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155Y1 - 구근 수확기 - Google Patents

구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155Y1
KR200199155Y1 KR2020000014376U KR20000014376U KR200199155Y1 KR 200199155 Y1 KR200199155 Y1 KR 200199155Y1 KR 2020000014376 U KR2020000014376 U KR 2020000014376U KR 20000014376 U KR20000014376 U KR 20000014376U KR 200199155 Y1 KR200199155 Y1 KR 200199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s
stem
shaft
bulb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광
Original Assignee
박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광 filed Critical 박영광
Priority to KR2020000014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7/00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 A01D27/04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땅속에서 자라나는 양파, 감자, 고구마 등의 구근을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땅속작물인 구근을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확함에 있어서 수확하는 구근의 외피 손상이 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구근을 수확기를 이용하여 수확하는 경우 선별장치를 체인으로 설치하여 외피의 파손이 많아 상품가치가 하락하고 구근의 줄기를 제거하는 별도의 과정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감속기(15)와 연결된 회전축(16)의 일측에서 풀리(20)(22)를 벨트(21)로 연결하며 풀리(22)의 내부에 다수의 줄기제거 체인(24)이 설치된 제거축(23)을 형성하고 제거축(23)의 상측으로 덮개(27)를 설치한 줄기 제거장치(2)와, 상기 줄기 제거장치(2)의 하측에 설치되며 채취날(32)의 양측으로 본체(5)에 고정된 원판 받침대(31)에 원판(30)이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결대(36)가 돌출된 채취장치(3)와, 상기 채취장치(3)의 후방으로 양측에 설치된 풀리축(46)(47)에 다수개의 풀리(46')(47')에 선별용 벨트(48)가 연결되며 선별용 벨트(48)의 중간에서 지지축(44)으로 지지되어 구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4)로 구성되어 채취와 동시에 구근의 줄기를 제거하고 선별과정에서 구근의 외피에 손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근 수확기{A tuber harvester}
본 고안은 땅속에서 자라나는 양파, 감자, 고구마 등의 구근을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땅속작물인 구근을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확함에 있어서 수확하는 구근의 외피 손상이 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땅속에서 자라나는 구근은 대체로 양파, 감자, 고구마, 마늘, 생강, 당근 등이 있다.
이러한 구근은 인력을 이용하여 수확하는 경우 시간과 경비의 소모가 커서 최근에는 트랙터의 후방에 수확기를 연결시켜 기계적인 방법으로 구근을 수확하게 되었다.
종래에 제안된 구근 수확기는 진행하면서 전방에 설치된 날을 이용하여 땅속에 있는 구근을 흙과 함께 파헤쳐서 회전되는 체인의 상측으로 공급하여 흙과 구근이 분리되어 수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구근이 흙과 분리되는 과정에서 체인에 접촉되면서 외피가 벗겨지거나 손상이 발생되므로 수확된 구근의 품질이 저하되어 상품가치가 하락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표피가 손상된 구근을 장기간 저장하게 되면 부패되는 결점이 발생한다.
또한 구근을 수확하기 전에 줄기를 손으로 뽑거나 낫으로 제거한 후 수확하게 되므로 줄기를 제거하기 위한 인건비가 추가로 소모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수확기는 중량이 무거워 트랙터에 장착하는데 인력을 이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땅속에 있는 구근을 흙과 함께 파헤쳐서 공급되면 회전되는 다수개의 벨트가 회전되면서 구근의 외피를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흙과 분리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구근 채취장치의 상측으로 고속 회전되는 줄기제거장치를 설치하여 구근의 줄기를 분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감속기와 연결된 회전축의 일측에서 풀리를 벨트로 연결하며 풀리의 내부에 다수의 줄기제거 체인이 설치된 제거축을 형성하고 제거축의 상측으로 덮개를 설치한 줄기 제거장치와,
상기 줄기 제거장치의 하측에 설치되며 채취날의 양측으로 본체에 고정된 원판 받침대에 원판이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결대가 돌출된 채취장치와,
상기 채취장치의 후방으로 양측에 설치된 풀리축에 다수개의 풀리에 선별용 벨트가 연결되며 선별용 벨트의 중간에서 지지축으로 지지되어 구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채취날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장치 2 : 줄기 제거장치
3 : 채취장치 4 : 선별장치
5 : 본체 10 : 연결대
13 : 보강대 14 : 동력축
15 : 감속기 20, 22, 40, 42, 45, 46', 47 : 풀리
22, 41, 45 : 벨트 23 : 제거축
24 : 줄기제거 체인 25 : 연결대
30 : 원판 31 : 원판 받침대
32 : 채취날 33 : 날 받침대
34 : 날 보강대 36 : 연결대
44 : 지지축 46, 47 : 풀리축
48 : 선별용 벨트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동력축(14)이 연결되어 감속기(15)에서 감속된 후 회전축(15)을 통하여 줄기 제거장치(2)와 선별장치(4)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연결장치(1)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연결대(10)가 본체(5)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대(11)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하측으로 지지대(12)를 보강대(13)에 연결시켜 진행되도록 한다.
줄기 제거장치(2)는 감속기(15)에서 동력이 회전축(16)을 통하여 고속회전력이 풀리(20)에 전달되도록 하며, 하측의 풀리(22)에 벨트(21)로 전달되도록 하고 풀리(22)는 연결대(25)로 본체(5)에 연결되어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풀리(22)의 내부에는 제거축(23)이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줄기 제거체인 (24)을 돌출시켜 제거축(23)의 고속회전으로 구근의 줄기를 분쇄시키는 작용을 하게된다.
제거축(23)의 상측과 전방으로 덮개(27)를 설치하여 제거축(23)의 고속회전으로 인한 줄기의 날림을 방지하고 위험요소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본체(5)의 전방에는 땅속의 구근을 채취하는 채취장치(3)가 설치되며, 이 채취장치(3)는 본체(5)의 양측으로 원판 받침대(31)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원판(30)이 설치되고 안쪽으로 채취날(32)이 W형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하측에는 날보강대(34)를 설치한다.
채취날(32)의 중앙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중앙으로 흙과 구근이 몰리지 않고 양측으로 흩어지도록 하며, 후방으로 날 받침대(33)에 지지되어 있고, 채취날 (32)의 후방과 풀리축(46)에는 풀리(46')의 사이에 연결대(36)로 연결되어 있다.
선별장치(4)는 감속기(15)의 동력을 회전축(16)을 통하여 풀리(40)에 전달되도록 하며 풀리축(47)에 설치된 풀리(42)에 벨트(41)로 연결된다.
풀리축(47)은 베어링 케이스(49)에 지지되어 회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풀리(47')가 형성되어 있어서 베어링 케이스(49')로 지지되는 풀리축(46)의 풀리(46')와 선별용 벨트(48)로 연결된다.
선별용 벨트(48)의 중간에는 베어링 케이스(44')로 지지되는 지지축(44)의 일측에는 풀리(42)(45)를 벨트(43)로 연결시켜 회전되도록 한다.
본체(5)의 양측에는 바퀴 고정대(50)에 바퀴(51)가 설치되어 있어서 전진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장치(1)를 연결시켜 진행되며, 동력축(14)을 통하여 감속기(15)에 전달된 동력은 회전축(16)을 통하여 풀리(20)(40)는 고속으로 회전된다.
풀리(20)에 전달된 동력은 벨트(21)를 거쳐 풀리(22)를 더욱 고속으로 회전시키므로 제거축(23)은 분당 1,500회전된다.
제거축(23)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줄기제거 체인(24)이 함께 회전되며 구근의 줄기를 분쇄시키게 되므로 줄기를 제거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과정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줄기 제거장치(2)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줄기를 분쇄시키게 되며 분쇄되는 줄기는 덮개(27)에 의하여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단속되고 흙과 구근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되어 선별장치(4)에서 하측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구근이 채취되기 전에 줄기가 분쇄되어 제거되며, 채취장치(3)의 채취날(32)이 땅속의 구근과 흙을 함께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채취날(32)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되는 흙과 구근은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양측으로 분리되므로 중앙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전체면에서 고른 분포로 후방에 공급되도록 한다.
채취날(32)은 전방이 W형으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날 보강대(34)가 형성되어 땅속을 용이하게 파낼 수 있도록 하며, 날 보강대(34)는 보울트(34')를 이용하여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채취날(32)의 후방으로 공급되는 흙과 구근은 연결대(36)의 상측에 이르면서 선별장치(4)로 이송되기 전에 대부분의 흙은 바닥으로 떨어진다.
선별장치(4)로 이송된 흙과 구근은 선별용 벨트(48)의 상측에서 이동되면서 흙은 하측으로 이동되고 구근은 후방으로 이동되어 선별되면서 수확이 완료된다.
이때 선별장치(4)의 선별용 벨트(48)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이어서 구근이 닿아도 외피에 전혀 손상이 없이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흙과 함께 채취되는 구근은 선별장치에서 흙과 분리되면서 선별되며 선별용 벨트를 통하여 구근의 외피에 손상이 없이 깨끗한 상태 그대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선별장치에 선별용 벨트가 고무재질이므로 전체적으로 선별기의 무게를 가볍게 하여 4명이 들어서 이동할 수 있어서 선별기를 트랙터에 설치하거나 분리할 때 별도의 기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줄기 제거장치의 줄기제거 체인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구근을 채취하기 전에 줄기를 제거시켜 별도의 줄기제거 과정이 필요 없이 줄기를 파쇄시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결장치(1)를 트랙터에 연결하거나 별도의 동력으로 진행하면서 땅속에 있는 구근을 수확하는 수확기에 있어서,
    감속기(15)와 연결된 회전축(16)의 일측에서 풀리(20)(22)를 벨트(21)로 연결하며 풀리(22)의 내부에 다수의 줄기제거 체인(24)이 설치된 제거축(23)을 형성하고 제거축(23)의 상측으로 덮개(27)를 설치한 줄기 제거장치(2)와,
    상기 줄기 제거장치(2)의 하측에 설치되며 채취날(32)의 양측으로 본체(5)에 고정된 원판 받침대(31)에 원판(30)이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결대(36)가 돌출된 채취장치(3)와,
    상기 채취장치(3)의 후방으로 양측에 설치된 풀리축(46)(47)에 다수개의 풀리(46')(47')에 선별용 벨트(48)가 연결되며 선별용 벨트(48)의 중간에서 지지축 (44)으로 지지되어 구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KR2020000014376U 2000-05-22 2000-05-22 구근 수확기 KR200199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376U KR200199155Y1 (ko) 2000-05-22 2000-05-22 구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376U KR200199155Y1 (ko) 2000-05-22 2000-05-22 구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155Y1 true KR200199155Y1 (ko) 2000-10-02

Family

ID=1965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376U KR200199155Y1 (ko) 2000-05-22 2000-05-22 구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1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77B1 (ko) * 2007-07-09 2008-11-11 (주) 두일기업연구소 구근작물 수확기
CN103026852A (zh) * 2012-12-25 2013-04-10 青岛农业大学 手扶行走式薯类作物收获机
CN113016376A (zh) * 2021-04-21 2021-06-25 东北农业大学 一种回转式切割秸秆还田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77B1 (ko) * 2007-07-09 2008-11-11 (주) 두일기업연구소 구근작물 수확기
CN103026852A (zh) * 2012-12-25 2013-04-10 青岛农业大学 手扶行走式薯类作物收获机
CN113016376A (zh) * 2021-04-21 2021-06-25 东北农业大学 一种回转式切割秸秆还田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0207A (en) Agricultural implement for the extraction and shredding of stalks and roots
KR20100000037A (ko) 땅속 작물 수확장치
CN107371552A (zh) 大蒜收获机
CN108207275A (zh) 一种用于苗木种植用杂草处理装置
KR200199155Y1 (ko) 구근 수확기
WO1998000002A1 (en) Earth clearing apparatus
CN213847666U (zh) 一种去杂分草断草碎草一体化割草机
US3630011A (en) Dichondra harvester
CN207054099U (zh) 大蒜收获机
JP2009005636A (ja) 結球野菜収穫機
CN215683408U (zh) 一种苗木种植用的杂草修剪装置
CN214206421U (zh) 一种花生收割机
CN111758366B (zh) 一种农业种植用带有清理分类功能的花生收取装置
CN209845666U (zh) 残膜捡拾回收装置
CN107535181A (zh) 一种绿叶蔬菜收割及耕地联合作业机
JPS58166003A (ja) 切株細砕方法と装置
CN210900442U (zh) 一种小型花生去根装置
KR200213525Y1 (ko) 줄기파쇄장치 부착형 땅속작물수확기
WO2021016689A1 (pt) Rolo picador e conjunto picador para uma máquina agrícola e máquina colhedora de plantas altas e cauleosas
JP2001103826A (ja) 豆類引抜収穫機
Bainer Seed segmenting devices
CN217445772U (zh) 秸秆还田机壳体用的切割装置
KR102623217B1 (ko) 구근작물 수확기
CN217217444U (zh) 一种蔬菜种植除草工具
JP2005304406A (ja) イチゴの培養土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