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80Y1 -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80Y1
KR200198580Y1 KR2020000011704U KR20000011704U KR200198580Y1 KR 200198580 Y1 KR200198580 Y1 KR 200198580Y1 KR 2020000011704 U KR2020000011704 U KR 2020000011704U KR 20000011704 U KR20000011704 U KR 20000011704U KR 200198580 Y1 KR200198580 Y1 KR 200198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switch
termin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한일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1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설비, 전자계측기, CNC 등에 사용되는 각종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의 위치 및 점등상태와 온/오프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택트 스위치, 푸시버튼식 등의 스위치버튼에 발광다이오드를 간단히 고정하기 위한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에 발광다이오드를 체결함에는 버튼에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좌우로 접속단자를 구성한 발광다이오드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단자는 외부로 노출되어 스위치몸체 외주면의 장홈을 따라 하향되어 하부케이스에서 돌출된 돌출편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장홈에서 접착제나 핀 등으로 접착 및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구성이나 핀체결구성은 작업자가 소형의 단자를 일일이 접착하게 됨으로 많은 수공과 함께 인력이 소모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과 함께 접착제가 쉽게 떨어지는 폐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에서 돌출된 돌출편의 통공을 관통한 발광다이오드의 접속단자를 약 90°회전하여 꼬임 상태를 형성함으로 단자가 통공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작업이 용이하여 저렴한 생산가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A light emitting diode coupling structure of switch}
본 고안은 소방설비, 전자계측기, CNC 등에 사용되는 각종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의 위치 및 점등상태와 온/오프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버튼식(push button type) 등의 스위치버튼에 발광다이오드를 간단히 고정하기 위한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및 전자제품은 전자분야의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인하여 그 기능과 성능이 날로 진보 발전됨과 함께 우수한 상품으로 생산되고 또한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소형화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포켓 내지는 의복에 체결시켜 휴대하여 수시로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또는 소방설비, 전자계측기, CNC 등에 사용되는 각종 스위치 등에 있어 스위치의 위치 및 점등상태와 온/오프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버튼식(push button type) 등의 스위치 버튼에 발광다이오드를 간단히 고정시켜 전원의 온/오프 또는 위치 등을 식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에 발광다이오드를 체결함에는 버튼에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좌우로 접속단자를 구성한 발광다이오드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단자는 외부로 노출되어 스위치몸체 외주면의 장홈을 따라 하향되어 하부케이스에서 돌출된 돌출편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장홈에서 접착제나 핀 등으로 접착 및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구성이나 핀체결구성은 작업자가 소형의 단자를 일일이 접착하게 됨으로 많은 수공과 함께 인력이 소모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과 함께 접착제가 쉽게 떨어지는 폐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 문제점을 간단히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하부케이스에서 돌출된 돌출편의 통공을 관통한 발광다이오드의 접속단자를 약 90°회전하여 꼬임 상태를 형성함으로 단자가 통공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작업이 용이하여 저렴한 생산가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의 (A)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 단면도.
(B)는 버튼을 누른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케이스 11: 하부케이스 12: 버튼
13: 수납공간 14: 장홈 15: 돌출편
16: 통공 20: 발광다이오드 21: 접속단자
22: 꼬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 단면도이며 (B)는 버튼을 누른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1)를 체결하는 스위치의 버튼(12)에 발광다이오드(20) 수납공간(13)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20)를 수용함과 함께 발광다이오드(20)의 접속단자(21)가 상부케이스(10) 외주면의 장홈(14)과 하부케이스(11)에서 돌출된 돌출편(15)의 통공(16)을 관통하여서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15)의 통공(16)을 관통한 접속단자(21)를 약 90°회전시켜 직각의 꼬임부(22)를 형성하므로 접속단자(21)가 통공(16)에서 이탈될 수 없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 단면도이며 (B)는 버튼을 누른상태의 단면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 (10)와 하부케이스(11)를 체결하는 통상의 스위치 버튼(12)에 LED램프(20) 수납공간(13)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20)를 수용함과 함께 발광다이오드(20)의 접속단자(21)가 상부케이스(10) 외주면의 장홈(14)과 하부케이스(11)에서 돌출된 돌출편 (15)의 통공 (16)을 관통시키되,
상기 돌출편(15)의 통공(16)을 관통한 접속단자(21)를 집게 등으로 고정하여 약 90°회전시켜 직각의 꼬임부(22)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꼬임부(22)가 통공(16)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접속단자(21)의 꼬임부(22)는 통공(16)을 통하여 이탈될 수 없고 또한 돌출편(15)과 밀착되어짐에 따라 발광다이오드(20)가 임의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공지와 같이
휴대용 통신 및 소형 전자제품과 소방설비, 전자계측기, CNC 등에 사용되는 각종 스위치 등에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12)을 가압하면 버튼(12)이 하강하면서 접지부(미도시됨)를 접속하여 전원이 '온'되고 이와 함께 버튼(12)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20)가 발광되어 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20)를 체결하기 위하여 접속단자(21)를 회전시켜 꼬임부(22)를 형성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발광다이오드(20)를 간단하고 견고히 고정할 수 있음으로서 종래와 같이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모됨으로 야기되는 폐단을 간단히 개선한 고안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소형제품 및 정밀제품에 편리성과 안전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스위치에 발광다이오드(20)를 구성할 때에 그 체결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특히 견고한 특징과 함께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단점을 개선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1)를 체결하는 스위치의 버튼(12)에 발광다이오드(20) 수납공간(13)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20)를 수용함과 함께 발광다이오드(20)의 접속단자(21)가 상부케이스(10) 외주면의 장홈(14)과 하부케이스(11)에서 돌출된 돌출편 (15)의 통공(16)을 관통하여서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15)의 통공(16)을 관통한 접속단자(21)를 약 90°회전시켜 직각의 꼬임부(22)를 형성 접속단자(21)가 통공(16)에서 이탈될 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
KR2020000011704U 2000-04-25 2000-04-25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 KR200198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04U KR200198580Y1 (ko) 2000-04-25 2000-04-25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04U KR200198580Y1 (ko) 2000-04-25 2000-04-25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80Y1 true KR200198580Y1 (ko) 2000-10-02

Family

ID=1965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04U KR200198580Y1 (ko) 2000-04-25 2000-04-25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90B1 (ko) * 2002-08-23 2005-04-15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스위칭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90B1 (ko) * 2002-08-23 2005-04-15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스위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396B2 (en) Headlamp lighting device
US6924605B2 (en) Combination voltage detector and LED flashlight
US8858044B2 (en) Foldable LED table lamp
US7014333B2 (en) Small portable flashlight
US10731831B2 (en) Clip lights and related systems
US7448769B1 (en) Extremely portable LED light
WO2010013716A1 (ja) 照明バンド、照明装置及びヘルメット
KR200198580Y1 (ko)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조
US6296369B1 (en) Lamp
US7452100B2 (en) Retractable, automatic, on/off flashlight system
CA2419393A1 (en) Light emitting diode 9-volt battery snap flashlight
US5454056A (en) Luminous pull-cord for electrical switch operation
CN113294759A (zh) 具走线槽的灯管
US6497494B1 (en) Lighting device for a socket wrench
GB2384120A (en) Lighting string with extending lighting structure
TWM563098U (zh) 電性插座
US7241022B2 (en) Pen with light source
JP3113527U (ja) 発光装置
KR200420022Y1 (ko) 광 발산 식별장치
JP3159188U (ja) 収容容器
JP3116069U (ja) 発光装身具
GB2429273A (en) Detachable light-emitting device
CN212510586U (zh) 一种手指灯
CN213019540U (zh) 一种幻彩灯串控制器
TWM379839U (en) Smart switch with LED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