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246Y1 - 조립식 수납통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246Y1
KR200196246Y1 KR2020000010562U KR20000010562U KR200196246Y1 KR 200196246 Y1 KR200196246 Y1 KR 200196246Y1 KR 2020000010562 U KR2020000010562 U KR 2020000010562U KR 20000010562 U KR20000010562 U KR 20000010562U KR 200196246 Y1 KR200196246 Y1 KR 200196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surface
main body
vertical
storage container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현
Original Assignee
고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승현 filed Critical 고승현
Priority to KR2020000010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수납통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조립식 수납통은, 본체를 이루고 최소한 3 개 이상의 수직 절첩선이 구비된 본체면; 상기 본체면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면의 일측에 구성된 수직 연결면; 일면은 상기 본체면과 수평 절첩선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면의 조립시 바닥을 형성하는 형상의 바닥면; 상기 본체면과 바닥면을 조립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면; 및 상기 본체면과 연결면을 연결하는 결합 부재로 조립되고, 상기 수직 절첩선은 일직선이 아닌 상하의 모양이 점대칭 모양이며,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스냅 파스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보관시에는 다수의 수납통이 전개된 상태로 보관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필요시에는 간단히 조립하여 사용하며, 상기 수납통을 청소할 때에는 전개된 상태로 청소를 할 수 있어서 구석진 부분도 모두 깨끗하고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절첩선이 일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이루어져 조립식 제품의 단점을 보강한 견고한 수납통을 제공하므로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통{collapsible case}
본 고안은 수납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시에는 간단히 조립하여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전개된 상태로 보관하는 조립식 수납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통은 일반가정에서 어린이 장난감이나 여러가지 물건을 보관하고 각 사무실에서도 견본품이나 물건을 보관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수납통은 통상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에 의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하는데 상기 수납통은 본체면와 바닥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통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된 단순한 형상이다.
그러나, 도 1 에 도시한 종래기술에 따른 수납통(100)은 운반시나 수납통(100)을 사용하지 않고 따로 보관시에는, 차지하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또한 상기 수납통(100)의 본체면(110)과 바닥면(120)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깨끗히 청소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반시나 보관시에도 공간을 많이 필요하지 않고, 사용시에는 어디서나 간단히 조립하여 사용하며, 청소하기가 쉬운 조립식 수납통을 제공 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통의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조립식 수납통의 전개도.
도 4 는 수직 절첩선이 일직선인 경우의 조립식 수납통에 횡적인 힘을 가한 경우의 상태도.
도 5 는 도 2 에 따른 조립식 수납통에 횡적인 힘을 가한 경우의 상태도.
도 6 은 도 2 에 따른 스냅 파스너의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수납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 은 도 2 에 따른 손잡이가 추가로 구비된 조립식 수납통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조립식 수납통, 20:본체면, 21:수직 연결면, 23:수직 절첩선, 30:바닥면, 31:수평 연결면, 35:스냅 파스너, 45:벨크로 테이프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하여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조립식 수납통은 조립시 수직한 본체 기둥을 이루도록 다수의 수직 절첩선을 구비하는 본체면; 상기 본체면의 양측 단부가 서로 겹쳐서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본체면의 어느 하나의 측단부에 형성된 하나의 수직 연결면; 상기 본체면의 하단 일정부위에 소정의 부위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면의 조립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 상기 본체면과 연결된 상기 바닥면의 소정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상기 본체면의 하단부에 서로 겹쳐서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주변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수평 연결면; 및 상기 본체면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연결면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본체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 절첩선은 일직선이 아닌 상하의 모양이 점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면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연결면에 장착되는 스냅 패스너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면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연결면에 장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통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은 도 2 에 따른 조립식 수납통의 전개도를 도시 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납통은 본체면(20), 바닥면(30) 및 결합 부재 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본체면(20)과 바닥면(30) 및 연결면(21, 31)은 일체로 성형되는데 상기 바닥면(30)의 형상은 조립시 바닥을 이루는 부분으로 도면에서는 사각형의 형상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본체면(20)의 수직 절첩선(23)의 갯수에 따라서 삼각형이나 다른 각형의 형상을 이룰수 있다. 상기 바닥면(30)의 일부면은 상기 대향되는 한 쌍의 수직 절첩선(23) 사이에 연결되어야 조립시 수납통이 완성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본체면(20)과 탈부착 될 수 있도록 수평 연결면(31)은 상기 바닥면(30)과 일체를 이루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수평 연결면(31)은 상기 본체면(20)의 하단에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면(20)의 일단과 타단을 결합 부재에의해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수직 연결면(21)이 상기 본체면(20)의 일측에 구성된다.
상기 본체면(20)의 수직 절첩선(23)은 일직선이 아닌 모양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를 도 4 와 도 5 를 참고로 하여 상술한다.
도 4 에는 수직 절첩선(23)이 일직선인 경우의 조립식 수납통(10)에 횡적인 힘을 받은 경우의 작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처럼, 상기 수직 절첨선(23)이 일직선이 상태에서는 횡방향의 힘을 받으면 쉽게 찌그러 든다. 반면에 도 5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직 절첩선(23)이 일직선이 아닌 곡선을 이루게 되면 측방향의 힘을 분산하고 대향력이 생겨 조립식 수납통(10)이 견고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수직 절첩선(23)은 상하의 모양이 점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설명하면 한 개의 상기 수직 절첩선(23)만을 보면 상기 수직 절첩선(23)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가 점대칭되고,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수직 절첩선(23)은 서로 마주보면서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선대칭되는 모양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상기 결합부재는 스냅 파스너(일명 똑딱이 단추)로 구성 되어지고 상기 스냅 파스너(35)는 도 6 에 도시된 것 처럼 주로 횡방향의 전단력을 받으므로 쉽게 해지되지 않고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 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가 벨크로 테이프(45)로 이루어진 조립식 수납통(1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결합부재는 상술한 스냅 파스너(35)나 벨크로 테이프(45)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결합 부재로 지퍼(도시 생략)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운반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식 수납통(10)의 상부에 손잡이(47)를 추가 할 수도 있다(도 8 참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보관시에는 다수의 수납통이 전개된 상태로 보관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필요시에는 간단히 조립하여 사용하며, 상기 조립식 수납통을 청소할 때에는 전개된 상태로 청소를 할 수 있어서 구석진 부분도 모두 깨끗하고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절첩선이 일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이루어져 조립식 제품의 단점을 보강한 견고한 조립식 수납통을 제공하므로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조립시 수직한 본체 기둥을 이루도록 다수의 수직 절첩선을 구비하는 본체면;
    상기 본체면의 양측 단부가 서로 겹쳐서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본체면의 어느 하나의 측단부에 형성된 하나의 수직 연결면;
    상기 본체면의 하단 일정부위에 소정의 부위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면의 조립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
    상기 본체면과 연결된 상기 바닥면의 소정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상기 본체면의 하단부에 서로 겹쳐서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주변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수평 연결면; 및
    상기 본체면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연결면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 절첩선은 일직선이 아닌 상하의 모양이 점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면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연결면에 각각 장착되는 스냅 패스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면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연결면에 각각 장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통.
KR2020000010562U 2000-04-14 2000-04-14 조립식 수납통 KR200196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562U KR200196246Y1 (ko) 2000-04-14 2000-04-14 조립식 수납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562U KR200196246Y1 (ko) 2000-04-14 2000-04-14 조립식 수납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246Y1 true KR200196246Y1 (ko) 2000-09-15

Family

ID=1965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562U KR200196246Y1 (ko) 2000-04-14 2000-04-14 조립식 수납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2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3099A (en) Five-piece open container with locking arrangement
KR200196246Y1 (ko) 조립식 수납통
KR200427949Y1 (ko) 매트
US6554148B1 (en) Pedestal display and storage system
JPS59183889U (ja) 折りたたみコンテナ−
JP3046690U (ja) 蓋付きの仕切り式紙製容器
JP3059067U (ja) 瓶用蓋付組立紙箱
JPH10101066A (ja) 組立式コンテナ
JPS6332121U (ko)
JPH0539068Y2 (ko)
JPH0325652Y2 (ko)
JP4733288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S6330688Y2 (ko)
JPH10297630A (ja) 折畳み式収納箱
JPS5934392Y2 (ja) 小物置台
KR200295506Y1 (ko) 손잡이가 착탈식으로 조립구성된 식품용기
KR200320087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JPS6348507Y2 (ko)
JPH02135446U (ko)
JPH0646814Y2 (ja) 提手および蓋体を備えた一体成形容器
JPH062908Y2 (ja) 簡易重箱
JPH068770Y2 (ja) 折畳み式の食品取出し具
JPH047109Y2 (ko)
JPS5852191Y2 (ja) 合成樹脂製組立式容器
JP2003026161A (ja) 組立式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