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179Y1 - 맥주컵 및 그 지지대 - Google Patents

맥주컵 및 그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179Y1
KR200199179Y1 KR2019980002114U KR19980002114U KR200199179Y1 KR 200199179 Y1 KR200199179 Y1 KR 200199179Y1 KR 2019980002114 U KR2019980002114 U KR 2019980002114U KR 19980002114 U KR19980002114 U KR 19980002114U KR 200199179 Y1 KR200199179 Y1 KR 200199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support
cup
extension
be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278U (ko
Inventor
곽용대
Original Assignee
곽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용대 filed Critical 곽용대
Priority to KR2019980002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1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2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컵 및 그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색다르고 독특한 형상이 부여됨으로써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주를 마실 때 우스꽝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됨으로써 즐겁게 맥주를 마실수 있도록 이루어진 맥주컵 및 그 지지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은, 상부 구멍(12)의 직경이 중앙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단부(11)와, 상기 하단부의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구멍으로부터 위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13)와,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확대형성되는 상단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는, 상기 맥주컵(1)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맥주컵의 하단부를 받치는 받침판(3)과, 상기 맥주컵의 연장부 상단 까지의 높이를 가지며 받침판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5)와, 그리고 상기 지주의 수평으로 수평으로 설치되고 자유단부에 맥주컵의 연장부 상단을 파지하도록 형성된 노치부(71)를 가지는 파지아암(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맥주컵의 연장부 상단이 파지아암에 의하여 파지되어 지지되고, 맥주를 마실 경우에는 지지대와 함께 맥주컵을 입쪽으로 기울여 마시거나 연장부가 아주 길게 형성되어 테이블 위에 놓기 곤란한 경우에는 바닥에 놓고 기울여 마신다.

Description

맥주컵 및 그 지지대
본 고안은 맥주컵 및 그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특한 형상이 부여됨으로써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맥주컵과, 상기 맥주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맥주컵은 상,하단부의 직경이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고, 생맥주컵도 병맥주컵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생맥주컵은 예컨대 500㏄, 1000㏄ 등 병맥주컵보다 많은 용량의 맥주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가 더 설치된다.
1000㏄이상의 맥주를 수용하기 위한 대용량 생맥주용 용기로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입구가 넓어지는 형태의 이른바 피쳐컵으로 널리 알려진 생맥주컵이 사용되거나 밸브가 설치된 드럼통이 널리 사용된다.
피쳐컵이나 드럼통과 같은 대용량 생맥주용 용기에 수용된 생맥주를 마실 때에는 위로 들기에 무겁기 때문에 피쳐컵이나 드럼통을 들고 직접 생맥주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작은 용량의 맥주컵, 특히 500㏄ 용량의 맥주컵에 조금씩 부어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피쳐컵에 맥주가 가득 수용되어 있을 경우 소형 맥주컵에 생맥주를 부을 때 피쳐컵이 무거워 피쳐컵을 위로 들기 힘들므로 피쳐컵을 위로 드는 과정에서 또는 생맥주를 붓는 과정에서 생맥주가 엎질러지기 쉽고, 테이블에 부피가 큰 피쳐컵이 놓임으로서 테이블의 사용면적을 많이 차지하며, 이에 따라 소형 맥주컵이나 안주 등 다른 물품을 놓을 자리가 좁아져 불편하고, 잘못하면 맥주컵을 엎지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독특하고 색다른 형상이 부여됨으로써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주를 마실 때 우스꽝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됨으로써 맥주를 즐겁게 마실수 있도록 이루어진 맥주컵 및 그 지지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이 지지대에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맥주컵 11 : 하단부
13 : 연장부 15 : 상단부
3 : 받침판 5 : 지주
7 : 파지아암 71 : 노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은, 상부 구멍의 직경이 중앙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상부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지면 구멍으로부터 위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확대형성되는 상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맥주컵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맥주컵의 하단부를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맥주컵의 연장부 상단까지의 높이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받침판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그리고 상기 지주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자유단부에 맥주컵의 연장부 상단 둘레를 파지하는 노치부가 형성된 파지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맥주컵을 지지대에 지지할 경우, 맥주컵의 연장부를 파지아암의 노치부에 끼워 맥주컵을 아래로 내리면 맥주컵의 하단부 저면이 받침판의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됨과 아울러 맥주컵의 연장부 상단 둘레가 노치부에 의하여 파지되므로 맥주컵의 지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맥주를 마실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에 지지된 맥주컵에 생맥주를 부어넣고, 지지대와 함께 맥주컵을 입쪽으로 기울여 마시거나 연장부가 아주 길게 형성되어 테이블 위에 놓기 곤란한 경우에는 바닥에 놓고 기울여 마신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1)은, 상부 구멍(12)의 직경이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하단부(11)와, 상기 하단부(11)로부터 위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13)와, 상기 연장부(13)로부터 위로 확대형성되는 상단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부(11)는 항아리형, 피라밋형, 원통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는 예로서 하단부(11)가 항아리형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하단부(11)가 피라밋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되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장부(13)는 상기 하단부(11)의 구멍(12)으로부터 구멍(12)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위로 길게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부(15)는 연장부(13)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확대형성됨으로써 대략 깔대기형을 하고 있다. 따라서, 상단부(15)의 입구의 직경은 연장부(13)의 직경보다 훨씬 크게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5)의 입구의 일측은 일반적인 피쳐컵과 같이 맥주를 마시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맥주컵(1)을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는 받침판(3)과, 상기 받침판(3)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5)와, 그리고 상기 지주(5)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파지아암(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판(3)은 맥주컵의 하단부(11)를 받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예로서 받침판(3)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받침판(3)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지주(5)는 하단이 받침대의 상면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받침판(3)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지주(5)의 높이는 대략 맥주컵의 연장부(13) 상단까지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엄밀하게는 지주(5)의 높이는 연장부(13)와 상단부(15)의 경계부까지의 높이를 가진다.
파지아암(7)은 지주(5)의 상단이 파지아암(7)의 저면 일측에 삽입고정됨으로써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수평설치되는 파지아암(7)의 자유단부의 중앙에는 노치부(71)가 형성된다. 노치부(71)는 자유단 끝으로부터 지주(5)쪽으로 슬로트형으로 이루어지며, 노치부(71)의 폭은 연장부(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부(13)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대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맥주컵(1)을 지지대에 지지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가 노치부(71)와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맥주컵을 위로 올린 다음 연장부(13)를 노치부(71)에 삽입하여 맥주컵(1)을 아래로 내리면 맥주컵(1)의 노치부(71)에 의하여 상단부(15)가 받쳐짐과 아울러 연장부(13) 상단 둘레가 노치부(71)에 의하여 파지되면서 하단부(11) 저면은 받침판(3)의 상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맥주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맥주를 마실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에 지지된 맥주컵에 생맥주를 부어넣고, 지지대와 함께 맥주컵을 입쪽으로 기울여 마신다. 맥주컵의 높이가 비교적 낮을 경우에는 테이블 위에 놓고 기울여 마시는 것이 편리하며, 테이블 위에 놓고 마시기 곤란할 정도로 연장부(13)가 길게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바닥에 놓고 지지대와 함께 맥주컵을 입쪽으로 기울여 마시는 것이 편하다.
이와 같이 맥주를 마시는 과정에서 맥주의 수위가 점점 낮아져 지지대와 함께 맥주컵을 기울여도 맥주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 도달하면 무게도 가벼우므로 지지대와 함께 맥주컵을 들고 마실 수 있다. 테이블 위에 놓고 마실 경우에는 몸을 테이블 아래로 낮추면서 마신다. 또한, 지지대로부터 맥주컵을 빼내어 맥주를 마셔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 및 그 지지대에 의하면, 일반적인 맥주를 마시는 방법이 단조로운데 비하여 독특한 형상에 의하여 색다르고 다양한 방법으로 맥주를 마시도록 함으로써 특히 젊은 층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맥주를 마실 때 우스꽝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되므로 주위 사람을 즐겁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즐거움을 만끽하면서 맥주를 마실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소형 맥주잔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테이블 위가 복잡하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놓고 맥주를 마실 경우에는 테이블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도모된다.

Claims (2)

  1. 상부 중앙의 구멍(12)이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단부(11)와,
    상기 하단부의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구멍으로부터 위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13)와, 그리고
    상기 연장부 상단으로부터 위로 깔대기형으로 확대형성되는 상단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컵.
  2. 상단 구멍(12)의 직경이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단부(11)와, 상기 하단부의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구멍(12)으로부터 위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13)와, 그리고 상기 연장부 상단으로부터 위로 확대형성되는 상단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맥주컵(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로서,
    상기 맥주컵의 하단부를 받치는 받침판(3)과,
    상기 받침대의 상면 일측에 하단이 고정됨으로써 수직설치되고 높이가 대략 맥주컵의 연장부 상단 까지의 높이를 가지는 지주(5)와, 그리고
    상기 지주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고, 자유단부에 맥주컵의 연장부 상단이 삽입되어 파지되는 노치부(71)가 형성된 파지아암(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컵 지지대.
KR2019980002114U 1998-02-18 1998-02-18 맥주컵 및 그 지지대 KR200199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114U KR200199179Y1 (ko) 1998-02-18 1998-02-18 맥주컵 및 그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114U KR200199179Y1 (ko) 1998-02-18 1998-02-18 맥주컵 및 그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78U KR19990022278U (ko) 1999-07-05
KR200199179Y1 true KR200199179Y1 (ko) 2000-10-02

Family

ID=1953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114U KR200199179Y1 (ko) 1998-02-18 1998-02-18 맥주컵 및 그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1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8617S1 (en) 2021-11-08 2023-02-21 Coopersburg Associates, Inc. Beverage container
USD980678S1 (en) 2022-06-10 2023-03-14 Coopersburg Associates, Inc. Beverage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8617S1 (en) 2021-11-08 2023-02-21 Coopersburg Associates, Inc. Beverage container
USD980678S1 (en) 2022-06-10 2023-03-14 Coopersburg Associates, Inc. Beve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78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236A (en) Refreshment rack
US5143247A (en) Liquid container stabilizing device
US4864921A (en) Combination mug with integral tea bag receptacle
US20060278769A1 (en) Device for holding a container
MXPA01009677A (es) Dispositivo y medio para asegurar objetos de manera removible.
WO1999051131A1 (en) Slotted cup holder
US6581888B1 (en) Irregular-surface glass holder
GB2354696A (en) Stand for tea making device.
CA2145100A1 (en) Drinking glass
US9051082B1 (en) Beach glass and cooperating caddy for storing or transporting
US6585127B2 (en) Champagne glass set
US3122257A (en) Liquid vessel and support
US5938060A (en) Holder for stackable drinking cups
KR200199179Y1 (ko) 맥주컵 및 그 지지대
CA2278062A1 (en) Convertible table and flower pot holder
AU732323B3 (en) A tray
JP2009149357A (ja) 容器立て
EP1216639A1 (en) Obliquely invertible cup and support for obliquely invertible cup
KR101653263B1 (ko) 병 거치대
GB2310588A (en) Drinking vessel with a hollow stem extending from its base to a mouthpiece
KR200290803Y1 (ko) 컵받침
KR200439537Y1 (ko) 컵 받침대 겸용 트로피
WO2001002257A1 (en) Liquid vessel
US20080000394A1 (en) Table with holding and storage compartments
KR200274734Y1 (ko) 장식겸용 술병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