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226Y1 -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226Y1
KR200197226Y1 KR2019980014625U KR19980014625U KR200197226Y1 KR 200197226 Y1 KR200197226 Y1 KR 200197226Y1 KR 2019980014625 U KR2019980014625 U KR 2019980014625U KR 19980014625 U KR19980014625 U KR 19980014625U KR 200197226 Y1 KR200197226 Y1 KR 200197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cover
mounting hole
plan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281U (ko
Inventor
윤태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4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22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2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상면 소정위치에 마련된 심카드 장착구멍과 커버 장착구멍; 상기 심카드 장착구멍에 구비되며, 마주보는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 제 1 평면과, 상기 제 1 평면에서 단이진 제 2 평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평면에 의해 심카드가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이동이 유도되며, 박형 플레이트의 금속재질인로 탄성을 보유한 심카드 커버; 및 힌지축에 조립되어 양단중,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이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심카드 커버가 장착구멍쪽으로 밀착될 수 있는 힘을 항시 제공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본 고안은 휴대폰(portable radiotelephon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심카드 접속장치(SIM card contact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이용방식에서는 유럽의 시분할 다중접석방식인 GSM방식과, 북미의 시분할 다중화방식인 TDMA방식과, 코드분할 다중화방식인 CDMA방식등이 있다.
이중, 상기 GSM방식을 이용한 휴대폰에는 심카드(SIM Card)가 장착된다. 상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방식은 다양한 네크워크 작동자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규격으로서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GSM방식에 이용되는 심카드는 휴대폰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거의 모든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특히 암호등 가입자의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전화번호, 네트워크번호등의 관련정보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심카드는 포스트 스탬프 타입(post stamp type)과, 크레디트 카드 타입(credit card type)으로 양분되어 장착된다.
상기 기술한 포스트 스탬프 타입으로 심카드가 장착되는 구성은 만프레드 라이차르트(Manfred Reichardt)등에 허여된 미국특허번호 제 5,320,552 호(CONTAC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CONTACTING APPARATUS FOR A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심카드 접속장치에 의해 휴대폰에 장착되는 심카드는 휴대폰중, 본체에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팩을 제거한 후, 본체의 저면에 심카드가 별도로 장착된 접속장치에 의해 수시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었다.
상기 기술한 크레디트 타입으로 심카드가 장착되는 구성은 페테리 릴카넨 투르쿠(Petteri Lilkanen, Turku)등에 허여된 미국특허번호 제 5,699,406 호(ARRANGEMENT FOR SECURING THE SIM CARD IN A MOBILE TELEPHONE)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5,669,406특허는 심카드를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포스트 스탬프 타입(post stamp type) 또는 크레디트 카드 타입(credit card type)으로 장착되는 심카드 접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일반적인 심카드를 본체 저면에 장착하는 경우, 현재의 휴대폰의 경향은 경량화 및 소형화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체의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심카드의 콘넥터를 장착하고, 여기에 별도의 심카드 접속장치에 의해 심카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취함으로서, 심카드 콘넥터와 심카드 접속장치의 실장면적이 본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많게 되어 본체의 소형화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결국은 제품의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하여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더욱이, 심카드를 착탈할 시, 미국특허 5,320,552는 매우 번거롭게 구성되었고, 사용자도 착탈과정이 매우 번거롭다. 반드시 본체에서 배터리 팩을 분리시킨 다음에 심카드를 삽입하고 이동시킨후, 로킹시키는 구성이다, 한편, 미국특허 5,669,406은 크레디트 타입으로 장착된 방식인 경우에는 본체와 배터리 팩 사이에 가이드 수단에 의해 밀어 넣음으로서, 접촉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심카드 접속부분이 외부환경으로부터 노출되는 구성을 가지게 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을 갖는 심카드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탈하기 편리한 심카드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상면 소정위치에 마련된 심카드 장착구멍과 커버 장착구멍;
상기 심카드 장착구멍에 구비되며, 마주보는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
제 1 평면과, 상기 제 1 평면에서 단이진 제 2 평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평면에 의해 심카드가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이동이 유도되며, 박형 플레이트의 금속재질인로 탄성을 보유한 심카드 커버;
힌지축에 조립되어 양단중,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이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심카드 커버가 장착구멍쪽으로 밀착될 수 있는 힘을 항시 제공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분리된 하부 케이싱 프렘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장착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분리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장착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분리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2의 라인 X-X의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라인 Y-Y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심카드 커버 20:토션 스프링
30:심카드 콘넥터 110:상부 케이싱 프레임의 상면
111:상부 케이싱 프레임의 저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분리된 하부 케이싱 프렘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폰은 배터리 팩을 착탈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싱 프레임 100의 상면 1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가이드 리브 112가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 110 하부에는 배터리 팩의 충전단자와 접촉하도록 충전단자 114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 110의 상단에는 배터리 팩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커 116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상면 110의 소정위치에는 메인 보드에 접촉된 심카드 콘넥터(도 3에 도시됨)와 심카드가 안전하게 접속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상면 110의 소정위치에 심카드 장착구멍 1101과 커버 장착구멍 1102가 형성된다.
상기 심카드는 가이드 리브(도 2에 도시됨)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심카드 접속수단에 의해 타측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심카드는 접속수단에 의해 심카드 콘넥터와 안전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심카드 접속수단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 10과, 상기 커버에 이동힘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도 4에 도시됨))과, 상기 커버 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 401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축 A1과 동축으로 저면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장착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분리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면 110의 모서리에 심카드를 심카드 콘넥터에 접촉되도록 장착구멍 1101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 1101을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 또다른 커버 장착구멍 1102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 1102에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 401가 위치한다.
이때, 심카드 콘넥터에 심카드를 안전하게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심카드 커버 10을 좌측으로 가볍게 힘을 가한 다음에, 심카드를 화살표①의 방향으로 부드럽게 밀어 넣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심카드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자동적으로 심카드 커버는 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하여 심카드의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심카드 커버 10은 도면에 미도시된 토션 스프링(도 4에 도시됨)에 의해 항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제공받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심카드 콘넥터 30에서 심카드를 분리하려면, 먼저 심카드 커버 10을 화살표③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어서 심카드를 화살표④방향으로 부드럽게 빼낸다.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심카드 커버 10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장착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분리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저면 111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토션 스프링 20은 하부 케이싱 프레임 100의 저면 111에 힌지축 111b를 중심으로 설치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 자유단중, 일측의 자유단 201은 고정부 111a에 고정되고, 타측의 자유단 202는 심카드 커버 저면에 마련된 고정부 10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자유단 202는 상기 심카드 커버 10을 심카드 장착구멍 1101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항시 제공한다. 즉, 상기 토션 스프링의 자유단 202은 바깥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갖는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 20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심카드가 장착되어 심카드 커버 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심카드는 토션 스프링 20에 의해 심카드쪽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심카드를 분리하기 위히여 심카드 커버 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심카드는 토션 스프링 20의 복원력을 극복하여 구멍 1101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다. 다만, 심카드 커버 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다시 도 4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심카드 접속장치중, 상기 심카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수단이 커버 장착구멍 1102 양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심카드 커버 10을 가이드하는 수단은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 401,402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 401,402는 각각 마주보게 형성되어 심카드 커버 10의 이동을 안내하며, 심카드 커버 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심카드 커버 10는 박형 플레이트로서, 금속재질이다. 또한, 상기 심카드 커버 10은 단이진 형상이고, 두 개의 평면 101,102로 구성된다. 하나의 평면 101은 토션 스프링이 일단 202가 고정된 부분이고, 다른 하나의 평면 102는 심카드가 콘넥터에 접속된 경우에, 심카드가 콘넥터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평면 102은 상방에서 심카드를 콘넥터 단자 301쪽으로 접촉하는 힘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심카드 커버 10은 박형 플레이트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탄성력을 보유하며, 심카드 콘넥터 단자 301도 탄성력을 보유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탄성력은 심카드를 심카드 콘넥터에 안전하게 접속시킨다. 사용자의 부주의로 휴대폰에 낙하나 충격등이 가해진다 할지라도, 심카드는 안전하게 심카드 콘넥터 3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심카드 커버 10은 힌지축 111b을 중심으로 조립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이동을 수행할 시, 상기 커버 10의 이동은 제한된다. 즉, 심카드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도록 유도되고, 반면에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커버의 이동은 제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심카드 접속수단을 갖는 휴대폰에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심카드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심카드 착탈시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다.

Claims (2)

  1.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상면 소정위치에 마련된 심카드 장착구멍과 커버 장착구멍;
    상기 심카드 장착구멍에 구비되며, 마주보는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
    제 1 평면과, 상기 제 1 평면에서 단이진 제 2 평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평면에 의해 심카드가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이동이 유도되며, 박형 플레이트의 금속재질인로 탄성을 보유한 심카드 커버;
    힌지축에 조립되어 양단중,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이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심카드 커버가 장착구멍쪽으로 밀착될 수 있는 힘을 항시 제공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토션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2019980014625U 1998-08-04 1998-08-04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200197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25U KR200197226Y1 (ko) 1998-08-04 1998-08-04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25U KR200197226Y1 (ko) 1998-08-04 1998-08-04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81U KR20000004281U (ko) 2000-03-06
KR200197226Y1 true KR200197226Y1 (ko) 2000-10-02

Family

ID=1953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625U KR200197226Y1 (ko) 1998-08-04 1998-08-04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2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56B1 (ko) * 2002-07-27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드이탈방지브래킷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81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7771B1 (en) Sim card terminal
JP3726215B2 (ja) チップカード装置用接触装置
KR20010050660A (ko) 전자장치용 플러그인 카드
US5984707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ard having surface contact point
EP1536365B1 (en) Card hold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165095Y1 (ko) 휴대폰의 심 카드 장착장치
WO2001022345A1 (en) Sim card holder
US6068186A (en) Chip card reader with adapter for read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telephone comprising such a reader
KR200197226Y1 (ko)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200334351Y1 (ko)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200203678Y1 (ko)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200204597Y1 (ko)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10060605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100315674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20000010725U (ko)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10038357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10058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KR20016543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10036256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200306378Y1 (ko) 카드결합장치
KR100480056B1 (ko) 카드이탈방지브래킷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20037931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200165943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100469693B1 (ko) 유아이엠 카드 결합장치
KR200353261Y1 (ko) 휴대전화기용 벨트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