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12Y1 -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12Y1
KR200198512Y1 KR2020000009734U KR20000009734U KR200198512Y1 KR 200198512 Y1 KR200198512 Y1 KR 200198512Y1 KR 2020000009734 U KR2020000009734 U KR 2020000009734U KR 20000009734 U KR20000009734 U KR 20000009734U KR 200198512 Y1 KR200198512 Y1 KR 200198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velcro tape
case
phone cas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주
Original Assignee
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주 filed Critical 정영주
Priority to KR2020000009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휴대전화기 케이스에 있어서, 통상의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일측에 밸크로 테입을 부착형성하고, 가방등의 어깨끈에 전기한 벨크로 테입과 대응되는 또다른 밸크로 테입을 부착 형성하므로서, 사용자의 전화통화시 그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전화기를 꺼내어 통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그 휴대전화기 케이스 자체를 가방의 어깨끈으로부터 분리하여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화가 종료된 후에는 그 케이스를 벨크로 테입에 의해 다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벨크로 테입에 의해 그 부착 높낮이를 임의대로 조절 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Removable device of cellular phone case}
본 고안은 통상의 휴대전화기 케이스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벨크로 테입을 부착 형성하고 가방등의 어깨끈에는 또다른 벨크로 테입을 부착 형성하므로서, 탈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부착 높낮이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전화기의 보급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전화기의 보급은 그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개발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통상의 휴대전화기 케이스는 그 휴대전화기의 외장보호를 주목적으로 하고, 각종 악세사리를 부착하여 장식의 효과를 가미하고, 허리띠나 가방등에 걸어 휴대토록 하거나, 가방등의 어깨끈에 휴대전화기 케이스를 부착형성하여 제공하므로서 보다 용이한 휴대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휴대전화기의 케이스는 케이스의 외장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케이스의 경우에는, 그 케이스의 두께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부피보다 커지게 되므로 휴대가 오히려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허리띠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행동이 부자연스러우며 전화가 오는 경우 고개를 숙여 그 케이스로부터 전화기를 꺼내어 통화를 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가방의 어깨끈에 부착고정되어 제공되는 휴대전화기 케이스 역시,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가방에 부착된 케이스로부터 휴대전화기를 꺼내어 통화를 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다시 전화기를 그 케이스내에 넣어야 하는 것이며, 일률적인 높이로 고정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지므로, 사용자의 취향이나 가방끈의 길이조절에 따른 높낮이의 변화를 감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통상의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에 밸크로 테입을 부착형성하고, 가방등의 어깨끈에 전기한 벨크로 테입과 대응되는 또다른 밸크로 테입을 부착 형성하므로서, 사용자의 전화통화시 그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전화기를 꺼내어 통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그 휴대전화기 케이스 자체를 가방의 어깨끈으로부터 분리하여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화가 종료된 후에는 그 케이스를 벨크로 테입에 의해 다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벨크로 테입에 의해 그 부착 높낮이를 임의대로 조절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그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수신통공
3 : 송신통공 4 : 투시창
6 : 벨크로 테입 7 : 가방
8 : 어깨끈 9 : 벨크로 테입
10,10' : 날개판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측단면설명도이다.
몸체(1) 상하부에 수신통공(2)과 송신통공(3) 및 투시창(4)을 갖는 통상의 휴대전화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그 몸체(1) 일측면에 벨크로 테입(6)을 부착 형성하고, 통상의 가방(7) 어깨끈(8)에는 전기한 벨크로 테입(6)과 대응되는 또다른 벨크로 테입(9)을 보다 길게 연장형성하여 부착 고정하여되는 것이다.
또, 전기한 몸체(1)의 양측면에 날개판(10)(10')을 연장형성하여 이에 벨크로 테입을 부착형성하므로서 그 날개판(10)(10')에 의해 어깨끈(8)을 감싸 부착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설명도로서, 몸체(1)의 일측면 즉, 수신통공(2) 및 송신통공(3)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에 벨트로 테입(6)을 부착 형성하고, 가방(7)의 어깨끈(8)에는 전기한 벨크로 테입(6)과 대응되는 또다른 벨크로 테입(9)을 부착 형성하되, 그 벨크로 테입(9)은 전기한 벨크로 테입(6)보다 더욱 길게 연장 형성하여 고정하므로서, 휴대전화기의 몸체(1)의 부착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대로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를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사용자의 가방(7) 어깨끈(8)에 보다 길게 연장형성된 벨크로 테입(9)에 의해 그 몸체(1)의 일측에 부착된 벨크로 테입(6)을 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중에 전화가 오는 경우, 또는 전화를 걸게 되는 경우 그 몸체(1)로부터 전화기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벨크로 테입(6)(9)을 분리하여 휴대전화기 케이스 몸체(1)를 어깨끈(8)으로부터 분리하여 그 수신통공(1) 및 송신통공(2)에 의해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전화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잡한 지역에서 보다 간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가방(7)의 어깨끈(8)을 임의대로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이때에도 보다 길게 연장형성된 벨크로 테입(9)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그 조절된 어깨끈(8)의 길이에 구애없이 연장형성된 벨크로 테입(9)에 의해 그 사용범위가 확장되는 것이며,
가방(7)의 종류에 따라 혹은 사용자의 사용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그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4의 도시와 같이 몸체(1)의 양측면에 날개판(10)(10')을 연장형성하여, 일측 날개판(10)의 내측에 벨크로 테입을 형성하고, 타측 날개판(10')에 대응되는 벨크로 테입을 형성하므로서, 그 날개판(10)(10')을 가방(7)의 어깨끈(8)에 감싸 벨크로 테입에 의해 부착 고정하면 보다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심한 마찰 또는 충격이나 격렬한 운동중에도 그 어깨끈(8)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
전기한 몸체 일측의 벨크로 테입이나 몸체 측면의 날개판은 서로 각각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병행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착탈구조는 사용자의 전화통화시 그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전화기를 꺼내어 통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그 휴대전화기 케이스 자체를 가방의 어깨끈으로부터 분리하여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화가 종료된 후에는 그 케이스를 벨크로 테입에 의해 용이하게 다시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벨크로 테입에 의해 그 부착 높낮이를 임의대로 조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몸체(1) 상하부에 수신통공(2)과 송신통공(3) 및 투시창(4)을 갖는 통상의 휴대전화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그 몸체(1) 일측면에 벨크로 테입(6)을 부착 형성하고, 통상의 가방(7) 어깨끈(8)에는 전기한 벨크로 테입(6)과 대응되는 또다른 벨크로 테입(9)을 보다 길게 연장형성하여 이를 부착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의 양측면에 날개판(10)(10')을 연장형성하되, 일측 날개판(10)의 내측면과 타측 날개판(10')의 외측면에 각각 벨크로 테입(6)(9)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KR2020000009734U 2000-04-06 2000-04-06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KR200198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734U KR200198512Y1 (ko) 2000-04-06 2000-04-06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734U KR200198512Y1 (ko) 2000-04-06 2000-04-06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12Y1 true KR200198512Y1 (ko) 2000-10-02

Family

ID=1965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734U KR200198512Y1 (ko) 2000-04-06 2000-04-06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44Y1 (ko) 2008-06-12 2010-10-11 전재창 부착 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608701B1 (ko) 2014-02-07 2016-04-04 이득우 호각 보관용 포켓을 구비한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44Y1 (ko) 2008-06-12 2010-10-11 전재창 부착 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608701B1 (ko) 2014-02-07 2016-04-04 이득우 호각 보관용 포켓을 구비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5890B2 (en) Wrist-worn mobile telephone
US7508932B1 (en) Cell phone holder headband
US20180069580A1 (en) Cell bracelet/necklace
KR200198512Y1 (ko) 휴대전화기 케이스의 탈착구조
CA2395918A1 (en) Over the shoulder holster belt
KR200177555Y1 (ko) 휴대폰의 휴대구조
GB2339359A (en) Hand strap carrier for a radiotelephone.
JP3112275U (ja) 送受信器保持具
JPH0530599A (ja) 骨導型バイブレータ端子装着装置
KR200194463Y1 (ko) 핸드폰 휴대를 위한 어깨걸이겸 이어마이크폰
JP2002194610A (ja) 携帯電話装着用バンド
US20030074721A1 (en) Headwear with a mobile phone securing device
US20040005050A1 (en) Hands free personal phone holder
JP3016256U (ja) 携帯電話等の携帯具
KR200292178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KR100542954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착탈밴드
KR200372015Y1 (ko) 핸드폰 벨트
KR200239543Y1 (ko) 핸드폰 휴대 케이스
KR200400374Y1 (ko) 악세사리 유형 휴대 안테나 장치
JP3081639U (ja) ヘッドバンド付きテレホルダー
KR200235264Y1 (ko) 멜빵식 휴대전화기 보관
KR200485821Y1 (ko)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
KR200255139Y1 (ko) 휴대폰 손목부착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손목부착식 휴대폰
KR200247578Y1 (ko) 휴대폰 분실 방지장치
KR200248632Y1 (ko) 하의 주머니의 휴대전화기 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