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614Y1 - 대변기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대변기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614Y1
KR200196614Y1 KR2020000001469U KR20000001469U KR200196614Y1 KR 200196614 Y1 KR200196614 Y1 KR 200196614Y1 KR 2020000001469 U KR2020000001469 U KR 2020000001469U KR 20000001469 U KR20000001469 U KR 20000001469U KR 200196614 Y1 KR200196614 Y1 KR 200196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flow rate
push butt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만
Original Assignee
고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만 filed Critical 고광만
Priority to KR2020000001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D3/04Self-closing flushing valves with piston valve and pressure chamber for retarding the valve-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식 대변기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을 감싸고 있는 물배출 수단인 밸브 몸체에 유량 전환 몸통을 형성하여 피스톤의 상부작용에 의해 대유량을 토출하는 제 1 누름버턴과 소유량을 토출하는 제2 누름버턴을 갖어 유량을 구분배출이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변기 급수밸브{Toilet Flush Valve}
본 고안은 절수식 대변기 급수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소유량을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변용 제 2 누름버턴(10)을 누르면 대변용 제 1 누름버턴(14) 사용시의 절반 정도의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한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의 기술로써는 도2 에서와 같이 대변기 급수밸브 몸통카바(16)상부에 소 유량을 배출시키는 푸쉬버턴(17)을 형성한 구조는 대유량을 배출하는 기존의 핸들을 작동시킬 경우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스크류(18)가 몸통 내부에 위치해 있어서 유량의 조절이 어려우며 소 유량을 배출하는 푸쉬버턴(17) 작동시 피스톤b(19)을 부상시키기 위한 압력실B(20)의 압력을 빼는 구조의 공간이 불충분하여 수압의 변화에 따른 유량의 변동이 심한 단점을 가지고있었다.
또한 도 2의 1 대변기 급수밸브 몸통의 대유량을 배출하는 핸들(21)의 내부에 소유량을 부출시키는 누름버턴부(22)를 형성한 경우에는 대변기 시공이 낮게 된 곳에는 도2의 2에서 소유량 작동시 버턴을 누르기에 불편함과 고수압에서의 소유량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아 본래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물배출 수단인 기존의 대변기 밸브몸통에 대유량을 배출하는 제 1 누름버턴(14)과 소유량을 배출하는 제 2 누름버턴(10)을 갖춘 유량전환몸통(11)에 의한 대유량과 소유량으로 구분배출할 수 있는 대변기 밸브구조로써 소유량 제 2 누름버턴(10)사용시 대유량 제 1 누름버턴(14) 사용 배출량보다 절반가량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 설치된 현장의 대변기 밸브몸통에 본 고안의 유량전환몸통(11)의 간단한 교환결합만으로서 동등한 절수효과를 얻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대변기 급수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대.소 구분 대변기 급수밸브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1은 종래의 대.소구분 대변기 급수밸브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2는 종래의 대.소구분 대변기 급수밸브의 설치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대변기 급수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대측 유량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소측 유량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피스톤밸브
제7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체크밸브몸체 2. 밸브몸통
3. 피스톤 a 4. 피스톤밸브
5. 피스톤밸브 아답터 6. 제 1 작동로드
7. 제2 작동로드 8. 제 1 핸들
9. 제2 핸들 10. 제2 누름버턴
11. 유량전환몸통 12. 압력실 A
13. 배수관 14. 제 1 누름버턴 15. 연결너트 16. 몸통 카바 17. 푸쉬버턴 18. 조절스크류 19. 피스톤 b 20. 압력실 B 21. 핸들 22. 누름버턴
종래의 대변기 급수밸브의 작동 원리는 핸들(8)을 누르면 작동로드(6)가 전진하면서 피스톤(3)의 피스톤 밸브(4)를 누르게 되고 피스톤밸브(4)가 열리면서 압력실A(12)의 물이 배출되어 급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3)이 부상을 시작하게 된다. 피스톤(3)이 부상을 하면서 체크밸브(1)를 통하여 급수된 물이 밸브몸통(2)의 배수관(13)을 통하여 배출을 시작함과 동시에 피스톤의 작은구멍을 통하여 압력실(12)에 물이 채워지면서 피스톤(3)이 하강하게 되고 지수가 된다. 본 고안의 작동은 대 유량일 경우 기존의 핸들(8)을 작동시키면 제2 작동로드(7)가 전진하면서 제2 핸들(9)을 밀어주고 제2핸들(9)은 작동로드(6)를 피스톤밸브(4)의 외경 단차중 외경이 작은쪽(B)까지 간섭을 줄 수 있는 일정한 거리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작동로드(6)가 전진을 하면 피스톤밸브(4)의 외경 단차중 외경이 큰쪽(A)에 먼저 닿아서 피스톤밸브(4)를 누르게되고 압력실A(12)의 압력이 빠지면서 피스톤(3)이 부상을 하여 물이 배출된다. 피스톤(3)이 부상하게 됨에 따라 피스톤밸브(4)의 외경 단차중 외경이 큰쪽(A)이 작동로드(6)를 벗어나게 되고 외경이 작은쪽(B)을 누르게 된다. 피스톤밸브(4)의 외경이 작은쪽(B)이 작동로드(6)를 벗어날때까지 피스톤(3)은 부상하게 되고 이후의 작동은 기존 대변기 급수밸브와 동일하다. 소 유량일 경우 제2누름버턴(10)을 누르면 제2핸들(9)이 작동을 하고 제2핸들(9)은 작동로드(6)를 피스톤밸브(4)의 외경 단차중 외경이 큰 쪽(A)만 간섭을 줄 수 있는 일정한 거리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작동로드(6)가 전진을 하면 피스톤밸브(4)의 외경 단차중 외경이 큰쪽(A)에 닿아서 피스톤밸브(4)를 누르게 되고 압력실(12)의 압력이 빠지면서 피스톤(3)이 부상을 하여 물이 배출된다.
피스톤(3)이 부상하게 됨에 따라 피스톤밸브(4)의 외경 단차중 외경이 큰쪽(A)이 작동로드(6)를 벗어나게 되고 피스톤밸브(4)가 닫히면서 지수가 된다.
대변기 수세밸브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따라 대·소유량을 선택사용함으로써 상당한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 현장의 대변기 수세밸브에도 본 고안의 유량전환몸통(11) 부분만을 교체, 추가함으로써 동등한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피스톤 밸브(4) 외경에 도6에서 단차 구조(C)를 갖은 대변기 급수 밸브 몸통(2)에 연결 너트(15)에 의한 일축의 유량전환몸통 결합을 형성하고 유량전환몸통(11)에 대 유량을 토출하는 제 1 누름버턴부와 소유량을 토출하는 제2 누름버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대변기 급수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대유량을 토출하는 제 1 누름버턴(8)을 작동시키면 제 2 작동로드(7)가 전진하면서 제 2 핸들(9)이 연동하고 제 2 핸들(9)은 제 1 작동로드(6)을 밀어주어 제 1 작동로드(6)가 피스톤 밸브(4)의 외경 단차중 외경이 큰쪽(A)와 작은쪽(B)을 모두 접촉시켜 밀어줌으로써 피스톤을 많이 부상시켜 대유량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대변기 급수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소유량을 배출시에는 대변기 급수밸브의 핸들부에 설치된 연결너트(15)의 제 2 누름버턴(10)와 이에 연동하는 제 2 핸들(9)을 갖으며 제 2 핸들(9)의 작동에 의해 작동로드(6)가 피스톤 밸브(4)의 외경단차중 외경이 큰쪽(A)의 일정량 만큼을 접촉시켜 밀어줌으로써 피스톤 (3)을 부상시켜 소유량을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대변기 급수밸브
KR2020000001469U 2000-01-19 2000-01-19 대변기 급수밸브 KR200196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69U KR200196614Y1 (ko) 2000-01-19 2000-01-19 대변기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69U KR200196614Y1 (ko) 2000-01-19 2000-01-19 대변기 급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614Y1 true KR200196614Y1 (ko) 2000-09-15

Family

ID=1963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469U KR200196614Y1 (ko) 2000-01-19 2000-01-19 대변기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6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28A (ko) * 2000-07-24 2000-10-05 신동석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KR200490573Y1 (ko) 2018-06-19 2019-12-03 태성정밀(주) 유량 조절이 가능한 피벗 로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절수형 대변기 플러시 밸브
KR20220128712A (ko) 2021-03-15 2022-09-22 광 승 김 초절수형 자폐식 변기용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28A (ko) * 2000-07-24 2000-10-05 신동석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KR200490573Y1 (ko) 2018-06-19 2019-12-03 태성정밀(주) 유량 조절이 가능한 피벗 로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절수형 대변기 플러시 밸브
KR20220128712A (ko) 2021-03-15 2022-09-22 광 승 김 초절수형 자폐식 변기용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8908B (zh) 加压双水量冲水系统
US7028975B2 (en) Flush valve structure
KR200196614Y1 (ko) 대변기 급수밸브
JP2009523988A (ja) 液圧作動装置
WO2023116887A1 (zh) 一种无水箱式机械阀冲水系统
KR100442447B1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EP1197607A3 (de) Spülkasten für ein WC
CN213926551U (zh) 一种冲洗阀
KR20030023643A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CN104141339B (zh) 紧凑型节水坐便器
CN211875181U (zh) 一种冲洗阀
KR19980033488A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CN2421343Y (zh) 两按式排水阀
CN111271490A (zh) 一种冲洗阀
KR960010623Y1 (ko) 양변기용 버튼식 절수장치
CN2448879Y (zh) 坐便冲洗器
CN216238819U (zh) 一种储能器
CN212001445U (zh) 一种自带高效疏通功能的坐便器
KR200262718Y1 (ko)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
CN210507674U (zh) 一种冲水装置及坐便器
KR200242064Y1 (ko) 연속토수버튼이 구비된 정량자폐밸브
KR200293848Y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200281618Y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20240073097A (ko) 직수형 미캐니컬 밸브 플러싱 시스템
CN117627119A (zh) 增程式空气能马桶冲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