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668A -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668A
KR20020091668A KR1020010030535A KR20010030535A KR20020091668A KR 20020091668 A KR20020091668 A KR 20020091668A KR 1020010030535 A KR1020010030535 A KR 1020010030535A KR 20010030535 A KR20010030535 A KR 20010030535A KR 20020091668 A KR20020091668 A KR 2002009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signal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욱현
김동성
이재민
명관주
조성국
Original Assignee
권욱현
김동성
이재민
명관주
조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욱현, 김동성, 이재민, 명관주, 조성국 filed Critical 권욱현
Priority to KR102001003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1668A/ko
Publication of KR2002009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6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1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filtering and bypa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 내부의 빈 공간을 이용해 전력선 통신 장치를 탑재하도록 한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을 입/출력하는 콘센트와, 해당 AC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원 공급 회로부와,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RS232 포트를 통해 PC 또는 주변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RS232 소켓과;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와, 해당 증폭된 통신 신호를 PC 또는 주변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S232 소켓을 통해 송신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LC 모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A Power Supply of Servic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공급 장치 내부의 빈 공간을 이용해 전력선 통신 장치를 탑재하도록 한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 시스템(Personal Computer System)은 오늘날 현대 사회의 많은 분야에 컴퓨터 파워(Computer Power)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그 종류에는 데스크탑(Desktop), 플로어 스탠딩(Floor Standing) 및 휴대용 마이크로 컴퓨터(Portable Microcomputer) 등이 있다.
그리고, 해당 PC 시스템의 통신은 기존의 전화 회선을 이용하거나, 동축케이블, 광 케이블 등과 같은 별도의 전용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데, 해당 PC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화 회선 또는 전용 회선으로 전송되는 통신 신호를 변조 및 복조시키는 모뎀 등과 같은 통신용 단말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여기서, 해당 통신용 단말 장치는 컴퓨터 본체의 확장 슬롯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내장형과, 컴퓨터 본체의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외장형이 있는데, 해당 내장형 통신용 단말 장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 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해당 외장형 통신용 단말 장치는 외부의 전력선으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해당 통신용 단말 장치는 별도의 통신용 단말 장치 카드를 구비해야 하며, 컴퓨터 본체의 내부에 통신용 단말 장치 카드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별도의 전원 공급기를 구비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한편, 해당 PC 시스템의 통신을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 무선으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전력선을 이용해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 등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는데, 특히 전력선 통신의 경우에는 통신 신호와 함께 전송 전력을 통신용 단말 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하므로 별도의 전원 공급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해당 전력선 통신은 전력선 방식의 모뎀이라고 불리는데, 통신의 매체가 전력선인 모뎀을 말하며, 단상 또는 삼상의 일반 가정용 전원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각종 변조 방식에 의하여 전송하며, 이에 해당하는 변조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전원 선로를 그대로 이용하여 선로 가설에 다른 비용 부담이 없어 근거리 데이터 통신이나 각종 자동화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에 전력선 통신 모뎀을 부가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외장형 모뎀을 이용하여 시리얼 통신 및 USB로 연결하거나, PCI 슬롯에 꽂고 전력선 케이블을 다시 연결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여전히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로 한다.
즉, 해당 데스크탑 PC의 전력 공급기를 정육면체로 보면 그 중에 현재 두 면만을 사용하고 있어 해당 전력 공급기의 내부 공간도 약 50(%) 정도만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장형 모뎀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컴퓨터 본체의 메인보드에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모뎀을 전원 공급기 내부의 빈 공간에 일체로 설치시켜 줌으로써, 해당 전원 공급기의 능동 장치로의 변환이 가능하며, 전력선을 통해 기기의 상태를 측정하여 대형 서버 장치의 전력 부분을 유지 보수하기에 용이하며, 전원 부분, 케이블, 냉각 장치 등을 전원 공급기용을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기 내부에 전력선 통신 모뎀을 탑재시켜 저속 전력선 모뎀인 경우에도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으로써, 시리얼 통신 테스트가 필요한 사용자들에게 아주 편리한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과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원 공급기의 부피를 작게 만들 수 있어 노트북 등의 소형 PC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40 : 전원 공급기 케이스(Case) 11, 41 : 콘센트(Concent)
12, 42 : 쿨링 팬(Cooling Pan) 13 : RS232 소켓(Socket)
14, 43, 44 : 신호 커넥터(Signal Connector)
20, 50 : 전원 공급 회로부
21, 51 :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Line Coupling Network)
30 :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Modem)
31, 61 : 트랜지언트 앰프(Transient Amplifier)
32, 33, 62 :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
60 : PLC 모뎀 카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을 입/출력하는 콘센트와, 해당 AC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원 공급 회로부와,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는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RS232 포트를 통해 PC 또는 주변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RS232 소켓과;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와, 해당 증폭된 통신 신호를 PC 또는 주변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S232 소켓을 통해 송신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LC 모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을 입/출력하는 콘센트와, 해당 AC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원 공급 회로부와,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PC 내부의 마더보드(Mother Board)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 커넥터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와, 해당 증폭된 통신 신호를 PC 내부의 마더보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신호 커넥터를 통해 송신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LC 모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을 입/출력하는 콘센트와, 해당 AC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원 공급 회로부와,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신호 접속 라인(Signal Connection Line)을 통해 전송하는 제1 신호 커넥터와; 상기 제1 신호 커넥터로부터 신호 접속 라인을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커넥터와; 상기 제2 신호 커넥터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와, 해당 증폭된 통신 신호를 PC 내부의 마더보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PCI 버스를 통해 직접 인가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LC 모뎀 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 부분과 전력선 통신 모뎀을 통합하는 것으로, 전원 공급기 내의 빈 공간에 전력선 통신 장치를 탑재하는 방법과 이로 인한 부가적인 기능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10)와, 콘센트(11)와, 쿨링 팬(12)과, RS232 소켓(13)과, 전원 공급 회로부(20)와, PLC 모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10)는 상기 각 구성 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콘센트(11)와 RS232 소켓(13)에서의 외부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는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쿨링 팬(12)에 의한 열 발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20)와 PLC 모뎀(3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센트(11)는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즉, 교류 상용 전원)을 입력 또는 출력하거나, 외부의 통신 신호를 수신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쿨링 팬(12)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10) 내부(즉, 전원 공급 회로부(50)와 PLC 모뎀(30))에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RS232 소켓(13)은 PC 또는 주변 장치(예, 팩시밀리,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등)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기 PLC 모뎀(3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즉, 시리얼 신호)를 9 핀(Pin)의 RS232 포트를 통해 PC 또는 주변 장치로 전송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20)는 상기 콘센트(11)를 통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전압(즉,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해 준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20)는 내부에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를 구비하며, 해당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에서는 상기 콘센트(11)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상기 PLC 모뎀(30)으로 인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PLC 모뎀(30)은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 및 복조하여 PC 또는 주변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S232 소켓(13) 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PLC 모뎀(30)은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31)와, 해당 트랜지언트 앰프(31)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상기 RS232 소켓(13)을 통해 PC 또는 주변 장치 측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송 신호(즉,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해 주는 제1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해당 제1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2)는 예를 들어, 'MAX232'를 이용하는데, 해당 'MAX232'는 시리얼 통신용 칩이므로, 본 발명에는 해당 'MAX232'에 국한하지 않고 다른 칩을 사용해도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콘센트(11)를 통해 외부의 AC 전원 및 외부의 통신 신호를 입력받게되는데, 이때 전원 공급 회로부(20)에서는 해당 콘센트(11)를 통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전압(즉,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각 구성 요소, 즉 PC 또는 주변 장치(예, 팩시밀리,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등)뿐만 아니라 PLC 모뎀(30)에도 출력해 줌과 동시에,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20)의 내부에 구비된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에서는 해당 콘센트(11)를 통해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여 해당 PLC 모뎀(30) 측으로 인가해 준다.
이에, 상기 PLC 모뎀(30) 내에 구비되어 있는 트랜지언트 앰프(31)에서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PLC 모뎀(3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2)로 인가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2)는 상기 트랜지언트 앰프(31)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RS232 소켓(13)을 통해 PC 또는 주변 장치 측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송 신호(즉,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PC 또는 주변 장치 측으로 출력해 준다.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10)와, 콘센트(11)와, 쿨링 팬(12)과, 신호 커넥터(14)와, 전원 공급 회로부(20)와, PLC 모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10)와, 콘센트(11)와, 쿨링 팬(12)과, 전원 공급 회로부(20)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신호 커넥터(14)는 PC 내부의 마더보드와의 직접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기 PLC 모뎀(30)으로부터 인가되는 시리얼 신호를 직접 PC 내부의 마더보드로 인가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상기 PLC 모뎀(30)은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20) 내에 구비된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 및 복조하여 PC 내부의 마더보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신호 커넥터(14) 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PLC 모뎀(30)은 해당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31)와, 해당 트랜지언트 앰프(31)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상기 신호 커넥터(14)를 통해 직접 PC 마더보드로 인가하기 위한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해 주는 제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해당 제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3)도 'MAX232'에 국한하지 않고 다른 칩을 사용해도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콘센트(11)를 통해 외부의 AC 전원 및 외부의 통신 신호를 입력받게 되는데, 이때 전원 공급 회로부(20)에서는 해당 콘센트(11)를 통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전압(즉,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각 구성 요소, 즉 PC뿐만 아니라 PLC 모뎀(30)에도 출력해 줌과 동시에,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20)의 내부에 구비된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에서는 해당 콘센트(11)를 통해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여 해당 PLC 모뎀(30) 측으로 인가해 준다.
이에, 상기 PLC 모뎀(30) 내에 구비되어 있는 트랜지언트 앰프(31)에서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21)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PLC 모뎀(3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3)로 인가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3)는 상기 트랜지언트 앰프(31)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신호 커넥터(14)를 통해 PC 내부의 마더보드로 직접 인가하기 위한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해 준다.
본 발명의 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40)와, 콘센트(41)와, 쿨링 팬(42)과, 제1 신호 커넥터(43)와, 제2 신호 커넥터(44)와, 전원 공급 회로부(50)와, PLC 모뎀 카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40)는 상기 각 구성 요소(즉, 콘센트(41)와, 쿨링 팬(42)과, 제1 신호 커넥터(43)와, 전원 공급 회로부(5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콘센트(41)에서의 외부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커넥터(43)에서의 신호 접속 라인과 연결되는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쿨링 팬(42)에 의한 열 발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5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센트(41)는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즉, 교류 상용 전원)을 입력 또는 출력하거나, 외부의 통신 신호를 수신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쿨링 팬(42)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40) 내부(즉, 전원 공급 회로부(50))에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신호 커넥터(43)는 상기 제2 신호 커넥터(44)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50)로부터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신호 접속 라인을 통해 직접 상기 제2 신호 커넥터(44)로 전송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상기 제2 신호 커넥터(44)는 상기 제1 신호 커넥터(43)로부터 신호 접속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상기 PLC 모뎀 카드(60)로 전송해 준다.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50)는 상기 콘센트(41)를 통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전압(즉,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해 준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50)는 내부에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51)를 구비하며, 해당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51)에서는 상기 콘센트(41)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커넥터(43)로 인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PLC 모뎀 카드(60)는 상기 제2 신호 커넥터(43)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 및 복조하여 PC 내부의 마더보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 PCI 버스를 통해 직접 인가해 준다. 또한, 상기 PLC 모뎀 카드(60)는 상기 제2 신호 커넥터(43)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61)와, 해당 트랜지언트 앰프(61)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PCI 버스를 통해 직접 PC 내부의 마더보드로 인가하기 위한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해 주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해당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62)도 'MAX232'에 국한하지 않고 다른 칩을 사용해도 그 역할을수행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콘센트(41)를 통해 외부의 AC 전원 및 외부의 통신 신호를 입력받게 되는데, 이때 전원 공급 회로부(50)에서는 해당 콘센트(41)를 통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전압(즉,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각 구성 요소, 즉 PC뿐만 아니라 PLC 모뎀 카드(60)에도 출력해 줌과 동시에,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50)의 내부에 구비된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51)에서는 해당 콘센트(41)를 통해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1 신호 커넥터(43) 측으로 인가해 준다.
이에, 상기 제1 신호 커넥터(43)는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51)로부터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신호 접속 라인을 통해 직접 제2 신호 커넥터(44)로 전송하며, 해당 제2 신호 커넥터(44)는 상기 제1 신호 커넥터(43)로부터 신호 접속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상기 PLC 모뎀 카드(60)로 전송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PLC 모뎀(60) 내에 구비되어 있는 트랜지언트 앰프(61)에서 상기 제2 신호 커넥터(44)를 거쳐 인가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PLC 모뎀(6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62)로 인가해 준다.
그러면, 상기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62)는 상기 트랜지언트 앰프(61)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PCI 버스를 통해 직접 PC 내부의 마더보드로 인가하기 위한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PC 내부의 마더보드에 출력해 준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가지의 실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정보 가전의 홈 서버로써 PC의 역할을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통신 기능 추가가 가능하며, 전력선을 이용하는 정보 가전 기기, 예를 들어 냉장고, 가정용 셋탑 박스(Set-top Box), 전원 공급기의 능동 장치로의 변환 등의 확장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동일 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한 것임을 잘 알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전력선 통신 모뎀을 전원 공급기 내부의 빈 공간에 일체로 설치시켜 전력선을 통해 기기의 상태를 측정하여 대형 서버 장치의 전력 부분을 유지 보수하기에 용이하며, 전원 부분, 케이블, 냉각 장치 등을 전원 공급 장치용을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전원 공급기 내부에 전력선 통신 모뎀을 탑재시켜 저속 전력선 모뎀인 경우에도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시리얼 통신 테스트가 필요한 사용자들에게 아주 편리한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과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원 공급기의 부피를 작게 만들 수 있어 노트북 등의 소형 PC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을 입/출력하는 콘센트와, 해당 AC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원 공급 회로부와,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RS232 포트를 통해 PC 또는 주변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RS232 소켓과;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와, 해당 증폭된 통신 신호를 PC 또는 주변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S232 소켓을 통해 송신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LC 모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에서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2.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을 입/출력하는 콘센트와, 해당 AC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원 공급 회로부와,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에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PC 내부의 마더보드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 커넥터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와, 해당 증폭된 통신 신호를 PC 내부의 마더보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신호 커넥터를 통해 송신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LC 모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3.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AC 전원을 입/출력하는 콘센트와, 해당 AC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원 공급 회로부와, 해당 전원 공급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이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와;
    상기 전원 공급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 커플링 네트워크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신호 접속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제1 신호 커넥터와;
    상기 제1 신호 커넥터로부터 신호 접속 라인을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커넥터와;
    상기 제2 신호 커넥터를 거쳐 인가되는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언트 앰프와, 해당 증폭된 통신 신호를 PC 내부의 마더보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시리얼 신호로 변환시켜 PCI 버스를 통해 직접 인가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LC 모뎀 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KR1020010030535A 2001-05-31 2001-05-31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KR20020091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535A KR20020091668A (ko) 2001-05-31 2001-05-31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535A KR20020091668A (ko) 2001-05-31 2001-05-31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308U Division KR200251992Y1 (ko) 2001-06-01 2001-06-01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668A true KR20020091668A (ko) 2002-12-06

Family

ID=2770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535A KR20020091668A (ko) 2001-05-31 2001-05-31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16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740A (ko) * 2002-07-30 2004-0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 모뎀을 위한 커플러
KR20040013542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100449619B1 (ko) * 2002-07-15 2004-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속전력선 통신 및 usb 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20060073703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포스코 전력선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1657A (ja) * 1998-11-17 2000-05-30 Nec Shizuoka Ltd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装置
KR200188053Y1 (ko) * 2000-01-26 2000-07-15 김승돌 전력선 통신 랜 장치
KR200198101Y1 (ko) * 2000-05-10 2000-10-02 정온하이테크주식회사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KR20020016397A (ko) * 2000-08-25 2002-03-04 이형도 전력선 시그널 통신 장치를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1657A (ja) * 1998-11-17 2000-05-30 Nec Shizuoka Ltd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装置
KR200188053Y1 (ko) * 2000-01-26 2000-07-15 김승돌 전력선 통신 랜 장치
KR200198101Y1 (ko) * 2000-05-10 2000-10-02 정온하이테크주식회사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KR20020016397A (ko) * 2000-08-25 2002-03-04 이형도 전력선 시그널 통신 장치를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619B1 (ko) * 2002-07-15 2004-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속전력선 통신 및 usb 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20040011740A (ko) * 2002-07-30 2004-0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 모뎀을 위한 커플러
KR20040013542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KR20060073703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포스코 전력선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124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adapter
US6972688B2 (en) Power supply with modular integrated networking
US7567434B1 (en) Computer system expansion device adaptable for internal and external use
JP2001513245A (ja) 改良したコンパクトフラッシュメモリーカードとインターフェース
US20020080010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s network device for DC powered computer
CN108111382B (zh) 基于i3c总线的通信装置及其通信方法
US5727168A (en) I/O card, cable connected to the I/O card,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I/O card
CN109828933B (zh) 一种ncsi功能网卡及网卡的ncsi功能的实现方法
KR20080021512A (ko) 어댑터 및 무선 통신 모듈
CN211656673U (zh) 一种工控机
KR20020091668A (ko)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KR200251992Y1 (ko) 전력선 통신 가능 전원 공급 장치
TWI394038B (zh) 電腦系統
KR200198101Y1 (ko) 컴퓨터용 전력선 통신용 단말장치
TWM577529U (zh) 顯示裝置
KR20040001446A (ko) 이더넷 통신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전원장치
CN210428129U (zh) 部标外设管理装置
KR19980021774U (ko) 유선 적외선 통신 포트 및 모듈
KR100449619B1 (ko) 고속전력선 통신 및 usb 통신 기능을 갖는 교류-직류 어댑터
CN217428119U (zh) 可携式蓝牙通信装置及设备
US6041105A (en) Adapter circuitry for computers to support computer telephony
CN109902049A (zh) Pci扩展装置
CN214959855U (zh) Hdmi转lvds转接板
CN213938212U (zh) 一种多通信方式信号转换盒
CN113766550B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