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594Y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594Y1
KR200196594Y1 KR2019980018638U KR19980018638U KR200196594Y1 KR 200196594 Y1 KR200196594 Y1 KR 200196594Y1 KR 2019980018638 U KR2019980018638 U KR 2019980018638U KR 19980018638 U KR19980018638 U KR 19980018638U KR 200196594 Y1 KR200196594 Y1 KR 200196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plate
hinge device
hollow cylindrica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245U (ko
Inventor
안순혁
박영규
Original Assignee
안순혁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순혁, 박영규 filed Critical 안순혁
Priority to KR2019980018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59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5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70/00Apparatus relating to physics, e.g.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윤활유가 내장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체결구멍(36)이 형성된 장방형의 체결판(34)과, 상기 체결판(34)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내측 안쪽에 턱(40)이 형성되며 속이 빈 원통형의 수용통(38)으로 구성된 고정부(32)와,
체결구멍(46)이 형성된 장방형의 체결판(44)과, 상기 체결판(44)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지름이 확대된 다수개의 볼록부가 외주에 형성되고, 외측 단부로부터 곡선으로 180도로 절취된 한쌍의 슬릿(60)으로 구성된 속이 빈 원통형의 삽입통(48)으로 구성된 가동부(42)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서 내구 수명이 오래가게 되고, 윤활유를 이용하므로써 회전의 원활성이 좋아지게 되고, 가동부에 슬릿을 형성시켜 텐션 역할을 하게 되어 장탈착이 용이하고, 고정부와 가동부간의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힌지장치( HINGE APPARATUS )
본 고안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윤활유가 내장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는 노우터북 컴퓨터, 셀룰러폰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힌지장치는 본체(10)의 상단에 오목부(12)를 형성시키고, 카바(14)의 하면에 돌부(16)를 구비시켜, 상기 돌부(16)가 오목부(12)에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카바(14)가 본체(10)에 대해서 회전된다.
그러나, 이러한 힌지 장치는 사출물로 이루어져서 강도가 약하게 되고, 사용횟수에 따라 마모가 이루어져서 수명이 단축되고, 돌부가 오목부내에 너무 빡빡하게 삽입되어 돌부의 회전에 제약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틸,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윤활유를 사용할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힌지장치의 일예로서,
체결구멍이 형성된 장방형의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내측 안쪽에 턱이 형성되며 속이 빈 원통형의 수용통으로 구성된 고정부와,
체결구멍이 형성된 장방형의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지름이 확대된 다수개의 볼록부가 외주에 형성되고, 외측 단부로부터 곡선으로 180도로 절취된 한쌍의 슬릿으로 구성된 속이 빈 원통형의 삽입통으로 구성된 가동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윤활유를 이용하므로써 회전의 원활성이 좋아지게 되고, 가동부에 슬릿을 형성시켜 텐션 역할을 하게 되어 장탈착이 용이하고, 고정부와 가동부간의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힌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오목부
14 : 카바 16 : 돌부
30 : 힌지장치 32 : 고정부
34 : 체결판 36 : 체결구멍
38 : 수용통 40 : 턱
42 : 가동부 44 : 체결판
46 : 체결 구멍 48 : 삽입통
50 : 제 1 볼록부 52 : 제 2 볼록부
54 : 제 3 볼록부 56 : 제 1 저면부
58 : 제 2 저면부 60 : 슬릿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틸제,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힌지장치(30)는 제품의 본체등에 고정되는 고정부(32)와, 제품의 카바등에 고정되는 가동부(4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2)는 제품의 본체등에 스크류등에 의해서 체결되는 체결구멍(36)이 형성된 장방형의 체결판(34)과, 상기 체결판(34)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내측 안쪽에 턱(40)이 형성되며 속이 빈 원통형의 수용통(38)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부(42)는 제품의 카바등에 스크류등에 의해서 체결되는 체결구멍(46)이 형성된 장방형의 체결판(44)을 포함하거나, 상기 체결판(44)의 일단에는 삽입통(48)이 연장된다.
상기 삽입통(48)은 외단쪽에서 지름이 확대된 제 1 볼록부(50)와, 상기 제 1 볼록부(5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름이 확대된 제 2 볼록부(52)와, 상기 제 2 볼록부(52)와 일정한 간격을 두며 상기 체결판(44)근처에서 지름이 확대된 제 3 볼록부(54)와, 외측 단부로부터 곡선으로 180도로 절취된 한쌍의 슬릿(60)으로 구성된 다. 상기 삽입통(48)의 내부도 비어 있다.
상기 삽입통(48)과 수용통(38) 내부에는 윤활유가 충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고정부(32)의 체결판(34)을 제품의 본체등에 스크류등에 의해서 체결시킨다. 그런 다음, 가동부(42)의 삽입통(48)을 고정부(32)의 수용통(38)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삽입통(48)과 수용통(38)내에 윤활유를 주입시킨다.
삽입통(48)은 수용통(38)내의 턱(40)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수용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부(42)를 제품의 카바등에 고정시킨다.
제품의 카바가 회전되면, 삽입통(48)이 수용통(38)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 삽입통(48)과 수용통(38)내에 윤활유는 삽입통(48)의 슬릿(60)을 통하여 제 1 저면부(56) 및 제 2 저면부(58)쪽으로 유출되어 회전이 원활하게 된다.
삽입통(48)의 볼록부(50, 52, 54)는 수용통(38)의 내주면과 항상 맞닿게 되고, 각각의 볼록부(50, 52, 54) 측면에는 윤활유가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블록부의 마모가 방지되고, 회전 토크가 일정하게 되어, 제품 본체와 카바간의 일정한 각도가 잘 유지된다.
또한, 슬릿(60)이 삽입통(48)에 형성되어 있어, 수용통(38)에 삽입시 및 작동시 텐션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180도로 절취된 곡선 슬릿의 작용으로 적은 각도의 회전으로도 윤활유가 최대의 범위로 공급되어 토크 변화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 수명이 오래가게 되고, 윤활유를 이용하므로써 회전의 원활성이 좋아지게 되고, 가동부에 슬릿을 형성시켜 텐션 역할을 하게 되어 장탈착이 용이하고, 고정부와 가동부간의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회전 토크에 따라 소정의 고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체결구멍(36)이 형성된 장방형의 체결판(34)과, 상기 체결판(34)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내측 안쪽에 턱(40)이 형성되며 속이 빈 원통형의 수용통(38)으로 구성된 고정부(32)와,
    체결구멍(46)이 형성된 장방형의 체결판(44)과, 상기 체결판(44)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지름이 확대된 다수개의 볼록부가 외주에 형성되고, 외측 단부로부터 곡선으로 180도로 절취된 한쌍의 슬릿(60)으로 구성된 속이 빈 원통형의 삽입통(48)으로 구성된 가동부(4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19980018638U 1998-09-29 1998-09-29 힌지장치 KR200196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638U KR200196594Y1 (ko) 1998-09-29 1998-09-29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638U KR200196594Y1 (ko) 1998-09-29 1998-09-29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245U KR20000007245U (ko) 2000-04-25
KR200196594Y1 true KR200196594Y1 (ko) 2000-10-02

Family

ID=1953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638U KR200196594Y1 (ko) 1998-09-29 1998-09-29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5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245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463A (ko) 드럼용 플랜지
RU2003107045A (ru) Вы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ерствия мешка
KR950019987A (ko) 현상제 카트리지 및 그 재생 방법
NO971265L (no) Dyseplate for væskefylling
KR940000760A (ko) 구동 실린더용 하우징
KR910002527A (ko) 다이 조립체
KR890000803A (ko) 수력기계의 윤활 베어링장치
KR200196594Y1 (ko) 힌지장치
PT99190A (pt) Onjunto de rolamento vedado e conjunto transportador
CA2221892A1 (en) End cap for bearing housed units
KR920701705A (ko) 원추체결세트
KR920000436A (ko) 보유용 핀 모듈
JPH08219627A (ja) 冷蔵庫の扉キャップ
JP3740707B2 (ja) 塵埃侵入防止用蓋
KR950001287A (ko) 플로우 센서
US4265459A (en) Swab cup reinforcing member support
KR910018242A (ko) 부시 및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KR800001103Y1 (ko) 경 첩
US20050061818A1 (en) Liquid container and double container
KR100369727B1 (ko) 엔진오일내의 쇳가루 제거장치
KR200167067Y1 (ko) 로드앤드용 보올시이트
JPS6018661Y2 (ja) 振動・騒音防止用自在継手
GB2146551A (en) Centrifuge windshield lid including a handle
KR970031136A (ko) 케이블 유동 방지 장치
KR970045893A (ko) 슬라이딩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