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533Y1 - 에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에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533Y1
KR200197533Y1 KR2020000010127U KR20000010127U KR200197533Y1 KR 200197533 Y1 KR200197533 Y1 KR 200197533Y1 KR 2020000010127 U KR2020000010127 U KR 2020000010127U KR 20000010127 U KR20000010127 U KR 20000010127U KR 200197533 Y1 KR200197533 Y1 KR 200197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case
heat exchanger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31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3825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정공
Priority to KR2020000010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에어 콤프레셔에서 토출되는 에어가 냉매 파이프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하여 건조된 공기가 관로를 지남에 따라 1차로 냉각된 후, 1차로 냉각된 에어가 냉매 파이프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하여 2차로 냉각되어 수분 또는 유분이 제거되어 건조된 후, 다시 파이프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에어 콤프레셔에서 토출되는 에어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되어 에어 시스템으로 배출되는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함으로서,
냉동 사이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냉동 사이클의 고장을 줄여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냉매 파이프의 외주에 냉각 핀을 설치하고, 이 냉매 파이프를 지나는 에어가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에어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켜 제한된 크기에서 에어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드라이어{Air dryer}
본 고안은 에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콤프레셔에 의해 압축되는 에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또는 유분을 제거하여 에어를 건조시켜 에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콤프레셔를 통하여 대기중의 에어를 압축하는 경우에는 온도가 상승함과 아울러 대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또는 유분이 함께 압축된다. 이러한 수분이나 유분은 압축 에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인입되어 수명 단축 및 기능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제거될 필요가 있다.
도 8은 종래의 압축 에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또는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콤프레셔로 부터 압축된 에어를 냉각하여 건조하기 위한 제1 열 교환기(101)와, 상기 제1 열 교환기(101)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열 교환기(10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열 교환기(101)는 내부에 에어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의 양측은 각각 차폐벽(105)이 형성되어 양측에 각각 에어를 수용하는 공간(109. 111)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109, 111) 사이에는 또 다른 공간(11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09, 111)은 서로 다수의 공기 유통 관로(115, 117, 119)에 의하여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13)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1)에는 에어 콤프레셔로 부터 압축된 에어가 인입될 수 있는 에어 인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09)에는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 배출구(10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 교환기(101)의 중앙부에는 에어 콤프레셔를 통하여 에어 인입구(121)로 인입된 에어가 제2 열 교환기(103)로 이동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에어 배출구(12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열 교환기(101)의 에어 배출구(121)가 마련되어 있는 반대편의 공간(111)에는 제2 열 교환기(103)를 통하여 나오는 에어를 인입할 수 있는 또 다른 에어 인입구(12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열 교환기(103)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끝단에서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구분하도록 각각 차폐벽(131, 133)이 결합되어 있다. 이 차폐벽(131, 133)이 상기 제2 열 교환기(103)를 구분함에 따라서 양측에 에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35, 137)이 마련되며, 이 양 공간(135, 137)은 서로 다수의 관로(139, 141, 143)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2 열 교환기(103)는 일측의 공간(137)이 제1 열 교환기(101)의 에어 배출구(123)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에어 인입구(147)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배출구(123)와 에어 인입구(147)는 에어 관로(145)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에어 인입구(147)가 마련되어 있는 공간(137)의 반대편 공간(135)에는 공간(137)에서 관로(139, 141, 143)를 따라 이동한 에어를 제1 열 교환기(101)의 에어 인입구(125)를 통하여 일측 공간(11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 배출구(149)가 마련된다. 이 에어 배출구(149)와 에어 인입구(125)는 리턴 관로(151)를 통하여 에어가 유통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턴 관로(151)의 일측에는 드레인 제거를 위한 드레이너(15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열 교환기(103)의 중앙에 배치되는 공간(155)에는 냉매가 인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 냉매 공급구(157) 및 냉매 배출구(15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냉매 공급구(157) 및 냉매 배출구(159)는 별도로 구성되는 냉매 순환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에어 드라이어는 제1 열 교환기(101)의 중앙에 배치되는 공간(113)으로 에어 인입구(121)를 통하여 에어 콤프레셔의 압축으로 인한 비교적 더운 공기가 인입된다. 이때 관로(115, 117, 119)의 안쪽에 차가운 공기(제2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가 지나가면서 1차적으로 냉각된다. 그리고 냉각된 공기(점선 화살표)는 제1 열 교환기(101)의 에어 배출구(123)를 통하여 관로(145)를 지나 제2 열 교환기(103)의 공간(137)으로 인입된다.
상기 공간(137)에서 관로(139, 141, 143)를 따라 반대편의 또 다른 공간(135)으로 이동한다. 이때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55)을 지나는데, 이 공간(155)은 냉매가 냉매 공급구(157) 및 냉매 배출구(159)를 들고나면서 순환하여 관로(139, 141, 143)를 통과는 압축공기를 냉각시킨다. 냉각된 공기는 에어 배출구(149)를 통하여 리턴 관로(151)를 통과하면서 수분 및 유분이 드레이너(153)를 통하여 배출되고, 제1 열 교환기(101)의 에어 인입구(125)를 통하여 제1 열 교환기(101)로 인입된다. 제1 열 교환기(101)로 인입된 공기는 관로(115, 117, 119)를 통하여 공간(113)을 통과한다. 이때 관로(115, 117, 119) 속의 공기는 제1 열 교환기(101)의 중앙 측 공간(113)의 공기를 냉각시키면서 어느 정도 데워지게 된다. 어느정도 데워진 공기는 제1 열 교환기(101)의 에어 배출구(121)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 공기는 별도의 필터를 거쳐 에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로 인입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에어의 건조방법은, 냉매가 인입되는 제2 열 교환기의 중간 측의 공간에 관로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차폐벽과의 용접되는 면적 많아지고, 이 용접 면적 부분에는 스케일, 카본 그리고 부식물 등이 쉽게 형성되어 이 부분이 냉매 측으로 노출되어 냉동 사이클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각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2 열 교환기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연결하는 관로의 수를 증대시켜야 하는데, 관로의 수가 증가하면 상기한 문제점이 더욱 커지는 어려움이 있으며, 공간의 제약으로 관로의 수를 늘리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매가 흐르는 공간에 스케일, 카본 그리고 부식물 등의 생성을 억제하도록 하여 냉동 사이클의 고장 원인을 줄여 시스템의 안정화를 도모하며, 냉각 효율을 증대시키는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복수의 차폐벽으로 구분되어 양측 및 중앙부에 각각 제1, 2, 3 에어 쳄버를 마련하고 있으며,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1, 2 에어 쳄버로 에어가 인입되거나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 인입구 및 에어 배출구를 마련하고, 상기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3 에어 쳄버로 에어가 인입되거나 배출되는 또 다른 에어 인입구 및 에어 배출구를 마련하고 있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제1, 2 에어 쳄버에 있는 에어가 어느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다수의 관로,
를 구비하고 있는 제1 열 교환기와;
내부에 에어가 유통하는 제4 에어 쳄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열 교환기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제3 에어 쳄버에 있는 에어가 인입될 수 있는 또 다른 에어 인입구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제4 에어 쳄버에 있는 에어를 상기 제1 열 교환기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쳄버 중 에어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편 쳄버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제4 에어 쳄버 내에 설치되는 냉매 파이프,
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열 교환기와;
상기 냉매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케이스의 제4 쳄버 내의 에어를 냉각시키는 냉동 사이클;
을 포함하는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에어 드라이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요지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에어 안내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측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에어 건조 구조 및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에어 콤프레셔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에어의 열을 또 다른 에어로 냉각하는 제1 열 교환기(1)와, 상기 제1 열 교환기(1)에서 1차로 냉각된 에어를 냉매에 의하여 2차로 냉각하는 제2 열 교환기(3)와, 상기 제2 열교환기(3)에서 에어를 냉동시키기 위한 냉동 사이클(5)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열교환기(1)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에어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의 양측은 각각 차폐벽(7, 9)이 형성되어 양측에 각각 에어를 수용하는 제1, 2 에어 쳄버(11, 13)가 마련되며, 상기 제1, 2 에어 쳄버(11, 13) 사이에는 제3 에어 쳄버(15)가 제1 케이스(17)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7)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2 에어 쳄버(11, 13)는 서로 다수의 공기 유통 관로(19, 21, 23)에 의하여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7)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제3 에어 쳄버(15)를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5)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제3 에어 쳄버(15)에는 에어 콤프레셔로부터 압축된 에어가 인입될 수 있는 에어 인입구(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7)의 제1 에어 쳄버(11)에는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 배출구(2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 교환기(1)의 제3 에어 쳄버(15)에는 에어 콤프레셔를 통하여 에어 인입구(25)로 인입된 에어가 제2 열 교환기(3)로 이동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에어 배출구(3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열 교환기(1)의 제2 에어 쳄버(13)에는 제2 열 교환기(3)를 통하여 나오는 에어를 인입할 수 있는 또 다른 에어 인입구(3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열 교환기(3)는 내부에 에어를 유통하기 위한 수납공간인 제4 에어 쳄버(53)가 마련된 제2 케이스(5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케이스(51)의 일측에는 제1 케이스(17)의 에어 배출구(31)와 파이프 등을 통하여 제3 에어 쳄버(15)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인입하기 위한 에어 인입구(5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51)의 에어 인입구(55)를 통하여 인입된 공기가 제4 에어 쳄버(53)의 내부를 순환하여 제1 케이스(17)의 제2 에어 쳄버(13)로 배출될 수 있도록 또 다른 에어 배출구(57)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51) 내의 제4 에어 쳄버(53)에는 냉동 사이클의 냉매 파이프(59)가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 열교환기(3)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51)의 내부에는 냉매 파이프(59)가 배치되는데, 이 냉매 파이프(59)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51)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번 절곡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냉매 파이프(59)는 후술하는 냉동 사이클(5)과 연결되어 제2 케이스(51)내의 제4 에어 쳄버(53)의 에어를 냉매에 의하여 냉각시켜 수분 및 유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4 에어 쳄버(53)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에어 이동 안내부재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에어 이동 안내부재는 다수의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1, 63, 65)와 하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9, 71, 73, 7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1, 다수의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예를 들어 설명함)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냉매 파이프(59)가 관통하는 다수의 냉매 파이프 관통 홈(61a, 다수의 홈 중에서 임의의 하나에만 번호를 부여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에어가 유통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에는 상부(도 5 기준)에서 하부측으로 일정한 절개홈(61b, 6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홈(61b, 61c)은 후술하는 측판을 각각 끼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1)는 저면에 드레인을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드레인 이동 홈(6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9, 다수의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예를 들어 설명함)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에어가 유통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1)와 마찬가지로 냉매 파이프(59)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냉매 파이프 관통 홈(69a, 다수의 홈 중에서 임의의 하나에만 번호를 부여함)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9)의 양측에는 상부(도 6을 기준)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를 절개한 절개홈(69b, 69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홈(69b, 69c)은 측판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1, 63, 65)와 하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9, 71, 73, 75)는 서로 반복적으로 직립하여 상기 제4 에어 쳄버(53)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측판(77)은 상기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1, 63, 65) 및 하부 이동 에어 이동 플레이트(69, 71, 75, 77)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홈(61a, 69a, 도면의 부호를 부여하지 않은 부분의 부호는 생략 함)에 대응하는 또 다른 절개홈(77a, 77b,...77h)이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제4 에어 쳄버(53)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4 에어 쳄버(53)의 길이 방향 양 끝단에는 또 다른 측판(79, 81)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측판(79, 81) 역시 상술한 상, 하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들이 제4 에어 쳄버(53)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판(77)에 고정되는 구조와 동일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측판(79, 81)의 중앙부에도 냉매 파이프(59)가 삽입되는 다수의 냉매 파이프 관통 홈(도면의 부호는 생략 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냉매 파이프 관통홈에 끼워진 냉매 파이프의 외주 부분과 측판(79, 81)의 일면을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제2 케이스(51)의 저면 일측에는 수분 또는 유분 등의 드레인을 제거할 수 있는 드레이너(83)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51)의 제4 에어 쳄버(53)에서 제2 에어 쳄버(13)로 에어를 공급하는 부분에는 수평에서 하향으로 경사지는 수분 분리판(85)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 사이클(5)은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시키는 콤프레셔(87)와, 상기 콤프레셔(87)에서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액체 상태로 변화되도록 하는 응축기(89)와, 상기 응축기(89)에서 응축된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체 상태로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 튜브(91)와, 상기 팽창 튜브(91)를 나오는 냉매가 인입되어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는 냉매 파이프(5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냉매 파이프(59)의 외주에는 제4 에어 쳄버(53)의 에어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기 위하여 다수의 냉각핀(93)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에어 드라이어는 제1 열 교환기(1)의 에어 인입구(25)를 통하여 제3 에어 쳄버(15)로 에어 콤프레셔에 의하여 압축된 에어가 인입된다(점선 화살표로 표시). 이때 제3 에어 쳄버(15)로 인입된 에어는 관로(19, 21, 23)의 내부에 차가운 공기(제2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가 지나가면서 1차적으로 냉각된다. 그리고 냉각된 에어(점선 화살표)는 제1 열 교환기(1)의 에어 배출구(31)를 통하여 제2 열 교환기(3)의 제4 에어 쳄버(53)의 일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제4 에어 쳄버(53)의 일측으로 인입된 에어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냉각핀(93) 및 냉매 파이프(59)의 외측을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고, 저면(도 3기준)으로 이동하여 하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9)의 저면을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화살표 방향)하고, 다시 냉각핀(93) 및 냉매 파이프(59)의 외측을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고, 다시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1)의 상부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에어가 상하 이동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고 제2 케이스의 에어 배출구(57)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4 에어 쳄버(53)의 에어는 냉매 파이프(59) 내부를 이동하는 냉매에 의하여 급격하게 냉각이 이루어지면서 에어 속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 또는 유분이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드레인은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61, 63, 65)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드레인 이동홈(61d)을 통하여 드레이너(83)로 배출된다. 물론 제4 에어 쳄버(53)에서 제2 에어 쳄버(13)로 이동하면서 수분 분리판(85)에 부딪히면서 수분이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수분은 역시 드레이너(83)를 통하여 배출된다.
물론 상기 냉매 파이프(59)는 냉각 라인(5)의 증발기 역할을 하여 지나가는 에어의 열을 흡수하여 에어가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콤프레셔(87)가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89)로 이동시키면 응축기(89)에서는 냉매가 액체상태로 변화하고 팽창 튜브(91)를 거쳐 증발기의 역할을 하는 냉매 파이프(59)로 인입된다. 따라서 제4 에어 쳄버(53) 내에 있는 에어가 냉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냉각된 에어가 제2 쳄버(13)로 인입되면 관로(19, 21, 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에어 콤프레셔를 통하여 인입되는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어느 정도 데워진 상태로 제1 에어 쳄버(11)를 통하여 에어 배출구(29)로 배출되어 에어 시스템으로 인입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별도의 필터를 거쳐 에어 시스템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냉매가 냉매 파이프(59)를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이 냉매 파이프(59)의 외주 공간 즉, 제4 에어 쳄버(53)에 에어가 인입되어 냉매에 스케일이나 부식물 등이 포함될 여지를 줄여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2 열 교환기에서 냉매를 파이프로 통과시키고 1차로 냉각된 에어를 파이프를 지나는 냉매에 의하여 냉각시킴으로서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냉매가 냉매 파이프를 지나므로 제2 케이스와 에어 이동 안내부재 등과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과 최소한의 노출이 이루어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냉동 사이클의 고장을 줄여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냉매 파이프의 외주에 냉각 핀을 설치하고, 이 냉매 파이프를 지나는 에어가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에어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켜 제한된 크기에서 에어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내부에 복수의 차폐벽으로 구분되어 양측 및 중앙부에 각각 제1, 2, 3 에어 쳄버를 마련하고 있으며,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1, 2 에어 쳄버로 에어가 인입되거나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 인입구 및 에어 배출구를 마련하고, 상기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3 에어 쳄버로 에어가 인입되거나 배출되는 또 다른 에어 인입구 및 에어 배출구를 마련하고 있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제1, 2 에어 쳄버에 있는 에어가 어느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다수의 관로,
    를 구비하고 있는 제1 열 교환기와;
    내부에 에어가 유통하는 제4 에어 쳄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열 교환기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제3 에어 쳄버에 있는 에어가 인입될 수 있는 또 다른 에어 인입구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제4 에어 쳄버에 있는 에어를 상기 제1 열 교환기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쳄버 중 에어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편 쳄버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제4 에어 쳄버 내에 설치되는 냉매 파이프,
    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열 교환기와;
    상기 냉매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케이스의 제4 쳄버 내의 에어를 냉각시키는 냉동 사이클;
    을 포함하는 에어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제1 케이스 측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부분에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분 분리판을 구비하고 있는 에어 드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저면에 수분 또는 유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드레이너를 구비하고 있는 에어 드라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의 내측에는 제4 쳄버로 인입된 에어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에어 이동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에어 드라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이동 안내부재는
    상면이 절개되어 에어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4 쳄버의 상부측으로 에어가 이동하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하면이 절개되어 에어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4 쳄버의 하부측으로 에어가 이동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는 하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
    를 구비하고 있는 에어 드라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에어 이동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수분 또는 유분이 이동할 수 있는 수분 및 유분 이동홈이 형성되는 에어 드라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교환기 내의 제4 쳄버 내부에 설치되는 냉매 파이프의 외주에는 등 간격으로 냉각핀이 설치되는 에어 드라이어.
KR2020000010127U 1999-08-12 2000-04-10 에어 드라이어 KR200197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127U KR200197533Y1 (ko) 1999-08-12 2000-04-10 에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114A KR100338256B1 (ko) 1999-08-12 1999-08-12 에어 드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에어의 건조방법
KR2020000010127U KR200197533Y1 (ko) 1999-08-12 2000-04-10 에어 드라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114A Division KR100338256B1 (ko) 1999-08-12 1999-08-12 에어 드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에어의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533Y1 true KR200197533Y1 (ko) 2000-09-15

Family

ID=2663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127U KR200197533Y1 (ko) 1999-08-12 2000-04-10 에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5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98B1 (ko) 2012-07-24 2013-02-25 (주) 에스엠디코리아 에어 드라이어
KR20180103415A (ko) 2017-03-10 2018-09-19 김민형 에어드라이어용 열교환기의 고정격판
CN114922798A (zh) * 2022-06-02 2022-08-19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除水装置、反吹设备以及空气压缩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98B1 (ko) 2012-07-24 2013-02-25 (주) 에스엠디코리아 에어 드라이어
KR20180103415A (ko) 2017-03-10 2018-09-19 김민형 에어드라이어용 열교환기의 고정격판
CN114922798A (zh) * 2022-06-02 2022-08-19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除水装置、反吹设备以及空气压缩机
CN114922798B (zh) * 2022-06-02 2024-05-1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除水装置、反吹设备以及空气压缩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7503B2 (en) Heat exchanger
US9410709B2 (en) Multichannel condenser coil with refrigerant storage receiver
US9212836B2 (en) Heat exchanger
EP2762821B1 (en)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CA243302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vapour and liquid
KR200197533Y1 (ko) 에어 드라이어
CN108844258B (zh) 蒸发器及空调机组
KR100338256B1 (ko) 에어 드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에어의 건조방법
KR100590653B1 (ko) 에어컨의 압축기 오일 분리장치
KR200178433Y1 (ko) 냉장고의 증발장치
KR20040068393A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KR20200005152A (ko) 일체형 열교환 및 기액분리기
KR100243246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열교환기
KR100340420B1 (ko) 건조기 일체형 과냉각 응축기
CN218763738U (zh) 除湿机
KR100501564B1 (ko) 헤더파이프내의작동유체를냉각시키는장치를갖는응축기
KR102670381B1 (ko) 유하액막식 증발기
KR100229188B1 (ko) 냉장고
KR101588049B1 (ko) 응축기
KR19980012685U (ko) 압축공기제습기용 열교환장치
KR20220111535A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20030079169A (ko) 열교환기 조립체
KR940008236Y1 (ko) 냉각기
KR100805423B1 (ko) 이중 유로 응축기 및 이를 이용한 냉동장치
JP2022510080A (ja) 蒸気圧縮冷却システム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モジュ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