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689Y1 -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689Y1
KR200198689Y1 KR2020000011979U KR20000011979U KR200198689Y1 KR 200198689 Y1 KR200198689 Y1 KR 200198689Y1 KR 2020000011979 U KR2020000011979 U KR 2020000011979U KR 20000011979 U KR20000011979 U KR 20000011979U KR 200198689 Y1 KR200198689 Y1 KR 200198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eceiver
hands
transmitter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스테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스테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스테노
Priority to KR2020000011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로부터의 수화음은 무선신호에 의해 수신기로 송출되어 사용자가 들을 수 있고, 사용자의 송화음은 직접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어폰/마이크잭이 설치된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핸즈프리 장치로서,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된다. 송신기는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플러그를 통해 입력된 휴대전화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휴대전화에 통화상태 연결신호를 입력하는 통화연결부와, 사용자의 송화음을 휴대전화로 입력하는 마이크 입력부로 구성된다.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출력을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이어폰 구동부 및 스피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Hands-free device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인 휴대전화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휴대전화로부터의 음성출력을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고 이어폰(또는 스피커)이 장착된 수신기로 음성출력을 수신하며, 마이크는 직접 송신기를 통해 휴대전화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휴대전화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휴대전화용 핸즈프리가 개발되어 있다. 크게 유선식과 무선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유선식에는 1) 차량용으로서,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된 어댑터를 휴대전화의 보조(AUX)커넥터에 접속하여, 마치 스피커폰과 같이 휴대전화로부터의 음성출력을 듣는 방식과, 2) 개인용으로서, 휴대전화의 이어폰 단자에 잭을 꽂아서 사용하며, 마이크는 이어폰선 중간에 분기되어 설치되어 이어폰을 귀에 꽂으면 마이크가 입 근처에 오게 되고 마이크부에 설치된 통화연결/차단 버튼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 있다.
무선식에는, 휴대전화에 제1송수신기(휴대전화측 송수신기)를 부착하여 휴대전화로부터 나오는 음성출력을 제2송수신기(사용자측 송수신기)로 수신하고, 제2송수신기의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신호를 제1송수신기로 수신하여 핸즈프리 기능을 하는 방식이 있다. 즉, 휴대전화에 부착된 송수신기와 이로부터 분리된 송수신기 사이에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때에는 송수신기를 휴대전화에 단순히 부착하는 것으로는 안되고, 송수신기에서 필연적으로 송수신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기술적 곤란성이 있다. 즉, 휴대전화에 부착된 제1송수신기와 이와 분리된 제2송수신기 모두 송신시와 수신시에 공통회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송수 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신 장치로서 사용할 수 없다. 이는 무선 송수신기 분야에서는 상식적인 기술사항이다. 물론, 송수신기의 공통회로를 없애고 송신 전용회로와 수신 전용회로로 송수신기를 구성하면 별도의 송수 전환이 필요없지만, 송신회로와 수신회로의 많은 부분이 공통으로 이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단가, 크기, 전지소모 면에서 모두 불리한 설계가 된다.
또한, 종래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말한 음성이 마이크를 통해 휴대전화에 송신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측 송수신기에서 송신작동을 함에 따라 배터리의 소모가 크고, 송신회로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용량이 커야 하고 송신회로가 필요하므로 전체적 크기가 커져서 신체에 착용하기가 거북해지고, 차라리 그냥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 유선 어댑터 또는 무선 송수신기에 이어폰과 마이크가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궤환음에 의한 하울링이 발생하는 일이 많고, 제조원가가 많이 들기 때문에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은 현재 많은 수의 휴대전화에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마이크잭에 송신기를 삽입하고 사용자는 스피커만 설치된 수신기를 귀에 착용하기만 하면 되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를 개발하였다. 마이크는 직접 휴대전화에 연결되도록 송신기에 설치하고 사용자측에서는 수신에 필요한 회로와 스피커 또는 이어폰만 있으면 되므로 전지소모가 매우 적어지며 송신에 따른 송수전환 회로나 송신회로가 필요없으며, 하울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로부터의 수화음은 무선신호에 의해 수신기로 송출되어 사용자가 들을 수 있고, 사용자의 송화음은 직접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송신기의 회로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신기의 회로구성도
도3은 송신기의 외관구성도
도4는 수신기의 외관구성도
도5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송신부(10), 통화연결부(20), 터치센서(24), 터치센서 조작부(22), 마이크입력부(30), 내장 마이크(32), 외부 마이크(34), 전원부(40), DC-DC컨버터(42), 충전회로(44), 동조부(51), 검파부(52), 저주파증폭(53), 이어폰(54), 발진부(55), 전원부(60), 전지(61), 대용량 커패시터(62), 송신기(100), 플러그(101), 전원스위치(SW1), 수신기(200), 수신기용 전원스위치(SW3), 홈(203), 귀걸이(201), 거치대(300)
개요
최근의 휴대전화에는 대부분 이어폰/마이크를 꽂는 잭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잭을 통해서 휴대전화로부터의 수화음을 이어폰으로 들을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휴대전화로 송화음을 입력할 수 있고, 마이크에 설치된 통화연결 버튼을 눌러 휴대전화를 통화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에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마이크잭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휴대전화의 수화음을 출력하는 이어폰과, 휴대전화로 송화음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휴대전화를 통화상태로 연결하는 통화연결 버튼이 접속되는 이어폰/마이크잭이 설치된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핸즈프리 장치로서,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된다.
송신기는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플러그를 통해 입력된 휴대전화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와, 플러그를 통해 휴대전화에 통화상태 연결신호를 입력하는 통화연결부와, 마이크에 입력된 사용자의 송화음을 플러그를 통해 휴대전화로 입력하는 마이크 입력부로 구성된다.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저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동조부, 검파부, 저주파증폭부로 구성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출력을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이어폰 구동부 및 스피커로 구성된다.
송신기의 통화연결부는 송신기 외관에 노출되어 인체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인체감응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신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터치센서를 조작시키는 터치센서 조작부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센서 조작부는 송신기의 외관에 노출되고, 수신기의 외관에는 홈이 형성되어, 터치센서 조작부에 수신기의 홈을 걸어 놓았다가, 수신기를 분리하면 터치센서 조작부가 터치센서를 조작하여 통화연결 신호가 플러그를 통해 휴대전화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의 홈에는 푸시스위치가 설치되어, 수신기를 터치센서 조작부로부터 분리하면 푸시스위치가 작동되어 수신기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입력부에는 내장 마이크를 설치할 수 있지만, 외장 마이크를 사용하여 감도향상을 꾀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기는 인체에 착용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귀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귀걸이가 부착될 수 있고, 귀걸이에는 전원스위치를 접촉시켜서 귀걸이를 인체의 귀에 걸어서 고정시킬 때 전원스위치가 작동되어 수신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송신기의 회로구성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회로구성도이다. 크게 송신부(10), 통화연결부(20), 마이크입력부(30)로 구성된다.
송신부(10)는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으로부터 나오는 수화음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구성요소이다.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으로부터 나오는 수화음은 저주파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다음에 무선신호로 변조되고 목적하는 주파수대까지 체배되어 전력증폭기에서 증폭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는 주로 차량에서 사용되는 것이고, 차량 이외에 사용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그리 먼 곳에 송신기가 위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송신기의 송신전력을 통달거리 약 5m 정도가 최대치가 되도록 설계하여도 충분할 것이다. 따라서, 송신기의 전력증폭단이 그리 크지 않아도 되고, 그에 따라 전지의 소모가 많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기본 주파수를 설정하고(본 실시예에서는 약 74.560MHz) 여러개의 채널을 설정하여 혼신이나 잡음의 가능성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 되도록 발진부를 설계하였다. 이 정도의 주파수라면 주파수이러한 송신기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주지된 관용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화연결부(20)는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을 통해 통화연결 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요소로서, 터치센서 조작부(22)와 터치센서(24)로 구성된다. 종래의 이어폰식 핸즈프리 장치에서는 이어폰선 중간에 통화연결 버튼을 설치하여 직접 휴대전화를 조작하지 않아도 통화연결이 되도록 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이 통화연결 버튼을 터치센서(24)로 대체하여 송신기(100)에 설치하였다.
터치센서(24)는 휴대전화용 이어폰/마이크에 설치된 통화전환 버튼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지된 터치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터치센서에 접촉하면 휴대전화가 통화상태로 연결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터치센서 조작부(22)는 터치센서를 사용자가 접촉하는 대신에 별도의 기계식 스위치나 기구물로써 터치센서를 조작하는 구성요소이다. 터치센서 조작부(22)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송신기 외관구성을 설명할 때 자세하게 설명한다.
터치센서로는 여러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등에 사용되는 인체 감응식 터치센서 뿐만 아니라, 일반 기계스위치로도 충분히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입력부(30)는 휴대전화에 송화음을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종래의 핸즈프리와는 달리 직접 유선으로 휴대전화에 입력하도록 구성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측에서 마이크입력이 무선으로 휴대전화측으로 송출되도록 구성한 것이 있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신호가 직접 휴대전화로 입력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마이크는 본 고안의 송신기에 내장된 마이크(32)로 구성할 수도 있고, 마이크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기 위하여 외부 마이크(34)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두가지 다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마이크입력부(30)는 마이크에 입력된 신호중에서 주변소음을 제거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만 입력되도록 하는 필터가 1단 또는 다단 포함되고, 미약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가 포함된다.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관용기술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송신기의 전원부(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은 차량으로 사용할 경우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일명 시거잭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전원스위치 SW1을 통해 전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거잭 이외에 일반 전지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소전압의 전지를 DC-DC컨버터(42)에 의해 승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1에서는 시거잭과 DC-DC컨버터(42)를 동시에 사용하고 이들을 전환스위치 SW3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당연히, 충전회로(44)에 의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전원부의 전체 구성보다도 전원스위치 SW1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 본 고안의 외관구성을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기의 회로구성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신기의 회로구성도이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가 동조부(51)와 검파부(52)를 거쳐 원래의 휴대전화 수화음으로 복원된 후 저주파증폭(53)되어 이어폰(또는 스피커)(54)을 통해 재생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2에서 동조부(51), 검파부(53), 저주파증폭부(54)는 단일칩 IC가 상품화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된다. 발진부(55)는 목적주파수대의 크리스탈을 삽입하여 주파수대를 변경할 수도 있고, 도1의 송신기의 주파수를 채널화한다면 이에 맞는 주파수로 채널화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기의 구성 역시 일반적인 무선수신부의 기본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본 수신기에 필요한 전원부(60)의 구성 역시 여러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말 그대로 수신기일 뿐 송신기능이 없기 때문에 전지 소모가 매우 적다. 따라서, 전원으로서 소형전지 (AAA, 수은전지, 리튬전지 등)(61)를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또한, 배터리 충전식이 아닌 대용량 커패시터 (수퍼콘덴서)(62)를 이용한 충전식으로 사용하여도 전원소모가 적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신기에서도 전원스위치 SW3, SW4, SW3', SW4'의 기능이 본 고안의 특징이 된다. 이에 대해서는 수신기의 외관구성을 설명할 때 자세하게 설명한다.
송신기의 외관구성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송신기(100)의 외관사시도이다.
그 구성을 보면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에 꽂는 플러그(101), 전원스위치(SW1), 터치센서(24), 터치센서 조작부(22), 수신기 고정홀(21), 내장 마이크(32), 외부 마이크(34)로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결합관계와 기능은 도1에서 설명한바 있다.
도3에 나타낸 전원스위치 SW1은 푸시버튼 스위치이다. 따라서, 별도의 스위치조작이 필요없이 플러그(101)를 휴대전화에 삽입할 때에 함께 눌러져서 전원이 온될 수 있다. 즉, 송신기(100)를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에 꽂기만 하면 송신기(100)가 동작을 한다.
터치센서(24)는 송신기(100) 외관에 돌출되어 손가락으로 살짝 닿기만 해도 동작하여 휴대전화 통화연결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인체 감응식 터치센서를 사용한 이유는 인체 이외의 사물에 의해서 휴대전화가 오작동하는 경우를 최대한 막기 위해서이다. 더불어, 터치센서(24)는 도3에서 보듯이 비교적 넓게 설치되는 것이 차량 운전중에 사용하기가 편리할 것이다.
터치센서 조작부(22)는 사용자가 터치센서(24)를 사용하여 휴대전화 통화연결을 하지 않더라도 통화연결이 되도록 기구물을 이용하여 터치센서(24)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터치센서 조작부(22)는 수신기 전원스위치 조작용으로도 작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수신기와 함께 설명하여야 하므로 수신기의 외관구성을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기 고정홀(21)에는 수신기의 이어폰(도4의 54)을 꽂아서 보관하기 위한 홀이다. 수신기 고정홀(21)에 이어폰을 꽂으면 수신기의 홈(203)에 상기 터치센서 조작부(22)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내장마이크(32)는 도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송신기(100) 내에 처음부터 설치된 마이크이다. 사용자와 다소 떨어진 위치에서 음성을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집음성능이 우수한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1의 마이크입력부(30)에서와 같이 필터를 다단 구성하여 주위의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장마이크 외에 외장마이크(34)를 사용할 수 있다. 외장마이크(34)를 사용하면 마이크를 운전석 근처(예를 들면, 선바이저나 핸들쪽 대시보드)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송화 감도가 향상될 것이다. 또한, 외부 마이크(34)의 연결선(35)을 송신기(100)의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외부 마이크(34)를 꽂으면 잭에서 자동으로 내부 마이크(32)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설계할 수 있고,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관용기술이다.
수신기의 외관구성
도4는 수신기(200)의 외관사시도이다. 그 구성은 전체적으로, 수화음이 출력되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54)과, 수신기용 전원스위치(SW3)로 구성된다. 물론, 수신기(200)의 내부에는 도2와 같은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수신기 전원스위치 SW3은 여러가지로 구현된다. 당연히, 통상의 스위치처럼 푸시버튼식, 슬라이드식 등 여러가지로 구현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관에 홈(203)을 만들고 홈(203) 내부에 SW3을 설치하였다. 수신기(200)의 홈(203)은 송신기(100)의 터치센서 조작부(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수신기(200)의 홈(203)이 송신기(100)의 터치센서 조작부(22)에 끼워지면 홈(203) 내부에 설치된 푸시스위치(SW3)가 닫혀서 수신기(200)가 동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수신기(200)를 송신기(100)의 터치센서 조작부(22)에 꽂아두면 수신기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다가, 전화가 울려서 수신기(100)를 들면 푸시스위치(SW3)가 작동되어 수신기(2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3의 설명에서 터치센서 조작부(22)는 휴대전화의 통화연결용 기능도 함을 설명한바 있다. 따라서, 터치센서 조작부(22)에 꽂아두었던 수신기(200)를 분리하면 터치센서 조작부(22)가 터치센서(24)를 조작하여 휴대전화가 곧바로 통화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정리하여 설명하면,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신기(200)의 이어폰(54)을 송신기(100)의 수신기홀(21)에 꽂아둔다. 그러면, 터치센서 조작부(22)는 수신기의 홈(203)에 삽입되고, 수신기(200)에는 전원공급이 되지 않아 작동하지 않고, 송신기(100)도 터치센서가 작동하지 않아 수신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휴대전화에 벨소리가 나서 사용자가 전화를 받기 위해 수신기(200)를 송신기(100)로부터 분리하면 이 순간 수신기(100)의 푸시스위치(SW3)가 작동되어 수신기가 동작하고 동시에 터치센서 조작부(22)가 조작되어 휴대전화를 통화연결 상태로 전환시킨다.
한편, 도2에 표시하였던 별도의 전원스위치 SW4에 대해 설명한다. 이 SW4는수신기(200)가 송신기(100)의 터치센서 조작부(22)에 걸려있지 않은 상태로 있을 때에 필요한 전원스위치이다. 예를 들면, 차량 운전중 항상 수신기(200)를 몸에 착용하고 있을 수도 있고 차량내 조수석에 두거나 글러브박스에 넣어둘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때에 전원을 차단/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통상의 기계식 스위치를 사용해도 되지만, 도4에서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201)와 몸체 사이에 마이크로스위치(202, 보이지는 않음)를 설치하여 귀걸이(201)를 귀에 걸 때에 마이크로스위치(202)가 작동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전화와 송신기(100)가 결합된 채로 거치되는 거치대(300)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기(100)를 휴대전화에 부착한 다음에 거치대(300)에 꽂아놓고 사용할 수 있는데, 거치대에는 송신기(100)의 터치센서 조작부(22)와 터치센서(24)가 노출될 수 있도록 창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치대(300)에 휴대전화와 송신기를 꽂아 둔 채로 터치센서(24)를 조작하여 통화연결을 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기(100)의 터치센서 조작부(22)에 수신기(200)의 홈(203)을 꽂아서 평소에 걸어두었다가 전화벨이 울릴 때 수신기(200)를 들어내면 홈(203) 내에 설치된 전원스위치(SW3)가 작동하여 수신기(200)가 동작하고, 터치센서 조작부(22)에 의해 휴대전화의 통화연결이 될 수 있음은 앞에서 도2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바 있다. 한편, 도5에는 송신기(200) 전원공급용으로서 차량용 시거잭(204)을 채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전화 핸즈프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제작이 쉬워, 원가가 절감될 수 있으며, 배터리 소모가 적고 수신기를 인체에 착용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휴대전화의 수화음을 출력하는 이어폰과, 휴대전화로 송화음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휴대전화를 통화상태로 연결하는 통화연결 버튼이 접속되는 이어폰/마이크잭이 설치된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로서,
    휴대전화의 이어폰/마이크잭에 접속되는 플러그(101)와, 플러그(101)를 통해 입력된 휴대전화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10)와, 플러그(101)를 통해 휴대전화에 통화상태 연결신호를 입력하는 통화연결부(20)와, 마이크(32)에 입력된 사용자의 송화음을 플러그(101)를 통해 휴대전화로 입력하는 마이크 입력부(30)로 구성되는 송신기(100)와,
    송신기(10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저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동조부, 검파부, 저주파증폭부로 구성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출력을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이어폰 구동부 및 스피커(54)로 구성되는 수신기(200)를 포함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통화연결부(20)는
    송신기(100) 외관에 노출되어 인체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인체감응식 터치센서(24)를 포함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통화연결부(20)는
    수신기(200)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터치센서(24)를 조작시키는 터치센서 조작부(24)를 포함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송신기(100)의 외관에 터치센서 조작부(24)가 노출되고, 수신기(200)의 외관에는 홈(203)이 형성되어,
    터치센서 조작부(22)에 수신기(200)의 홈(203)을 걸어 놓았다가, 수신기(200)를 분리하면 터치센서 조작부(22)가 터치센서(24)를 조작하여 통화연결 신호가 플러그(101)를 통해 휴대전화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5. 청구항 4에서, 수신기(100)의 홈(203)에는 푸시스위치(SW3)가 설치되어, 수신기(200)를 터치센서 조작부(22)로부터 분리하면 푸시스위치(SW3)가 작동되어 수신기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6.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에서, 마이크입력부(30)는 외장마이크(34)를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7.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에서, 수신기(200)에는 인체의 귀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귀걸이(201)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8. 청구항 6에서, 수신기(200)에는 인체의 귀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귀걸이(201)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9. 청구항 8에서, 수신기(200)는 귀걸이(201)에 의해서 작동되는 전원스위치(202)를 추가로 포함하여, 귀걸이(201)를 인체의 귀에 걸어서 고정시킬 때 전원스위치(202)가 작동되어 수신기(200)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KR2020000011979U 2000-04-27 2000-04-27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KR200198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979U KR200198689Y1 (ko) 2000-04-27 2000-04-27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979U KR200198689Y1 (ko) 2000-04-27 2000-04-27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689Y1 true KR200198689Y1 (ko) 2000-10-02

Family

ID=1965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979U KR200198689Y1 (ko) 2000-04-27 2000-04-27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6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8689Y1 (ko)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KR20010095498A (ko) 무선통화장치를 갖는 차량용 핸즈프리키트
US20030148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KR100640863B1 (ko) 무선 이어셋 유닛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6768Y1 (ko) 차량용 휴대전화 핸즈프리 장치
KR20010011015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리형 무선 보조 단말장치
JP7100754B1 (ja) 音声入力装置、無線通信装置セット及び電子機器セット
KR200301204Y1 (ko) 충전크레들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
CN203243412U (zh) 一种车载免提附属设备及配置有所述附属设备的移动终端
KR200218501Y1 (ko) 착탈식 자동감김 핸드프리 장치
JP2928214B1 (ja) 車載アダプタ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KR200218540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KR200181665Y1 (ko) 휴대폰의 외부로 연결된 핸즈프리 마이크폰
KR200355379Y1 (ko) 음악감상 하면서 휴대폰을 수신할 수 있는 스테레오 핸즈프리 장치
KR200186178Y1 (ko)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KR200202132Y1 (ko) 핸드폰의 핸즈프리시스템
KR20070065985A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KR200225634Y1 (ko)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 장치
KR200303580Y1 (ko) 충전크레들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
KR200194623Y1 (ko) 핸들에 통화스위치가 부착된 무선 이어폰 핸즈프리 시스템
KR200436926Y1 (ko) 태양열 충전이 가능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010008378A (ko) 무선 송/수신장치 및 그 통신방식
KR200187695Y1 (ko) 다이얼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마이크 타입 무선 전화기
KR20038722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