 200199482 Y1 KR200199482 Y1 KR 200199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ttle
beverage
control line
bottle
resi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백희
Original Assignee
원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백희 filed Critical 원백희
Priority to KR2020000012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탄산 음료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병의 내부에 삽입되어 음료가 담기는 얇은 수지 봉지를 이용하여 탄산 음료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탄산음료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음료병(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음료병(10)의 병입구(11)에 음료투입구(21)가 결합되어 음료가 담기는 얇은 수지 봉지(20)와; 상기 수지 봉지(20)의 외측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지 봉지(20)의 하부를 끌어 올려 상기 수지 봉지(20)의 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크기 조절선(50)과; 음료병(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기 조절선(50)이 배출되는 선배출구(30)와;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선 고정부(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먹다 남은 탄산 음료의 탄산 가스 배출을 막아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산 음료병{cabonateddrink bottle}
본 고안의 탄산 음료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병의 내부에 삽입되어 음료가 담기는 얇은 수지 봉지를 이용하여 탄산 음료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탄산음료병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싼 값에 탄산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탄산 음료를 커다란 수지병에 담아 판매하였다. 그런데 탄산 음료가 담긴 병을 열어 병에 담긴 탄산 음료를 한꺼번에 다 먹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탄산 음료가 남아 뚜껑을 닫고 보관하는 경우에는 맛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탄산 음료가 남아 있는 음료병의 뚜껑을 닫고 보관하면 안에 들어 있는 음료와 병 사이의 공간에 음료의 탄산가스가 존재하고 있다가 병뚜껑을 여는 순간에 탄산 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음료에서 탄산 가스의 톡 쏘는 맛이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료병의 내부에 삽입한 얇은 수지 봉지를 이용하여 탄산 음료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탄산음료병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탄산음료병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탄산 음료병의 크기 조절선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 는 도 2 의 조절선 고정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탄산 음료병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음료병 11 : 병입구
20 : 수지 봉지 21 : 음료 투입구
30 : 선배출구 40 : 조절선 고정부
41 : 고정체 42 : 돌기
43 : 고정홈 44 : 고정 돌기
50 : 크기 조절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료병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음료병의 병입구에 음료투입구가 결합되어 음료가 담기는 얇은 수지 봉지와; 상기 수지봉지의 외측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지 봉지의 하부를 끌어 올려 상기 수지 봉지의 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크기 조절선과; 음료병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기 조절선이 배출되는 선배출구와; 상기 음료병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기 조절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선 고정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음료병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탄산음료병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탄산음료병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탄산 음료병의 크기 조절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 는 도 2 의 조절선 고정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탄산 음료병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탄산 음료병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병(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음료병(10)의 병입구(11)에 음료투입구(21)가 결합되어 음료가 담기는 얇은 수지 봉지(20)와; 상기 수지 봉지(20)의 외측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지 봉지(20)의 하부를 끌어 올려 상기 수지 봉지(20)의 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크기 조절선(50)과; 음료병(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기 조절선(50)이 배출되는 선배출구(30)와;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선 고정부(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절선 고정부(40)의 일실시예는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의 선배출구(30)의 일측에 연접되어 형성된 고정체(41)의 단부에 돌기(42)를 형성하고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의 선배출구(30)의 타측에 상기 돌기(4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43)을 형성하여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상기 돌기(42)와 고정홈(43)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조절선 고정부(40)의 다른 실시예는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의 선배출구(30)의 일측에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돌기(4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탄산 음료병의 작용을 설명한다.
탄산 음료가 가득 들어간 상태에서는 도 1 , 도 2 ,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병(10) 내부에 삽입된 수지 봉지(20)가 펼쳐진 상태로 내부에 음료가 가득 차게 된다. 이때 음료병(10)에 들어가는 음료의 양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수지봉지(20)를 상기 음료병(10)의 모양과 동일하게 하거나 유사하게 한다.
음료가 가득찬 상태에서도 상기 크기 조절선(50)은 선배출구(30)를 통해 음료병(10)의 외부로 나와 있어 음료가 줄었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탄산 음료를 일부 마신후 음료병 내의 탄산 음료가 줄어들게 되면 크기 조절선(50)을 잡아 당겨 음료가 담긴 수지 봉지(20)의 내적을 줄인다. 수지 봉지(20)의 내적이 어느 정도 줄게 되면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조절선 고정부(4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즉,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잡아 당기면 수지 봉지(20)의 하부에 연결된 크기 조절선(50)이 수지 봉지(20)의 하부를 잡아 올리게 되어 수지 봉지(20)의 내적이 작아지게 되어 수지 봉지(20)의 내부에 음료만이 가득차게 된다.
따라서 음료 내의 탄산 가스가 수지 봉지와 음료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되어 음료병의 뚜껑을 열어도 많은 탄산 가스가 방출되지 않아 탄산 음료의 톡 쏘는 맛이 음료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수지 봉지(20)를 잡아당긴 크기 조절선(50)을 그대로 두면 다시 수지 봉지(20)가 하부로 내려가 내적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고정해야 하는데,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고정시키는 조절선 고정부(40)의 세부 작용을 도4a 및 도 4b 을 참조하여 실명한다.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병(10)의 선배출구(30)에서 배출된 크기 조절선(50)을 상기 고정홈(43)과 돌기(42) 사이에 놓고 상기 고정홈(43)에 돌기(42)를 삽입하면 크기 조절선(50)을 쉽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43)에 크기 조절선(50)을 다수회 감은후 고정홈(43)과 돌기(42) 사이에 놓고 고정홈(43)에 돌기(42)를 삽입하면 더욱 안전하게 크기 조절선(50)이 고정된다.
또한,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돌기(44)에 선배출구(30)에서 배출된 크기 조절선(50)을 다수회 감은후 묶어 주면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쉽게 고정된다.
다시 음료병(10) 내의 음료를 마신후 음료의 양이 줄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수지 봉지(20)에 남은 음료의 양에 맞추어 크기 조절선(50)을 다시 당겨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탄산 음료병은 먹다 남은 탄산 음료의 탄산 가스 배출을 막아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음료병(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음료병(10)의 병입구(11)에 음료투입구(21)가 결합되어 음료가 담기는 얇은 수지 봉지(20)와;
    상기 수지 봉지(20)의 외측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지 봉지(20)의 하부를 끌어 올려 상기 수지 봉지(20)의 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크기 조절선 (50)과;
    음료병(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기 조절선(50)이 배출되는 선배출구(30)와;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선 고정부(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음료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선 고정부(40)는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의 선배출구(30)의 일측에 연접되어 형성된 고정체(41)의 단부에 돌기(42)를 형성하고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의 선배출구(30)의 타측에 상기 돌기(4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43)을 형성하여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상기 돌기(42)와 고정홈(43)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음료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선 고정부(40)는
    상기 음료병(10)의 외주면의 선배출구(30)의 일측에 상기 크기 조절선(5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돌기(44)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음료병.
KR2020000012673U 2000-05-03 2000-05-03 탄산 음료병 KR200199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673U KR200199482Y1 (ko) 2000-05-03 2000-05-03 탄산 음료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673U KR200199482Y1 (ko) 2000-05-03 2000-05-03 탄산 음료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482Y1 true KR200199482Y1 (ko) 2000-10-02

Family

ID=1965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673U KR200199482Y1 (ko) 2000-05-03 2000-05-03 탄산 음료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4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AU661160B2 (en) A beverage package and a method of packaging a beverage
JPH107147A (ja) 炭酸飲料容器
KR200199482Y1 (ko) 탄산 음료병
US11332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EP0833788B1 (en) Container for pressurized liquids with foam generating device
CN2450136Y (zh) 保鲜饮料箱
KR200199480Y1 (ko) 탄산 음료병
KR100829021B1 (ko)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KR200355752Y1 (ko) 탄산음료 용기
KR200199481Y1 (ko) 탄산 음료병
KR200392841Y1 (ko) 음료용 플라스틱 용기
KR200300958Y1 (ko) 주름관이 형성된 음료수 병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JP2885720B2 (ja) 飲料容器
KR200409585Y1 (ko) 콜라, 사이다 또는 맥주를 담는 주름이 형성된 용기
KR200202293Y1 (ko) 탄산음료용 용기
KR100323960B1 (ko) 음료용 용기
KR200278394Y1 (ko) 탄산음료pet병 받침대
KR200319828Y1 (ko) 캔용기용 마개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KR20020024166A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313473Y1 (ko) 음료 용기
KR200208790Y1 (ko) 음료병의 가스방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