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711Y1 - 거푸집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711Y1
KR200196711Y1 KR2020000008654U KR20000008654U KR200196711Y1 KR 200196711 Y1 KR200196711 Y1 KR 200196711Y1 KR 2020000008654 U KR2020000008654 U KR 2020000008654U KR 20000008654 U KR20000008654 U KR 20000008654U KR 200196711 Y1 KR200196711 Y1 KR 200196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formwork
panel
tightening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환
Original Assignee
이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환 filed Critical 이명환
Priority to KR2020000008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을 이루는 한쪽 패널(11)을 관통하도록 된 제 1연결봉(1)과, 다른쪽 패널(12)을 관통하도록 된 제 2연결봉 (2), 이 제 2연결봉(2)에 끼워넣어져 패널(12)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셔(5), 및 상기 제 2연결봉(2)에 끼워넣어져 플레이트와셔(2)를 조임으로써 체결되는 조임너트 (6)를 구비한 고정구(10)에서, 상기 제 2연결봉(2)의 한쪽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끝에는 적어도 한쪽으로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고서 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부(4)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확장부(4)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면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도록 된 조임와셔(3)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한 다음에,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상기 조임와셔(3)를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거푸집용 고정구 {Fixture for Form}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벽을 성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원뿔대 형상의 너트 대신에 연결봉에 끼워넣어지는 조임와셔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한 다음,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상기 조임와셔를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과 인력 및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거푸집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벽을 시공할 때에는 복수의 거푸집용 패널을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한 다음, 이들 패널 사이의 간격이 시공하고자 하는 벽의 두께만큼의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구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주입한다. 양측 패널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양생이 이루어지면, 전술한 바의 역순으로 거푸집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콘크리트벽의 시공이 완료된다.
도 6은 종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와 플레이트와셔 및 조임너트와 함께 종래 고정구가 패널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는 거푸집을 이루는 한쪽 패널(11)을 관통하도록 되고서 철근으로 된 제 1연결봉(1)과, 다른쪽 패널(12)을 관통하도록 되고서 강이나 다른 합금 등으로 된 제 2연결봉(2), 상기 제 1연결봉(1)과 제 2연결봉(2)을 연결하는 원뿔대 형상의 너트(13), 상기 제 2연결봉 (2)에 끼워넣어져 지지대(5a)와 함께 패널(12)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셔(5), 및 상기 제 2연결봉(2)에 끼워넣어져 플레이트와셔(5)를 조임으로써 체결되는 조임너트 (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연결봉(1)의 한쪽은 웨지(7a)를 고정시키는 구멍(7)과, 콘크리트벽을 시공한 후 벽면 밖으로 돌출하게 되는 상기 구멍(7)이 형성된 부분을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된 노치(8)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 끝은 상기 원뿔대 형상의 너트(13)와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연결봉(2)의 한쪽은 전체 길이의 대략 절반 이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끝도 상기 원뿔대 형상의 너트(13)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10)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자면, 우선 콘크리트벽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복수의 거푸집용 패널(11,12)을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한 다음, 이들 패널(11,12) 사이에 고정구(10)를 설치하는데, 한쪽 패널 (11)에 제 1연결봉(1)을 끼워넣고 이 제 1연결봉(1)의 한끝에 형성된 구멍(7)에 웨지(7a)를 끼워서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제 1연결봉(1)의 다른쪽 끝에는 원뿔대 형상의 너트(13)가 체결된다. 동시에, 다른쪽 패널(12)을 관통한 제 2연결봉(2)을 상기 원뿔대 형상의 너트(13)와 체결시키고, 이어서 이 패널(12) 외측에 지지대(5a)를 댄 후 플레이트와셔(5)를 상기 제 2연결봉(2)에 끼운 다음에, 최종적으로 조임너트(6)를 끼워 조임으로써, 거푸집이 설치된다.
이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이 이루어지면 거푸집 해체작업을 하게 되는데, 먼저 조임너트(6)를 풀어 플레이트와셔(5)와 지지대(5a)를 분리하고, 수동으로 제 2연결봉(2)을 원뿔대 형상의 너트(13)로부터 풀어내어 패널(12)을 콘크리트벽으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으로, 웨지(7a)를 뽑아내어 패널(11)을 콘크리트벽으로부터 제거한 후, 공구를 이용하여 벽의 외부로 돌출된 노치(8)부분을 절단한다. 끝으로, 콘크리트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원뿔대 형상의 너트(13)를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직접 수동으로 빼내게 되고, 차후에 이 너트(13)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 구멍을 작업자가 몰타르로 되메움으로써, 콘크리트벽의 시공이 마무리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거푸집의 해체작업에서, 콘크리트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원뿔대 형상의 너트를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직접 일일이 수동으로 빼내어야 하는 바, 이러한 작업은 예컨대 건축물이 고층빌딩인 경우에 상기 너트가 적어도 수백개 내지 수천개가 사용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는 매우 불편하고 상당히 시간이 소요됨과 더불어 위험이 따르는 작업으로 되는 한편, 시공자측에는 시공기간의 지연 및 인력의 낭비가 초래되는 비경제적인 작업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 원뿔대 형상의 너트 대신에 연결봉에 끼워넣어지는 조임와셔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한 다음에,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상기 조임와셔를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과 인력 및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거푸집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a는 제 2연결봉과 확장부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
도 2b는 제 2연결봉과 다른 형태의 확장부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
도 2c는 제 2연결봉과 확장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조임와셔의 단면도,
도 5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와 플레이트와셔 및 조임너트와 함께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가 패널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종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와 플레이트와셔 및 조임너트와 함께 종래 고정구가 패널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거푸집을 이루는 한쪽 패널을 관통하도록 된 제 1연결봉과, 다른쪽 패널을 관통하도록 된 제 2연결봉, 상기 제 2연결봉에 끼워넣어져 패널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셔, 및 상기 제 2연결봉에 끼워넣어져 플레이트와셔를 조임으로써 체결되는 조임너트를 구비한 고정구에서, 상기 제 2연결봉의 한쪽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끝에는 적어도 한쪽으로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고서 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부가 별도로 또는 일체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확장부에 나사결합되면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도록 된 조임와셔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고정구(10)는, 종래와 유사하게 거푸집을 이루는 한쪽 패널(11)을 관통하도록 되고서 철근으로 된 제 1연결봉(1)과, 다른쪽 패널(12)을 관통하도록 되고서 강이나 다른 합금 등으로 된 제 2연결봉(2), 상기 제 2연결봉(2)에 끼워넣어져 지지대(5a)와 함께 패널(12)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셔(5), 및 상기 제 2연결봉(2)에 끼워넣어져 플레이트와셔(5)를 조임으로써 체결되는 조임너트(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연결봉(1)의 한쪽은 웨지(7a)를 고정시키는 구멍(7)과, 콘크리트벽을 시공한 후 벽면 밖으로 돌출하게 되는 상기 구멍(7)이 형성된 부분을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된 노치(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연결봉(1)의 다른쪽 끝은 후술하는 확장부(4)내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연결봉(2)의 한쪽은 전체 길이의 대략 절반 이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끝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10)는, 중앙에서부터 양끝으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되고서 그 내측면과 외측 일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부재인 확장부(4)와, 이 확장부(4)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조임와셔(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4)의 형상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데, 예컨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4)의 전체 형상이 관형상으로 되되, 한쪽 끝은 육각너트의 형상을 하고 다른쪽 끝은 단면적이 감소하는 대략 원추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거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연결봉(2)과 확장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동일한 지름을 갖되, 한끝이 단면적이 감소하는 대략 원추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인데, 전술된 제 1실시예와 이 제 2실시예의 차이점은 상기 확장부(4)가 제 2연결봉의 한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 그 구조와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조임와셔의 단면도로서, 이 조임와셔(3)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부(4)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그 체결성이 우수하게 되는 한편, 적어도 한쪽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예컨대 대략 반구형이나 원뿔대인 외곽형상을 갖추어서, 이 조임와셔(3)가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되어 있을 때 작은 힘을 가하여 쉽게 상기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10)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자면, 우선 콘크리트벽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복수의 거푸집용 패널(11,12)을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한 다음, 한쪽 패널(11)에 제 1연결봉(1)을 끼워넣고 이 제 1연결봉(1)의 한끝에 형성된 구멍(7)에 웨지(7a)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다른쪽 패널 (12)을 관통한 제 2연결봉(2)의 확장부(4)에 조임와셔(3)를 나사체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연결봉(1)의 다른쪽 끝을 상기 확장부(4)내에 나사체결시키고, 이어서 상기 패널(12) 외측에 지지대(5a)를 댄 후 플레이트와셔(5)를 상기 제 2연결봉(2)에 끼운 다음에, 최종적으로 조임너트(6)를 끼워 조임으로써, 거푸집이 설치된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10)가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와 플레이트와셔 및 조임너트와 함께 거푸집용 패널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이 이루어지면 거푸집 해체작업을 하게 되는데, 먼저 조임너트(6)를 풀어 플레이트와셔(5)와 지지대(5a)를 분리하고, 수동으로 제 2연결봉(2)을 제 1연결봉(1) 및 조임와셔(3)로부터 풀어내어 패널(12)을 콘크리트벽으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으로, 웨지(7a)를 뽑아내어 패널(11)을 콘크리트벽으로부터 제거한 후, 공구를 이용하여 벽의 외부로 돌출된 노치(8)부분을 절단한다.
끝으로, 작업자가 콘크리트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조임와셔(3)를 손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쉽게 빼내게 되고, 차후에 이 조임와셔(3)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 구멍을 작업자가 몰타르로 되메움으로써, 콘크리트벽의 시공이 마무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원뿔대 형상의 너트 대신에 연결봉에 끼워넣어지는 조임와셔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한 다음에,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상기 조임와셔를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과 인력 및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거푸집을 이루는 한쪽 패널(11)을 관통하도록 된 제 1연결봉(1)과, 다른쪽 패널(12)을 관통하도록 된 제 2연결봉(2), 상기 제 2연결봉(2)에 끼워넣어져 패널 (12)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셔(5), 및 상기 제 2연결봉(2)에 끼워넣어져 플레이트와셔(5)를 조임으로써 체결되는 조임너트(6)를 구비한 고정구(10)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봉(2)의 한쪽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연결봉(2)의 다른쪽 끝에는 적어도 한쪽으로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고서 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부(4)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확장부(4)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면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도록 된 조임와셔(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4)는 제 2연결봉(2)의 한끝에 나사결합되거나, 이 제 2연결봉(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고정구.
KR2020000008654U 2000-03-27 2000-03-27 거푸집용 고정구 KR200196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654U KR200196711Y1 (ko) 2000-03-27 2000-03-27 거푸집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654U KR200196711Y1 (ko) 2000-03-27 2000-03-27 거푸집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711Y1 true KR200196711Y1 (ko) 2000-09-15

Family

ID=1964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654U KR200196711Y1 (ko) 2000-03-27 2000-03-27 거푸집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7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64484B1 (en) Improvements in ties for building structures
JP6764667B2 (ja) 安全柵土台
KR200196711Y1 (ko) 거푸집용 고정구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0775676B1 (ko) 합판거푸집 보강 띠판형 장선, 합판거푸집 보강구조 및합판거푸집 보강구조 해체 후 마감방법
JP2023096614A (ja) 型枠締結具
GB2410307A (en) A blind fastening device
KR100469031B1 (ko) 거푸집 설치를 위한 와셔 일체형의 체결볼트
KR200254795Y1 (ko) 거푸집 긴결 장치
KR20100012498U (ko) 건축용 거푸집 각재
KR200354094Y1 (ko) 거푸집 해체시 헛돌지않는 거푸집 간격유지구
JP2506842Y2 (ja) 型枠の緊締装置
KR0152401B1 (ko) 거푸집 판넬 조립체
KR100330066B1 (ko) 거푸집긴결장치
KR200345032Y1 (ko) 거푸집 고정장치
CN217840965U (zh) 一种可拆卸预制墙板支撑装置
KR200251518Y1 (ko) 거푸집의 고정장치_
CN220828027U (zh) 一种穿墙连墙件
RU219636U1 (ru) Анкерная шпилька
JP2005090220A (ja) 筒状建築材、建築材取付具および建築材の施工方法
JP3229662U (ja) 断熱材固定具および断熱材固定構造
KR200410226Y1 (ko) 거푸집용 주물너트 체결/해지 공구
KR200198975Y1 (ko) 거푸집용 긴결장치
JP2599549Y2 (ja) 埋込リングとそのリングを利用した固定用埋込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