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101Y1 -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101Y1
KR200198101Y1 KR2020000013359U KR20000013359U KR200198101Y1 KR 200198101 Y1 KR200198101 Y1 KR 200198101Y1 KR 2020000013359 U KR2020000013359 U KR 2020000013359U KR 20000013359 U KR20000013359 U KR 20000013359U KR 200198101 Y1 KR200198101 Y1 KR 200198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ower
power line
terminal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영
Original Assignee
정온하이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온하이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온하이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3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력선 연결소켓과 전원공급회로를 갖추고 있는 전원공급장치와,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전력과 통신 신호를 동시에 전송 받을 수 있도록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선 연결소켓 출력단에 연결되는 필터부와, 신호를 변조 및 복조시키는 변,복조부와, 변조 및 복조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신호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메인보드와 통신용 단말장치 간을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필터부에 인가되는 전력을 전원으로하여 구동되고,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신호와 함께 흐르는 전력을 통신용 단말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통신용 단말장치를 컴퓨터 전력공급장치내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메인보드에 통신용 단말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POWER LINE TELECOMMUNICATION MODEM FOR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용 통신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통신은 기존의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축 케이블, 광 케이블 등과 같은 별도의 전용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과,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한편, 컴퓨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전화 회선 또는 전용 회선, 전력선 등으로 전송되는 통신 신호를 변조 및 복조시키는 모뎀 등과 같은 통신용 단말장치를 구비해야 하는데, 이러한 통신용 단말장치는 컴퓨터 본체의 확장 슬롯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내장형 통신용 단말장치와, 컴퓨터 본체의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외장형 통신용 단말장치 등이 있다. 내장형 통신용 단말장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외장형 통신용 단말장치는 외부의 전력선으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내장형 통신용 단말장치와 외장형 통신용 단말장치는 별도의 통신용 단말장치 카드를 구비해야 하고, 컴퓨터 본체의 내부에 통신용 단말장치 카드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외장형 통신용 단말장치의 경우에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공급장치와는 다른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통신용 단말장치의 제작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통신용 단말장치 사용 전력을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통신용 단말장치 카드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치 않는 통신용 단말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한편, 전력선을 통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를 이용한다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즉,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주고 받는 바, 통신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전력을 통신용 단말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한다면,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통신용 단말장치를 컴퓨터 본체의 전력공급장치내에 일체로 설치한다면, 통신용 단말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컴퓨터 본체의 메인보드에 별도로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신 신호와 함께 흐르는 전력을 통신용 단말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력과 통신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용 단말장치를 컴퓨터 본체의 전력공급장치내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통신용 단말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치 않는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본체의 외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원공급장치 3: 케이스
5: 전력선 연결소켓 7: 전원공급회로
10: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12: 필터부
14: 변,복조부 16: 제어부
18: 통신 인터페이스부 19: 외부입출력단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력선 연결소켓과 전원공급회로를 갖추고 있는 전원공급장치와,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전력과 통신 신호를 동시에 전송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선 연결소켓 출력단에 연결되는 필터부와, 신호를 변조 및 복조시키는 변,복조부와, 변조 및 복조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신호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메인보드와 통신용 단말장치 간을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부에 인가되는 전력을 전원으로하여 구동되고,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본체의 외관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10)는 전원공급장치(1)에 일체로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컴퓨터 본체(C)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장치(1)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전원공급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를 가지며, 케이스(3)에는 전력선 연결소켓(5)과 전원공급회로(7)가 설치된다. 전력선 연결소켓(5)은 도 2에서와 같이 연결 케이블(5a)과 접속되어 외부의 전력을 장치내로 인가하는 것이며, 전원공급회로(7)는 인가되는 교류 상용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바꾸어 전원 연결선(7a)을 통하여 컴퓨터 본체(C)의 메인보드(M)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3)의 일측에는 전원공급회로(7)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팬(9)이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10)는 전원공급장치(1)의 케이스(3) 내에 설치되며,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필터부(12)와 변,복조부(14)와 제어부(16)와 통신인터페이스부(18)를 갖는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10)는 필터부(12)를 갖는다. 이 필터부(12)는 전력선 연결소켓(5)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전력선 연결소켓(5)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필터부(12)는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중 통신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변,복조부(14)로 전송한다.
그리고 필터부(12)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변,복조부(14)는 필터부(12)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신호를 복조하여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준다. 여기서, 변,복조부(14)는 컴퓨터 본체(C)의 메인보드(M)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전력선으로 전송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함은 물론이다.
한편, 변,복조부(14)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어부(16)는 변,복조부(14)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며, 제어부(16)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8)는 컴퓨터의 메인보드(M)와 통신용 단말장치(10)간에 신호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8)는 통신 연결선(18a)에 의해 컴퓨터 메인보드(M)의 접속포트(Ma)와 연결된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부(18)에는 외부입출력단자(19)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외부입출력단자(1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C)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외부입출력단자(19)에는 팩시밀리, 디지털카메라 등과 같은 주변장치(P)가 접속되며, 이 외부입출력단자(19)를 통하여 팩스 통신 서비스, 화상 통신 서비스 등과 같은 주변장치(P)와 통신용 단말장치(10)간의 통신 및 그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력선 연결소켓(5)을 통하여 전력이 인가되면, 통신용 단말장치의 필터부(12)는 전력선을 따라 전송되는 신호 중 통신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변,복조부(14)로 전송한다. 한편, 필터부(12)에는 통신 신호 뿐만 아니라 전력도 인가되며, 인가된 전력은 통신용 단말장치(10)의 전원이 되어 통신용 단말장치(1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변,복조부(14)는 필터부(12)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신호를 복조하여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 바꾸어주며,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6)에 전송한다. 제어부(16)는 복조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8)로 전송하며,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8)와 통신 연결선(18a)을 통하여 컴퓨터 메인보드(M)로 입력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입출력단자(19)에 주변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통신 인터페이스부(18)와 통신 연결선(18a)을 통하여 주변장치(P)로 신호가 전송된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전력선 연결소켓(5)을 거쳐 전원공급회로(7)로 인가되는 전력은 교류 상용 전원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되어 컴퓨터의 메인보드(M)에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컴퓨터에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메인보드(M)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8)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8)에서 제어부(16)와 변,복조부(14)로, 변,복조부(14)에서 필터부(12)로 통신 신호가 전송되면서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각각 변조되고 처리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전력선 연결소켓(5)을 통하여 전력선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10)는 신호와 함께 흐르는 전력을 통신용 단말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통신용 단말장치를 컴퓨터 전력공급장치내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메인보드에 통신용 단말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통신용 단말장치 중, 통신 모뎀을 일례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랜 카드 (Local Area Network card: 일명, Network Interface Card) 등과 같은 통신용 단말장치에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는 신호와 함께 흐르는 전력을 통신용 단말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통신용 단말장치를 컴퓨터 전력공급장치내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메인보드에 통신용 단말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전력선 연결소켓과 전원공급회로를 갖추고 있는 전원공급장치와,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전력과 신호를 동시에 전송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선 연결소켓 출력단에 연결되는 필터부와, 신호를 변조 및 복조시키는 변,복조부와, 변조 및 복조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신호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메인보드와 통신용 단말장치 간을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필터부에 인가되는 전력을 전원으로하여 구동되고,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KR2020000013359U 2000-05-10 2000-05-10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KR200198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59U KR200198101Y1 (ko) 2000-05-10 2000-05-10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59U KR200198101Y1 (ko) 2000-05-10 2000-05-10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101Y1 true KR200198101Y1 (ko) 2000-10-02

Family

ID=1965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359U KR200198101Y1 (ko) 2000-05-10 2000-05-10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10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668A (ko) * 2001-05-31 2002-12-06 권욱현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KR20030055461A (ko) * 2001-12-26 200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퓨터 내장형 전력선 모뎀
KR20040011740A (ko) * 2002-07-30 2004-0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 모뎀을 위한 커플러
KR20040013542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20040013543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Pc카드 타입 고속 전력선 통신모뎀
KR100449619B1 (ko) * 2002-07-15 2004-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속전력선 통신 및 usb 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100542608B1 (ko) * 2000-08-04 2006-01-11 엑스컴 주식회사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608B1 (ko) * 2000-08-04 2006-01-11 엑스컴 주식회사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20020091668A (ko) * 2001-05-31 2002-12-06 권욱현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KR20030055461A (ko) * 2001-12-26 200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퓨터 내장형 전력선 모뎀
KR100449619B1 (ko) * 2002-07-15 2004-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속전력선 통신 및 usb 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20040011740A (ko) * 2002-07-30 2004-0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 모뎀을 위한 커플러
KR20040013542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20040013543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Pc카드 타입 고속 전력선 통신모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47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장치
BR9912695A (pt) Rede de área local de células inteligentes seriais
WO2002071733A1 (fr) Unité de connexion, système de radiocommunication, procédé de commande d'unité de connexion, et procédé de radiocommunications
KR200198101Y1 (ko)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US7949258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s well as computer program
KR100670889B1 (ko) 광미디어 컨버터 시스템
US20030088318A1 (en) Device control system
US700718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facsimile apparatus connected to an analog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ed with a power management feature
KR100277146B1 (ko) 분리식 퍼스널 컴퓨터 카드
US6292858B1 (en) Electronic device, card interface and expansion card with transposition of signal and voltage lines
KR20020016397A (ko) 전력선 시그널 통신 장치를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100784979B1 (ko) 전력선 통신 장치
JP2007005982A (ja) 電力線通信装置とその電源方式
CN106506041A (zh) 一种电力猫
KR20040001446A (ko) 이더넷 통신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전원장치
KR960002844B1 (ko) 전력선 통신용 신호 변환장치
KR100327988B1 (ko) 디지털단말기의전원원격온/오프제어장치
KR200394181Y1 (ko) 전력선 통신 장치
KR100299841B1 (ko) 1394씨디롬과셀프파워방식의1394리피터보드를갖는디스플레이장치
JP438830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200251992Y1 (ko)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JPS6286947A (ja) デ−タ端末装置とデ−タ通信端末装置のインタ−フエイス
JPH10294686A (ja) 無線機
KR20040098303A (ko) 전력선 통신방식의 감시형 디지털 카메라
JP2004180042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