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29Y1 - (전선접속에 있어서)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 Google Patents

(전선접속에 있어서)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29Y1
KR200198529Y1 KR2020000010365U KR20000010365U KR200198529Y1 KR 200198529 Y1 KR200198529 Y1 KR 200198529Y1 KR 2020000010365 U KR2020000010365 U KR 2020000010365U KR 20000010365 U KR20000010365 U KR 20000010365U KR 200198529 Y1 KR200198529 Y1 KR 200198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leeve
coin
aluminum
bra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욱
Original Assignee
양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종욱 filed Critical 양종욱
Priority to KR2020000010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접속의 분기용 슬리브에있어 알루미늄전선과 동전선을 압축 접속하는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다.
본 고안은 전선의 접속부위를 연결 압축하여 분기시키는 전선접속의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에 있어서 : 상기 슬리브 몸체 내에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쪽은 개방부를 갖는 전선 수용부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동파이프 삽입에 필요한 만큼만 개방부를 형성하고 : 슬리브 본체는 알루미늄이고 다른 한쪽은 동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동파이프를 전선 수용부에 밀폐 결합시킨 것으로 알루미늄 전선에서 동전선으로 분기 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에 필요한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이다.

Description

(전선접속에 있어서)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본 고안은 전선접속에 있어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는 본체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전선수용부 한 측에는 동으로 덮여있어 알루미늄 전선에서 동전선으로의 분기하는 접속 부위에 있어 서로 다른 전선의 연결로 인한 전기적 저항을 줄여 전선의 단선 및 부식을 예방하며 견고하고 용이하게 접속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슬리브는 직선용 이질금속 슬리브와 알루미늄 슬리브로 직선용 이질금속 슬리브는 직선용으로 전선의 분기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알루미늄 슬리브는 본체가 알루미늄으로만 되어있어 동선을 수용하면 부식이 쉽게되고 알루미늄과 동의 전기 전도도가 달라 저항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 전선의 단선이 쉽게된다.
.
도1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의 A-A'의 단면도
도3는 일반적인 이질금속 슬리브
도4는 일반적인 슬리브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슬리브의 본체, 2(20):본전선 수용부, 3(30)분기선 수용부, 4(40)분기선 수용부의 동표면, P슬리브의 중심
본 고안은 알루미늄전선과 동전선의 접속부위에 부식 및 산화를 예방하고 알루미늄전선에서 동전선으로의 분기에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다.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슬리브를 제3도에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현재 사용되는 직선용 이질금속 슬리브이고, 제4도는 알루미늄 슬리브이다.
3도의 경우는 본체(10)는 알루미늄으로 전선수용부(20).(30)을 갖는 구조로 본체의 한쪽(30)의 전선수용부 표면에 동으로 피복되어 있으나 분기용 전선을 수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4도의 경우는 본체(10)는 알루미늄이며 본선의 전선수용부(20)와 분기전선 수용부(30)로 되어 있어 동전선을 수용하면 저항치가 높아져 온도가 상승되며 부식 및 산화가 되어 동전선이 쉽게 단선되므로 알루미늄전선에서 동전선으로의 분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기존 슬리브는 전선의 분기을 할 수 없는 이질금속 슬리브이거나 동선을 수용할 수 없는 분기슬리브로 되어 있다.
이상의 종래 슬리브는 알루미늄 전선에서 동전선으로의 분기에 직선용 이질금속 슬리브는 사용할 수가 없으며 알루미늄 슬리브의 분기에는 동전선과 알루미늄슬리브의 본체가 서로 다른 금속으로 쉽게 부식되어 전선의 단선과 헐거워지는 현상을 일으켜 정전의 한 원인이 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구조적 특징은 동 파이프가 슬리브 본체에 밀착이 용이하게 되게 하기 위해 동파이프를 일직선으로 잘라 벌려 밀착시키는 구조이다.
첨부 도면중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의 전체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의A-A'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의 본체(1)는 알루미늄으로 전선이 연결될 수 있는 전선 수용부(2), (3)가 슬리부 중심(P)으로 주전선 수용부(2)는 완전 개방되고 분기선 수용부(3)는 동파이프 삽입에 필요한 만큼만 개방부을 형성하며 분기선 수용부(3) 내변 벽에 동파이프나 동도금으로 밀착벽(4)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때 주전선 수용부(2)와 분기선 수용부(3)에는 그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을 중심(P)으로하여 전선의 굵기에 상관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전선수용부(2), (3)의 원의 지름을 크기를 달리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 전선의 전선 수용부(2), (3)에 인입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중심(P)으로 하여 압축기로 오무리므로써 전선의 접속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전선 접속의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는 알루미늄전선과 동전선을 용이하게 접속시켜 연결부위의 저항을 줄여 접속 부위의 온도 상승을 막아 전선의 단선 및 부식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

Claims (2)

  1. 알루미늄전선에서 동전선으로의 전선접속부위에 연결 압축하여 분기시키는 분기용 이질금속슬리브에 있어서:
    슬리브 몸체 내에 서로 다른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개방부를 갖는 전선 안착부를 형성하되 알루미늄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 안착부는 몸체그대로 수용하고, 동전선을 수용하는 안착부는 동파이프을 슬리브 본체에 끼워넣는 각기 다른 금속의 전선 안착부을 형성하는 분기용 이질금속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동전선 수용하는 안착부의 표면에 동 도금막이 피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KR2020000010365U 2000-04-11 2000-04-11 (전선접속에 있어서)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KR200198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365U KR200198529Y1 (ko) 2000-04-11 2000-04-11 (전선접속에 있어서)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365U KR200198529Y1 (ko) 2000-04-11 2000-04-11 (전선접속에 있어서)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29Y1 true KR200198529Y1 (ko) 2000-10-02

Family

ID=1965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365U KR200198529Y1 (ko) 2000-04-11 2000-04-11 (전선접속에 있어서)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948B1 (ko) 2010-01-28 2012-12-18 오석환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변압기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948B1 (ko) 2010-01-28 2012-12-18 오석환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변압기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184B1 (en) Electrical fitting for snap in connection of cables
US4210381A (en) Electrical connector contacts
US20090229880A1 (en) Conductor and Wire Harness
CN102971915A (zh) 用于线束的端子结构
GB2418303A (en) Coaxial connector with two interconnected contacts
JP2009049009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用の中空内部導体コンタクト
WO2006016940A1 (en) Wedge connector assembly
JP2003503207A (ja) 溶接トーチ連結用コネクタ
KR200198529Y1 (ko) (전선접속에 있어서)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JP2005524209A (ja) 回り接手
JP2009021148A (ja) 電線接続構造
KR200272235Y1 (ko)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JP4108194B2 (ja) 金属撚り線接続管
US2669600A (en) Dead-end connector
GB2364755A (en) Push-in tube fittings
EP0959527A3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wire connection at cable entry end
CN210957165U (zh) 一种无背卡连接器的卸力结构
KR200324800Y1 (ko) 분기선 접속단자
US5708234A (en) Wire connector
KR200290248Y1 (ko) 양측에 몰드콘 처리된 연결구를 갖는 슬리브
JPS60250885A (ja) スポツト溶接用水冷ケ−ブル
CN210444084U (zh) 一种电机定子过线架结构
WO2021106958A1 (ja) 端子及びケーブル付き給電コネクタ
US20030037944A1 (en) Flexible electrical coupling with conductive bonding jumper
US3474378A (en) Water service fitting with thaw wir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