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023Y1 - 낙하물 방호선반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호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023Y1
KR200199023Y1 KR2020000013417U KR20000013417U KR200199023Y1 KR 200199023 Y1 KR200199023 Y1 KR 200199023Y1 KR 2020000013417 U KR2020000013417 U KR 2020000013417U KR 20000013417 U KR20000013417 U KR 20000013417U KR 200199023 Y1 KR200199023 Y1 KR 200199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vertical frame
clamp
safety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토우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토우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토우 코리아
Priority to KR2020000013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낙하방지 방호선반에 관한 것으로,
상, 하부테두리판으로 결합되어진 그물망 대신에 타공판(안전발판)(5)을 그대로 사용하되, 일정간격으로 분리된 타공판(안전발판)(5)들을 횡방향으로 연결 사용함으로서 충분한 굽힘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타공판(안전발판)의 양단에는 걸림턱(7)이 자중에 의해 출몰(出沒)되는 구조의 클램프(6)를 결합 사용함으로서, 상기 타공판(안전발판)(5)과 세로골조(1)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낙하물 방호선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물 방호선반{Table protecting from falling materials}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낙하물 방호선반에 관한 것으로, 그물망 대신 굽힘강도가 큰 타공판재를 사용함으로서 가로골조를 별도 구성하지 않도록 하면서, 타공판(안전발판)의 양단에는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록킹되어지는 클램프를 결합사용함에 따라 타공판(안전발판)과 세로골조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낙하물 방호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는 좁은 공간에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건물을 높게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고층에서 작업도중 작업자의 부주의나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공구나 건자재 및 작업자등이 낙하하는 일이 빈번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랐었다.
이런 위험으로 부터 대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과거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낙하방지용 방호선반이 개발되어 왔었는데, 최근에 개발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낙하 방지용 방호선반이 있다.
도 5에서 보면, 좌, 우측 단부에는 세로골조(21)와 결합하기 위한 홈부(24)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연결설치되어지는 타공판(안전발판)(23)과, 상기 타공판(23)의 좌우측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홈부(24)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돌출편(22)이 각각 형성되어진 세로골조(21)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방호선반 구조에서는 세로골조(21)의 돌출편(22)이 타공판(23)의 홈부(24)에 횡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세로골조(21)에 여러개의 타공판(23)을 설치하기위해서는 반드시 그 일측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사용도중 일부 타공판이 손상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나머지 타공판까지 모두 분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로골조(21)가 비스듬히 설치되었거나 사용도중 횡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돌출편(22)이 홈부(24)로부터 빠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타공판(안전발판)의 양단에는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록킹되어지는 클램프를 결합 사용함으로서 타공판(안전발판)과 세로골조를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타공판을 세로골조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함으로서 타공판 결합시에 다른 타공판과의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세로골조가 경사설치되거나 횡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타공판이 세로골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일정간격으로 분리된 타공판들을 세로골조위에 횡방향으로 연결 사용하되, 타공판(안전발판)의 양단에는 걸림턱이 자중에 의해 출몰(出沒)되는 구조의 클램프를 결합 사용함으로서, 상기 타공판(안전발판)과 세로골조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 상부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3은 도 1의 일부생략 분리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서 클램프와 세로골조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도로서, (a)는 클램프와 세로골조가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 며, (b)는 클램프와 세로골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낙하용 방지망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로골조 3 : 보강대
4 : 파이프 지지용 클램프 5 : 타공판(안전발판)
6 : 클램프 7 : 걸림턱
8 : 핀 9 : 장공
10 : 지지수단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 상부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부생략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클램프와 세로골조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도로서, (a)는 클램프와 세로골조가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b)는 클램프와 세로골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로서 상기도면에서 보면,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세로 골조(1)와, 상기 좌,우측 세로 골조(1)의 사이에서 엇갈리도록 비스듬히 결합되는 보강대(3)와, 비계 파이프(11)에 고정되도록 세로골조(1)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파이프 지지용 클램프(4)로 구성되는 낙하물 방호선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세로골조(1)사이에는 일정 폭을 가진 다수개의 타공판(안전발판)(5)이 횡방향으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타공판(안전발판)의 양단에는 걸림턱(7)이 자중에 의해 출몰(出沒)되는 구조의 클램프(6)를 결합 사용함으로서, 상기 타공판(안전발판)(5)과 세로골조(1)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도 4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7)은 클램프(6)로부터 출몰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걸림턱(7)에는 클램프(6)에 설치된 핀(8)에 의해 안내되어지는 장공(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로골조(1)를 클램프(6)에 끼워 결합하고자할 경우에는 장공(9) 하단이 핀(8)에 닿을 때까지 밀어올려져서 걸림턱(7)이 오픈된 상태가 되므로, 세로골조(1)는 걸림턱(7)의 간섭을 받지않고 클램프내에 결합될 수 있으며(도 4의 a 참조), 일단 세로골조(1)가 클램프(6) 내에 결합되면 걸림턱(7)은 자중에 의해 장공(9)의 상단이 핀(8)에 닿을 때까지 하강하게 되므로, 세로골조(1)는 걸림턱(7)의 간섭에 의해 클램프(6)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도 4의 b 참조).
따라서, 타공판(안전발판)(5)은 사용도중에도 세로골조(1)와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타공판(안전발판)(5)은 그 재질과 두께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도중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굽힘강도 또는 비틀림강도를 고려한다면 타공판(안전발판)을 한개로 형성하지 않고 여러개의 타공판을 횡방향으로 연결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일정 폭을 가진 여러개의 타공판(안전발판)(5)을 횡방향으로 연결설치하고 있으며, 이들 타공판(안전발판)(5)에는 클램프(6)를 양단부에 설치하여 각각 세로골조(1)와 결합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용 방호선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 개의 세로골조(1)를 평행하게 놓고 보강대(3)를 엇갈리게 결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한 다음에, 양단에 두 개의 클램프(6)가 결합된 타공판(안전발판)(5)을 걸림턱(7)을 위로 올린 상태에서 클램프(6)를 상기 세로골조(1) 위에 끼워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타공판(안전발판)(5)들도 세로골조(1)위에 결합하며, 타공판(안전발판)(5)들이 횡방향으로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이들간의 결합부에서 빈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타공판(안전발판)(5)이 여러개로 나뉘어져 횡방향으로 연결되어져있으므로, 굽힘강도 및 비틀림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립하기에도 편리하게된다.
이상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타공판(안전발판)(5)의 양단에는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록킹되어지는 클램프(6)를 결합 사용함으로서 타공판(안전발판)(5)과 세로골조(1)를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타공판(5)을 세로골조(1)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함으로서 타공판(5) 결합시에 다른 타공판과의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세로골조(1)가 경사설치되거나 횡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타공판(5)이 세로골조(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일정간격으로 분리된 타공판(5)들을 세로골조(1)위에 횡방향으로 연결 사용하되, 타공판(안전발판)(5)의 양단에는 걸림턱(7)이 자중에 의해 출몰(出沒)되는 구조의 클램프(6)를 결합 사용함으로서, 상기 타공판(안전발판)(5)과 세로골조(1)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

  1.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세로 골조(1)와, 상기 좌,우측 세로 골조(1)의 사이에서 엇갈리도록 비스듬히 결합되는 보강대(3)와, 비계 파이프(11)에 고정되도록 세로골조(1)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파이프 지지용 클램프(4)로 구성되는 낙하물 방호선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세로골조(1)사이에는 일정 폭을 가진 다수개의 타공판(안전발판)(5)이 횡방향으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타공판의 양단에는 걸림턱(7)이 자중에 의해 출몰(出沒)되는 구조의 클램프(6)를 결합 사용함으로서, 상기 타공판(안전발판)(5)과 세로골조(1)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용 방호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걸림턱(7)은 클램프(6)로부터 출몰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걸림턱(7)에는 클램프(6)에 설치된 핀(8)에 의해 안내되어지는 장공(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용 방호선반.
KR2020000013417U 2000-05-10 2000-05-10 낙하물 방호선반 KR200199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17U KR200199023Y1 (ko) 2000-05-10 2000-05-10 낙하물 방호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17U KR200199023Y1 (ko) 2000-05-10 2000-05-10 낙하물 방호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023Y1 true KR200199023Y1 (ko) 2000-10-02

Family

ID=1965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417U KR200199023Y1 (ko) 2000-05-10 2000-05-10 낙하물 방호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0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09B1 (ko) 2005-12-28 2007-05-21 김진곤 피시빔 안전망 설치구를 이용한 작업로 구축방법
KR101569312B1 (ko) * 2015-02-26 2015-11-13 유한회사 돌로지스틱스캄파니 물품 적재용 팔레트 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09B1 (ko) 2005-12-28 2007-05-21 김진곤 피시빔 안전망 설치구를 이용한 작업로 구축방법
KR101569312B1 (ko) * 2015-02-26 2015-11-13 유한회사 돌로지스틱스캄파니 물품 적재용 팔레트 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2161A (en) Scaffolding system
RU2453668C2 (ru) Опора дл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а также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ильного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перильного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на опоре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CA1268505A (en) Safety guard rail for scaffolding
CA3006922A1 (en) Scaffold ledger
CA2549260C (en) Toeboard clamp system
KR200199023Y1 (ko) 낙하물 방호선반
AU2010100013B4 (en) Temporary edge protection for scaffolding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US3726362A (en) A c scaffold frame
US6799658B2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CA2997026C (en) Horizontal scaffold support component
KR101000316B1 (ko) 교각 안전점검로
AU2010224325B2 (en) Temporary edge protection for scaffolding
US3403751A (en) Scaffold
JP2002174027A (ja) 足場板隙間カバー
EP1972739A2 (en) Extendable safety guardrail
US3300236A (en) Lock for sectional scaffolding
RU2256044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монтажных элементов системы лесов и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нее блок муфты и рама лесов
KR200199021Y1 (ko) 낙하 방지용 안전망
JPH0453394Y2 (ko)
JPH0717707Y2 (ja) 枠組足場の手摺り枠
JPH0740595Y2 (ja) 足場設置及び解体作業用吊り台
AU2003101011A4 (en) Scaffolding apparatus
US6739429B1 (en) Corner scaffol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