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448Y1 - 종점검출모니터장치 - Google Patents

종점검출모니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448Y1
KR200198448Y1 KR2019970035467U KR19970035467U KR200198448Y1 KR 200198448 Y1 KR200198448 Y1 KR 200198448Y1 KR 2019970035467 U KR2019970035467 U KR 2019970035467U KR 19970035467 U KR19970035467 U KR 19970035467U KR 200198448 Y1 KR200198448 Y1 KR 200198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oint
output
detection
point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138U (ko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70035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44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4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20Sequence of activit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easurements, corrections, marking or sorting steps
    • H01L22/26Acting in response to an ongoing measurement without interruption of processing, e.g. endpoint detection, in-situ thickness measur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69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drying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두 가지의 종점검출 방법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 종점검출 시스템의 노이즈로 인해 적합한 시기가 아닌 사전에 종점검출(EPD)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에칭개스 검출법과 부산물 검출법을 함께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종점을 검출하여 모니터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사용했을 때에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종점검출 오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END-POINT-DETECTOR MONITOR APPARATUS}
본 고안은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칭장비에 있어서 에칭개스(etchant) 검출법과 부산물(biproduct) 검출법을 함께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종점(End-Point)을 검출하여 모니터하는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에칭개스 검출법을 이용한 종점검출 모니터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종래 에칭개스 검출법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개스(etching gas) 검출법은 에칭을 일으키는 개스가 발산하는 빛을 감지하여 종점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먼저 에칭 챔버(chamber) 내에서 웨이퍼(wafer) 상의 특정 필름(film)이 어떤 에칭 개스에 의해 에칭이 될 때 광센서(10)는 에칭 개스가 발산하는 빛의 파장 (λ1)을 감지한다.
그러나, 필름의 에칭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에칭 개스가 모두 사용되어 광센서(10)는 감지를 하지 못하여, 모니터 상에는 어떤 파형도 나타나지 않는다(①영역 : 이때, 디스플레이 출력은 볼트(V)단위로 표시한다).
필름의 에칭이 끝나감에 따라 에칭 개스의 챔버 내 잔류량이 많아져 파장 (λ1)의 디스플레이 출력은 점차 커지며(②영역), 이것이 어떤 주어진 값에 이르면 종점검출(EPD)이 형성된다(③영역).
도 2는 종래 부산물 검출법을 이용한 종점검출 모니터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종래 부산물 검출법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산물 검출법은 어떤 필름이 에칭될 때 이들의 부산물이 발산하는 빛의 파장 (λ2)을 광센서로 감지하여 종점검출(EPD)을 형성한다.
즉, 에칭 초기 필름의 부산물이 거의 없어 0V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다가(①영역), 에칭이 진행되어 부산물이 많아지면 최대의 출력을 나타내고(②영역), 에칭이 완료되면 부산물이 없어져 이들이 발산하는 빛의 파장 (λ2)에 대한 출력이 제로('0')로 떨어지면서 종점검출(EPD)이 형성된다(③영역).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점검출 방법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 종점검출 시스템의 노이즈로 인해 적합한 시기가 아닌 사전에 종점검출(EPD)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에칭개스 검출법과 부산물 검출법을 함께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종점을 검출하여 모니터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에칭개스 검출법을 이용한 종점검출 모니터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 부산물 검출법을 이용한 종점검출 모니터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종래 에칭개스 검출법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종래 부산물 검출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종래 종점검출의 문제점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를 적용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20,21 : 광센서 12,22,23 : 광증폭기
13,24 : 앰프 14,25 : 마이크로컴퓨터
15,26 : 모니터 장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의 구성은, 챔버내에서 에칭 개스가 발산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제1 광센서와; 상기 챔버내에서 에칭에 따른 부산물이 발산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제2 광센서와; 상기 제1, 제2 광센서에서 출력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제2 광증폭기와; 상기 제1, 제2 광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를 받아들여 두신호의 차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와; 상기 앰프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신호가 제로로되는 시점에서 종점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받은 종점검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6는 본 고안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 내의 에칭 개스가 발산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제1 광센서(20)와; 상기 챔버내의 에칭에 따른 부산물이 발산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제2 광센서(21)와; 상기 제1, 제2 광센서(20, 21)에서 출력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제2 광증폭기(22, 23)와; 상기 제1, 제2 광증폭기(22, 23)에서 출력한 신호를 받아들여 두신호의 차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24)와; 상기 앰프(2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신호가 제로가 되는 시점에서 종점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25)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5)로부터 받은 종점검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장치(26)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 종점 검출 모니터 장치를 적용한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chamber) 내에 에칭개스를 검출하는 제1 광센서(20)와 에칭에 따른 부산물을 검출하는 제2 광센서(21)를 설치하고, 상기 제1 광센서(20) 및 제2 광센서(21)에서 검출한 빛의 파장 (λ1)과 파장 (λ2)은 각각 V1과 V2의 전압으로 출력하며, 이를 제1, 제2 광증폭기(22, 23)에서 1차 증폭되고, 앰프(24)를 통해 상기 V1과 V2의 차 전압이 증폭되어 마이크로컴퓨터(25)로 입력되며, 이 마이크로컴퓨터(25)에서 입력된 차전압의 크기가 제로로 되는 시점에서 종점검출 신호를 모니터 장치(26)로 보내고, 모니터 장치(26)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5)로부터 입력된 종점검출 신호에 맞는 전압의 그래프를 화면에 나타낸다.
초기에는 먼저 모니터 장치(26)에 나타나는 V1과 V2전압의 파형을 V1이 V2보다 높은 전압레벨로 나타나게 하고, 각 파형의 크기를 조절하여 어느 일정지점(V1- V2= 0)에서 만나게 하여 이를 종점(End-Point)의 위치로 설정한 후, 실제 제1, 제2 광센서(20, 21)에서 출력되는 V1- V2를 모니터하여 V1- V2= 0 인 위치에서 종점(End-Point)이 형성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는 에칭개스 검출법과 부산물 검출법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사용했을 때에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종점검출 오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에칭 개스가 발산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제1 광센서와; 초기출력레벨이 상기 제1광센서보다 낮게 설정되고, 부산물이 발산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제2 광센서와; 상기 제1, 제2 광센서에서 출력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제2 광증폭기와; 상기 제1, 제2 광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를 받아들여 두신호의 차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와; 상기 앰프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신호가 제로로되는 시점에서 종점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받은 종점검출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장치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점검출 모니터 장치.
KR2019970035467U 1997-12-03 1997-12-03 종점검출모니터장치 KR200198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467U KR200198448Y1 (ko) 1997-12-03 1997-12-03 종점검출모니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467U KR200198448Y1 (ko) 1997-12-03 1997-12-03 종점검출모니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38U KR19990023138U (ko) 1999-07-05
KR200198448Y1 true KR200198448Y1 (ko) 2000-12-01

Family

ID=1951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467U KR200198448Y1 (ko) 1997-12-03 1997-12-03 종점검출모니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4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38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8448Y1 (ko) 종점검출모니터장치
JP2543826B2 (ja) ペ―スト吐出装置及び方法
US4341994A (en) Power level measurement system
US7260996B2 (en)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and pressure sensor thereof
CN112798180A (zh) 力传感器的故障检测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1064884A (ja) エッチング装置及びエッチング方法
KR200279421Y1 (ko) 압력계 겸용 디지털 압력 스위치
JP3168148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2003179035A (ja) プラズマ応用機器におけるエンドポイント検出方法
JPH0449527Y2 (ko)
KR100246772B1 (ko) 레이저 구동 장치
JP3403286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の放電制御方法
JPS61264728A (ja) ドライエツチング終点検出方法
KR20050049774A (ko) 래틀소음 측정 시스템
US20050005701A1 (en)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and pressure sensor thereof
KR920001498B1 (ko)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브라운관 해상도 측정장치
KR20000012531U (ko) 온도 변위차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량 측정장치
KR100413681B1 (ko) 램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S61240118A (ja) 変動データ補正装置
KR19990002997A (ko) 초음파 거리측정 장치의 고장검지장치 및 방법
KR19990012453U (ko) 상호 유도를 이용한 식각 종료점 검출장치
JPS63312986A (ja) エツチング処理装置
JPH10253667A (ja) 光応用電流電圧センサled制御回路
JPH09280983A (ja) 荷重測定装置
JPH0651273A (ja) 液晶表示装置の直流印加電圧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