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13Y1 - 다용도 멜빵가방 - Google Patents

다용도 멜빵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13Y1
KR200198513Y1 KR2020000009742U KR20000009742U KR200198513Y1 KR 200198513 Y1 KR200198513 Y1 KR 200198513Y1 KR 2020000009742 U KR2020000009742 U KR 2020000009742U KR 20000009742 U KR20000009742 U KR 20000009742U KR 200198513 Y1 KR200198513 Y1 KR 200198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torage
bag body
suspender
stora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대
Original Assignee
서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대 filed Critical 서종대
Priority to KR2020000009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에 결합된 멜빵끈을 갖는 멜빵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방본체의 측벽에 결합되어 부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부수납부재와; 물품을 수납하여 상기 부수납부재에 수용가능한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가방본체와 부수납부재내에 신발 등의 물품 분리수납이 가능하고, 인출이 편리하며 청결관리가 용이한 다용도 멜빵가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용도 멜빵가방{Multi-uses Shoulder Bag}
본 고안은, 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와 멜빵끈을 갖는 멜빵가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멜빵가방은 주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와 가방본체외측에 결합되는 보조수납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보조수납부재는 구조와 위치 상 물품수납의 활용도가 낮아 실내화주머니는 통상 따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고, 분리 수납이 필요한 준비물에 대해서는 별도의 보조가방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교실 내에서 이들의 가방 보관관리 공간이 요구되며, 분실이나 다른 가방들과의 뒤바뀜 문제로 학생들에게 항시 가방관리의 긴장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실내화가방과 보조가방을 따로 구입해야 하므로, 이중삼중의 비용이 드는 경제적 부담감을 안겨주게 된다.
이처럼, 학생들이 실내화가방 및 보조가방을 별도로 휴대 및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실내화 수납형 학생용 멜빵가방(멀티유니백)이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실1999-0033754 호에 의해 공보 된 바 있다.
도 6은 종래의 실내화수납형 멜빵가방(100)의 후면도이며, 실용 신안공보 제 실1999-0033754 호를 인용한 것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멜빵가방(100)은 상부에는 책을 수납할 수 있는 주수납실(101), 하부에는 실내화를 수납하는 실내화수납실(102)이 마련되어 있고, 가방 좌우 외측부에 연필 등의 필기구를 수납하는 필기도구수납실(103)과 수첩 등을 수납하는 다용도수납실(105)이 형성되어 있다. 주수납실(101)과 실내화수납실(102)의 접합부(106)는 방수천으로 피막처리된 우레탄 아크릴 재료로 제작되어 있고, 실내화수납실(102)의 어느 일측에는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지퍼(107)가 마련되어 있으며, 보조수납실(102) 내부에는 전천후 사용이 가능한 방수천으로 된 착탈식주머니(104)가 일측이 고정되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연필통과 실내화주머니를 따로 휴대하지 않아도 돼 편리함이 있고, 개별적으로 구입할 경우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멜빵가방(101)에 있어서는, 멜빵가방 구조상 상기 실내화수납실(102)의 폭이 제한되어 수납공간이 협소하고, 개폐지퍼가 가방 하부의 상기 실내화수납실(102) 일측에 구성되어 있어 실내화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시야와 손이 가방 하부에 근접한 접근이 필요하며, 상기 실내화수납실(102)에 내장되어 있는 착탈식 주머니(104)의 수납공간 형태가 변형될 시 실내화 출입에 간섭을 주는 등 구조상으로 볼 때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착탈식 주머니(104)가 방수천으로 되어 있어 수납 공간 형태 유지가 곤란하고, 신발을 인출시 실내화에 부착되어 함께 딸려 나올 수도 있으며, 젖은 신발을 수납하였을 때 방수천이라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못해 상기 실내화수납실(102)안에 물이 고여 가방의 무게를 가중시키며,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장시간 방치시 신발이 건조되지 못해 불쾌한 냄새가 나고 위생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멜빵가방(1)에 실내화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서 이에 해당하는 만큼 가방의 높이가 높아져 가방을 메는 신체 구조상 부조화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수납부재에 다용도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가방본체와 부수납부재내에 신발 등의 물품 분리수납이 가능하고, 인출이 편리하며 청결관리가 용이한 다용도 멜빵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멜빵가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멜빵가방 실시 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멜빵가방에 사용되는 수납케이스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멜빵가방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멜빵가방의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학생용 멜빵가방의 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멜빵가방 2 : 가방본체
3 : 가방본체지퍼 5 : 멜빵끈
7, 7a, 7b : 부수납부재 8 : 개폐커버
9 : 개폐부재 10, 10a, 10b : 수납케이스
11 : 구획판 13 : 배출공
15 : 안내슬롯 17 : 배출구
19, 19a : 손잡이부 21 : 실내화
23 : 접기우산 25 : 가방걸이 손잡이
27 : 가방지지부 28, 28a : 원격선 관통구
100 : 멜빵가방 101 : 주수납실
102 : 실내화수납실 103 : 필기도구수납실
104 : 착탈식주머니 105 : 다용도 수납실
106 : 접합부 107 : 개폐지퍼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에 결합된 멜빵끈을 갖는 멜빵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방본체에 결합되어 부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부수납부재와, 물품을 수납하여 상기 부수납부재에 수용가능한 수납케이스와, 상기 가방본체의 후면에서 개폐되는 내장형 수납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수납부재는 상기 가방본체 내벽면, 외벽면(정면, 측면)에 설치가능하며, 상기 수납케이스는 일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된 통형상이며, 그 내부를 복수의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멜빵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멜빵가방 실시 예의 정면도이고,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멜빵가방에 사용되는 수납케이스(10)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멜빵가방(1)은, 종래의 멜빵가방(100)과 마찬가지로 주 물품을 수납하는 가방본체(2)와 멜빵끈(5)을 갖는다. 그리고, 이 멜빵가방(1)은 신발 등의 물품을 수용하는 수납케이스(10)가 포함된 하향식 부수납부재(7)와 가방본체(2)를 지지하는 가방지지부(27)를 더 가진다.
여기서, 상기 부수납부재(7)는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인 사각주머니이며, 상기 가방본체에 내장, 외부면(정면, 측면)에 구성이 가능하고 가방본체(2)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부수납부재(7) 상부의 개방영역에는 이 개방구에 외부의 오염물의 인입을 막고,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개폐커버(8)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개폐커버(8)와 부수납부재(7) 사이에는 지퍼 등의 개폐부재(9)가 형성되어 개폐커버(8)와 부수납부재(7)의 체결부분을 개폐시킨다. 또한, 부수납부재(7)내에는 물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분리수납이 가능한 수납케이스(10)가 수용되어 있고, 부수납부재(7)의 일영역에는 구체적으로 후술할 배출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케이스(10)는 일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수납케이스(10)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착탈용 손잡이부(19a)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11)을 가진다. 그리고 수납케이스(10) 내측에는, 구획판(11)의 단부영역을 수용하며 구획판(11)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슬롯(15)이 물품의 투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안내슬롯(15)에 슬라이딩 결합된 구획판(11)은 수납케이스(10)를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분할한다. 또한, 수납케이스(10) 하부영역에는 부수납부재(7)에 형성되는 배출공(13)과 상호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케이스(11)에는 부수납부재(7)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19)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부(19)는 수납케이스(11)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거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리브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배출구(17)는 내경에 작은 물건들이 빠지지 않도록 그물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신발에서 하락된 흙 및 모래 등이 배출구(17)와 연통된 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오염물이 쌓이지 않고, 젖은 물품을 수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가방본체(2)로 물이 퍼지지 않고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가방지지부(27)는 멜빵가방(1)의 가방본체(2) 저부면에 마련되며, 가방이 놓이는 바닥면과 가방저면을 격리하여 가방저면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훼손을 억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멜빵가방(1)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빵가방(1)은 가방본체(2)와 멜빵(5), 수납케이스(10a)를 수용한 부수납부재(7a)를 가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제 2실시 예에서의 부수납부재(7a)는 일측이 개구되어 물품이 멜빵가방(1)의 하부면에 평행하게 삽입되어 수평다단으로 수납되는 수평수납식으로서, 이 경우 부수납부재(7a)의 일측부에 출입구가 형성되므로 멜빵가방(1)을 멘 상태에서 물품의 수납과 인출이 더욱 용이한 구성이 제공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멜빵가방(1)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도 전술한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부수납부재(7b)는 가방본체(2)의 좌우 양측에 구성되며, 수납케이스(10b)가 양측 부수납부재(7b)안에 각각 마련되어 용도별 물품들을 분리하여 수납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도 1에서 도 5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가방 본체(2)의 후면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가방을 멘 채 개폐가능하며 열쇠 및 손지갑 등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내장형 수납주머니(29)와, 가방 본체(2)와 부수납부재(7, 7a, 7b) 그리고 수납케이스(10, 10a, 10b)를 연통하며 가방본체(2) 또는 수납케이스(10, 10a, 10b)내 수납되어 작동되는 휴대폰과 휴대 음향기기 등을 원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이어폰 및 마이크 등의 원격선이 수납케이스(10, 10a, 10b)의 손잡이부(19)를 통하여 부수납부재(7, 7a, 7b)의 내측벽과 가방 본체(2)후면 또는 일측벽을 경유해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원격선(미도시) 관통공(28, 28a)이 마련되어 휴대폰 등 휴대 기기의 훼손과 분실 요인을 감소시킬 뿐만이 아니라 원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부수납부재를 고정식으로 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부수납부재가 가방본체와 상호 결합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후크, 지퍼 등의 결합부재를 마련하여 가방본체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부수납부재의 개폐부재는 지퍼로 하는 것 이외에 벨트 Locker, 접착천(velcro), 합단추, 고리(hook)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부수납부재를 멜빵가방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가방본체내의 수용공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수납케이스를 수용하는 부수납부재를 내장하고 가방본체 상부 또는 일측부에 수납 개폐부를 마련할 수 있다.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물품 수납방향으로 하여 수납케이스 내벽 양측에 형성된 안내슬롯이 구획판을 수용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수납케이스 내벽 양측에 복수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구획판 양측 단부에 복수의 삽입돌기를 마련하여 착탈하는 구조와 접착천(Velcro) 및 합단추를 사용하는 착탈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케이스는 부수납부재에 수용할 수도 있으나 동일한 재질의 수납케이스와 개폐커버에 외장피막하며 개폐부재가 구성된 한 조의 수납케이스를 가방본체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부수납부재안에 충분한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수납케이스안의 구획판이 복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실내화나 접기우산이외에도 본체의 물건들에 손상을 주거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소형카세트, 휴대폰, 녹음테이프, 금속 물체, 유리 물체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고 휴대폰 또는 휴대 음향기기의 수납상태에서 원격선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가방본체와 부수납부재내에 분리수납할 수 있으며, 신발 등의 수납 물품 인출이 편리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청결관리가 용이한 다용도 멜빵가방이 제공된다.

Claims (6)

  1. 주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에 결합된 멜빵끈을 갖는 멜빵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의 측벽에 결합되어 부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부수납부재와;
    물품을 수납하여 상기 부수납부재에 수용가능한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납부재는 상기 가방본체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납부재는 상기 가방본체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일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된 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를 복수의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가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의 후면에서 개폐되는 내장형 수납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 가방.
KR2020000009742U 2000-04-06 2000-04-06 다용도 멜빵가방 KR200198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742U KR200198513Y1 (ko) 2000-04-06 2000-04-06 다용도 멜빵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742U KR200198513Y1 (ko) 2000-04-06 2000-04-06 다용도 멜빵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13Y1 true KR200198513Y1 (ko) 2000-10-02

Family

ID=1965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742U KR200198513Y1 (ko) 2000-04-06 2000-04-06 다용도 멜빵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1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23Y1 (ko) * 2001-02-15 2001-10-25 제일모직주식회사 학생용 다기능 등배낭
KR100438683B1 (ko) * 2002-02-22 2004-07-02 주한흥 배낭형 학생가방
KR100756516B1 (ko) 2006-12-11 2007-09-10 원종천 휴대용 가방
KR200460035Y1 (ko) * 2011-12-05 2012-04-27 이진환 고정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하는 등산용 배낭
KR200463635Y1 (ko) 2011-05-16 2012-11-20 이영제 보조 수납 공간이 마련된 가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23Y1 (ko) * 2001-02-15 2001-10-25 제일모직주식회사 학생용 다기능 등배낭
KR100438683B1 (ko) * 2002-02-22 2004-07-02 주한흥 배낭형 학생가방
KR100756516B1 (ko) 2006-12-11 2007-09-10 원종천 휴대용 가방
KR200463635Y1 (ko) 2011-05-16 2012-11-20 이영제 보조 수납 공간이 마련된 가방
KR200460035Y1 (ko) * 2011-12-05 2012-04-27 이진환 고정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하는 등산용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0952B1 (en) Sundry pouch for backpacks
US9055805B2 (en) Gym locker organizer bag
US6523653B2 (en) Portable removable carrying case organizer
US8651353B2 (en) Gym locker organizer backpack
US8596458B1 (en) Traveler's hygienic tote
US5680914A (en) Portable lap office assembly having internal desktop writing surface
CA2264478C (en) Article of luggage having divider for opposing sections
KR200198513Y1 (ko) 다용도 멜빵가방
US20210059387A1 (en) Backpack
US10342309B2 (en) Luggage with dynamic volume receptacle
KR200490721Y1 (ko) 가방
US6022259A (en) Apparatus for storing fashion doll clothes and accessories
JP6679821B1 (ja) 携帯用筆袋
EP1885214A2 (en) Configurable travel accessory
KR101575745B1 (ko) 휴대용 가방
KR200231465Y1 (ko) 손톱소제용구함
KR20200033357A (ko) 보조수납부가 구비된 배낭
JP3082428U (ja) 旅行用ケース
CN214594686U (zh) 吹风机
KR20180000609U (ko) 가방용 파티션커버
KR20180002045U (ko) 추가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방
KR200328402Y1 (ko) 보조가방을 가지는 가방
JP3062552U (ja) 木製ハンドバッグ
KR200175574Y1 (ko) 다목적 백
JP3218562U (ja) 拡張ポケット付きキャリ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