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348Y1 - 골프 퍼팅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348Y1
KR200195348Y1 KR2020000004937U KR20000004937U KR200195348Y1 KR 200195348 Y1 KR200195348 Y1 KR 200195348Y1 KR 2020000004937 U KR2020000004937 U KR 2020000004937U KR 20000004937 U KR20000004937 U KR 20000004937U KR 200195348 Y1 KR200195348 Y1 KR 200195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in body
golf ball
recovery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흥국
Original Assignee
권흥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흥국 filed Critical 권흥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저면에 구형상의 회전돌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단턱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부재로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회전돌부가 회동할 수 있게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설치되고 골프공이 홀인될 수 있게 복수개의 홀컵부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되는 연장판과, 상기 본체와 연장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홀컵부에 일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매트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의 저면에 받침판을 설치하여 상기 본체가 전방향으로 가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필드와 같이 좌,우경사각과 오르막 및 내리막과 같은 퍼팅라인에서 퍼팅연습을 할 수 있어 퍼팅연습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에 연장판이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됨으로써 본체와 지면과의 경사를 완만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퍼팅된 골프공을 타격 시작점으로 회수할 수 있어 퍼팅연습을 더욱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퍼팅 연습장치{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본 고안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체의 저면에 받침판을 결합 설치하여 상기 본체가 전방향으로 가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필드와 같이 좌,우경사각과 오르막 및 내리막과 같은 퍼팅라인에서 퍼팅연습을 할 수 있어 퍼팅연습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본체에 연장판이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됨으로써 본체와 지면과의 경사를 완만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타격된 골프공의 회수를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필드에 나가 골프를 치기전에 실내에서 퍼팅 감각 및 자세등을 실내에서 교정 및 기본 감각을 익히거나, 또는 경제적인 사정이나 시간적인 사정으로 인하여 필드에 나가서 골프를 즐길 여건이 되지 않을 경우에 실내에서 간편하게 골프를 연습 또는 즐길 수 있도록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로 이루어진 매트(110)와, 상기 매트(110)가 설치되고 골프공(G)이 홀인되도록 홀컵(122)이 형성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양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타격된 골프공(G)이 타격 시작점(A)으로 다시 회수될 수 있는 공회수부(124)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골프 퍼팅 연습장치(100)는 타격 시작점(A)에서 골프공(G)을 타격을 하게 되면, 상기 골프공(G)은 매트(110) 위를 굴러 상기 본체(120)의 홀컵(122)으로 홀인 되거나, 공회수부(124)로 빠지게 되고, 상기 홀컵(122)이나 공회수부(124)로 빠진 골프공(G)은 타격 시작점(A)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공회수부(124)를 통하여 상기 타격 시작점(A)으로 되돌아 오는 것으로, 사용자는 계속 제자리에서 골프공(G)을 타격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골프를 연습 및 즐길 수 있는 유익한 점이 있으나, 골프 퍼팅 연습장치(100)의 본체(120)가 수평되게 설치되어 있어 항상 수평상태에서만 연습이 가능하여 퍼팅 연습이 단조롭고 실전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필드 여건을 제공할 수 없었다. 즉, 실전에 나가서 골프를 할 때 필드는 다양한 경사로 이루어져 있어 수평상태에서만 연습하였던 사용자들은 자기가 원하던 곳으로 골프공(G)을 필드에 올려놓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본체를 전방향으로 다양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여 실제 필드와 같이 좌,우경사각과 오르막 및 내리막과 같은 퍼팅라인에서 퍼팅연습을 할 수 있어 퍼팅연습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골프공의 회수를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저면 중앙에 볼트공을 갖는 구형상의 회전돌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의 외측에는 삽지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는 단턱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일측 선단에는 외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편과 그 결합편 사이에 연결축을 구비한 결합홈이 형성된 본체; 상면에 제 1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제 1경사면의 내측방향으로는 제 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경사면의 내측방향으로는 상기 본체의 회전돌부에 설치될 수 있게 중앙에 위치 조절공을 구비한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본체를 고정 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설치되고 골프공이 홀인될 수 있게 복수개의 홀컵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되는 연장판; 상기 본체와 연장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홀컵부에 일치되는 홀공이 형성된 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받침판의 위치 조절공을 통해 볼트공에 끼워질 수 있게 상면 중앙에 나사부를 갖는 결합축이 형성된 고정편; 상기 본체의 삽지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 상기 이탈방지편의 끼움공을 통해 관통되고 그 선단은 상기 고정편의 결합축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연결부재는 일측 중앙부에 상기 연장판에 끼워질 수 있게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연결편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그 연결편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홈을 통해 연결축에 걸릴 수 있게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회전판의 홀컵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관통공을 통해 낙하된 상기 골프공을 회수할 수 있게 회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은 사각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에는 상기 회수공을 통해 낙하된 골프공이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투입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유출공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투입공을 통해 낙하된 골프공이 상기 유출공으로 유도될 수 있게 삽입공을 갖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의 외부 일측면에는 상기 유출공을 통해 골프공을 회수할 수 있게 안내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수로(82)가 형성된 회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 만곡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회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판의 홀컵부는 단이지게 형성되며, 그 홀컵부의 일측에 상기 회수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컵부의 바닥에는 상기 회수부 측으로 경사진 배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본체와 받침판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본체와 연장판이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이 결합된 상태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가 결합된 상태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써, 도 7a는 본체가 수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체가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의 각도변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c는 본체가 후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의 각도 변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d는 본체가 좌,우측으로 각도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프 퍼팅 연습장치 20 : 본체
21 : 회전돌부 21a : 볼트공
22 : 돌출편 23 : 돌출부
24 : 삽지홈 25 : 안착부
25a : 단턱 26 : 결합편
27 : 결합홈 27a : 연결축
28 : 회수공 29 : 회수부
30 : 받침판 31 : 제 1경사면
32 : 제 2경사면 33 : 안착홈
34 : 위치 조절공 35 : 유출공
36 : 투입공 37 : 격벽
37a : 삽입공 40 : 결합부재
41 : 고정편 41a : 결합축
43 : 스프링 45 : 이탈방지편
47 : 고정볼트 50 : 회전판
51 : 홀컵부 51a : 관통공
52 : 개구부 53 : 배출면
56 : 연장판 60 : 연결부재
62 : 끼움홈 64 : 연결편
65 : 후크 70 : 매트
72 : 홀공 80 : 회수부재
81 : 안내공 82 : 회수로
G : 골프공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본체와 받침판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본체와 연장판이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이 결합된 상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가 결합된 상태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써, 본 고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10)는 본체(20), 받침판(30), 회전판(50), 연장판(56), 인조잔디로 이루어진 매트(70)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미설명부호(G)는 골프공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20)는 저면 중앙에 볼트공(21a)을 갖는 구형상의 회전돌부(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돌출편(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편(22)의 외측에는 삽지홈(24)이 형성되도록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3)의 외주연에는 단턱(25a)을 갖는 안착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선단에는 외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편(26)과 그 결합편(26) 사이에 연결축(27a)을 구비한 결합홈(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트공(21a)은 상기 돌출편(22)의 중앙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판(30)은 상면에 제 1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 1경사면(31)의 내측방향으로는 제 2경사면(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경사면(32)의 내측방향으로는 상기 본체(20)의 회전돌부(21)에 설치될 수 있게 중앙에 위치 조절공(34)을 구비한 안착홈(33)으로 구성되어 결합부재(40)에 의해 본체(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본체(20)에 받침판(30)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0)는 상기 받침판(30)의 위치 조절공(34)을 통해 볼트공(21a)에 끼워질 수 있게 상면 중앙에 나사부를 갖는 결합축(41a)이 형성된 고정편(41)과, 상기 본체(20)의 삽지홈(24)에 삽입되는 스프링(43) 및 상기 스프링(43)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프링(4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45)과, 상기 이탈방지편(45)의 끼움공(45a)을 통해 관통되고 그 선단은 상기 고정편(41)의 결합축(41a)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4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50)은 상기 본체(20)의 안착부(25)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골프공(G)이 홀인될 수 있게 복수개의 홀컵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판(56)은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연결부재(60)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60)는 일측 중앙부에 상기 연장판(56)에 끼워질 수 있게 끼움홈(62)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연결편(6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연결편(64)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홈(27)을 통해 연결축(27a)에 걸릴 수 있게 후크(6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매트(70)는 상기 본체(20)와 연장판(56)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홀컵부(51)에 일치하는 홀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골프 퍼팅 연습장치(10)는 골프의 퍼팅을 주된 연습을 하는 것으로 실내 또는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면 된다. 먼저 본체(20)의 저면에 받침판(30)을 결합부재(40)로 고정 설치한다. 즉, 본체(20)의 저면에 돌출된 회전돌부(21)에 받침판(30)의 안착홈(33)을 일치시킨 후 상기 받침판(30)의 위치 조절공(34)을 통해 고정편(41)의 결합축(41a)을 볼트공(21a)에 끼우고, 상기 결합부재(40)의 스프링(43)과 이탈방지편(45)을 삽지홈(24)에 순차적으로 삽입하며, 이 상태에서 이탈방지편(45)의 끼움공(45a)을 통해 고정볼트(47)를 관통시켜 결합축(41a)에 나사결합 시킨다. 이때 상기 스프링(43)는 본체(20)가 받침판(30)에서 전,후 또는 좌,우로 기울어지게 조절되었을 경우 조절된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20)에 받침판(30)이 결합되면 상기 본체(20)에 연장판(56)을 연결부재(60)로 연결 설치하면 된다. 즉, 연결부재(6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62)을 연장판(56)에 끼워 고정시키고, 타측에 형성된 후크(65)를 본체(20)에 형성된 결합홈(27)을 통해 연결축(27a)에 끼워 결합시키면 되고, 동시에 연장판(56)은 본체(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연장판(56)을 연결부재(60)로 본체(20)에 결합시키는 것은 상기 본체(20)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조절 하였을 경우 본체(20)의 전방과 지면과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0)의 안착부(25)에 회전판(50)을 설치한 다음, 본체(20)와 연장판(56)의 상면에 매트(70)를 덮어 설치하면 본 고안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매트(70)의 홀공(72)을 회전판(50)의 홀컵부(51)에 일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a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골프공(G)의 타격 시작점(A)에서 골프공(G)을 골프채(미도시)로 타격 즉, 퍼팅하게 되면, 상기 골프공(G)은 상기 매트(70)의 상면을 구르면서 본체(20)의 상면으로 구르게 되고, 본체(20)의 상면으로 구른 골프공(G)은 홀컵부(51)에 홀인되거나 홀컵부(51)의 외주연을 구르면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7b, 도 7c,도 7d와 같이 본체(20)가 받침판(30)에서 전방향에 걸쳐 임의의 경사도의 변위가 가능하여 퍼팅 연습에 따른 전방향에 대한 다양한 경사각도가 제공되어 실제 필드와 같은 그린상황의 조성으로 더욱 효과적인 퍼팅연습을 행할 수 있다. 즉, 받침판(30)의 안착홈(33)에 결합부재(40)로 결합 설치된 본체(20)의 회전돌부(21)가 안착홈(33)에서 전방향으로 회동가능하여 회전돌부(21)의 회동에 따른 각도변환에 의해 보다 다양한 경사각도가 제공되어 실제 필드와 같은 적응을 연습 숙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프에 대한 흥미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또한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판(50)을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위치로 골프공(G)을 홀컵부(51)에 홀인되도록 퍼팅할 수 있다.
한편, 본체(20)가 전방향으로 회동시 본체(20)가 받침판(30)에서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결합부재(40)의 스프링(43)에 의해 본체(20)가 유동되지 않고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로써, 상기 회전판(50)의 홀컵부(51)에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낙하된 골프공을 회수할 수 있게 회수공(28)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30)은 사각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에는 상기 회수공(28)을 통해 낙하된 골프공이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투입공(36)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유출공(35)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투입공(36)을 통해 낙하된 골프공이 상기 유출공(35)으로 유도될 수 있게 삽입공(37a)을 갖는 격벽(37)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30)의 외부 일측면에는 상기 유출공(35)을 통해 골프공을 회수할 수 있게 안내공(8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수로(82)가 형성된 회수부재(80)가 설치된 구성이다.
여기서, 격벽(37)이 형성된 바닥면은 다른 바닥면 보다 낮게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고, 상기 투입공(36)은 상기 회수공(2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도시되지 않은 골프공의 타격 시작점에서 골프공을 골프채로 퍼팅하게 되면, 상기 골프공은 상기 매트(70)의 상면을 구르면서 본체(20)의 상면으로 구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상면으로 굴러 이동된 골프공이 상기 회전판(50)의 홀컵부(51)에 홀인되면, 홀인된 골프공은 관통공(51a)을 통해 상기 본체(20)로 낙하하게 되고, 본체(20)로 낙하된 골프공은 다시 회수공(28)과 받침판(30)의 투입공(36)을 통해 격벽(37)으로 직접 낙하하거나 격벽(37)의 외주연으로 낙하한 다음 삽입공(37a)을 통해 격벽(37)의 내부로 구르게 되며, 상기 격벽(37)의 내부로 들어온 골프공은 다시 유출공(35)을 통해 회수부재(80)의 안내공(81)으로 구르게 되고, 상기 안내공(81)으로 구른 골프공은 회수로(82)를 따라 가이드로(91)가 형성된 받침부재(90)로 구름으로써 최초 타격 시작점으로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로써, 이는 상기 본체(20)의 상면 가장자리에 만곡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회수부(29)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안착부(25)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판(50)의 홀컵부(51)는 단이지게 형성되며, 그 홀컵부(51)의 일측에 상기 회수부(29)와 연통되도록 개구부(52)가 형성되고, 상기 홀컵부(51)의 바닥에는 상기 회수부(29)측으로 경사진 배출면(53)이 형성된 구성으로써, 본체(2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프공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면(53)은 홀컵부(51)의 개구부(52)를 지나 회수부(29)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홀컵부(51)로 홀인된 골프공이 원활하게 상기 회수부(29)로 구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술은 도시되지 않은 골프공의 타격 시작점에서 골프공을 골프채로 퍼팅하게 되면, 상기 골프공은 상기 매트(70)의 상면을 구르면서 본체(20)의 상면으로 구르게 되고, 상기 본체(20)의 상면으로 굴러 이동된 골프공이 상기 회전판(50)의 홀컵부(51)에 홀인되면, 홀인된 골프공은 상기 회수부(29)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면(53)을 따라 상기 회수부(29)측으로 구르게 된다.
상기한 홀컵부(51)에 홀인되고 상기 배출면(53)에 의해 상기 회수부(29) 측으로 구른 골프공은 상기 본체(20)의 상면 가장자리에 만곡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회수부(29)를 따라 가이드로(97)가 형성된 받침부재(96)로 구름으로써 최초 타격 시작점으로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타격된 후 홀컵부(51)에 홀인되지 않고 회수부(29)로 빠진 골프공은 최초 타격 시작점 측으로 경사진 회수부(29)로 유입된 후 최초 타격 시작점으로 회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골프 퍼팅 연습장치(10)는 본체(20)의 저면에 받침판(30)을 결합 설치하여 상기 본체(20)가 전방향으로 가변 사용할 수 있어 퍼팅연습에 따른 보다 다양한 경사각도를 제공하여 실제 필드와 같은 적응연습을 숙달할 수 있고, 본체(20)에 연장판(56)이 연결부재(60)로 연결 설치됨으로써 본체(20)와 지면과의 경사를 완만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퍼팅된 골프공(G)의 회수를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따르면 저면에 구형상의 회전돌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단턱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부재로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회전돌부가 회동할 수 있게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설치되고 골프공이 홀인될 수 있게 복수개의 홀컵부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되는 연장판과, 상기 본체와 연장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홀컵부에 일치되는 홀공이 형성된 매트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의 저면에 받침판을 설치하여 상기 본체가 전방향으로 가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필드와 같이 좌,우경사각과 오르막 및 내리막과 같은 퍼팅라인에서 퍼팅연습을 할 수 있어 퍼팅연습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에 연장판이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됨으로써 본체와 지면과의 경사를 완만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일측에 회수부재가 설치하여 퍼팅된 골프공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퍼팅연습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에 직접 퍼팅된 골프공을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부를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을 원활하게 회수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저면 중앙에 볼트공(21a)을 갖는 구형상의 회전돌부(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돌출편(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22)의 외측에는 삽지홈(24)이 형성되도록 돌출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3)의 외주연에는 단턱(25a)을 갖는 안착부(25)가 형성되며, 일측 선단에는 외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편(26)과 그 결합편(26) 사이에 연결축(27a)을 구비한 결합홈(27)이 형성된 본체(20);
    상면에 제 1경사면(31)이 형성되고, 그 제 1경사면(31)의 내측방향으로는 제 2경사면(3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경사면(32)의 내측방향으로는 상기 본체(20)의 회전돌부(21)에 설치될 수 있게 중앙에 위치 조절공(34)을 구비한 안착홈(33)이 형성된 받침판(30);
    상기 받침판(30)과 본체(20)를 고정 시키는 결합부재(40);
    상기 본체(20)의 안착부(25)에 설치되고 골프공(G)이 홀인될 수 있게 복수개의 홀컵부(51)가 형성된 회전판(50);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연결부재(60)로 연결 설치되는 연장판(56);
    상기 본체(20)와 연장판(56)의 상면에 설치되고 홀컵부(51)에 일치되는 홀공(72)이 형성된 매트(7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받침판(30)의 위치 조절공(34)을 통해 볼트공(21a)에 끼워질 수 있게 상면 중앙에 나사부를 갖는 결합축(41a)이 형성된 고정편(41);
    상기 본체(20)의 삽지홈(24)에 삽입되는 스프링(43); 및
    상기 스프링(43)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프링(4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45);
    상기 이탈방지편(45)의 끼움공(45a)을 통해 관통되고 그 선단은 상기 고정편(41)의 결합축(41a)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4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는 일측 중앙부에 상기 연장판(56)에 끼워질 수 있게 끼움홈(6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연결편(6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그 연결편(64)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홈(27)을 통해 연결축(27a)에 걸릴 수 있게 후크(6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의 홀컵부(51)에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에는 관통공(51a)을 통해 낙하된 상기 골프공(G)을 회수할 수 있게 회수공(28)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30)은 사각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에는 상기 회수공(28)을 통해 낙하된 골프공이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투입공(36)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유출공(35)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투입공(36)을 통해 낙하된 골프공이 상기 유출공(35)으로 유도될 수 있게 삽입공(37a)을 갖는 격벽(37)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30)의 외부 일측면에는 상기 유출공(35)을 통해 골프공을 회수할 수 있게 안내공(8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수로(82)가 형성된 회수부재(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상면 가장자리에 만곡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회수부(29)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안착부(25)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판(50)의 홀컵부(51)는 단이지게 형성되며, 그 홀컵부(51)의 일측에 상기 회수부(29)와 연통되도록 개구부(52)가 형성되고, 상기 홀컵부(51)의 바닥에는 상기 회수부(29) 측으로 경사진 배출면(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20000004937U 2000-02-23 2000-02-23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19534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721A KR100337121B1 (ko) 2000-02-23 2000-02-23 골프 퍼팅 연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721A Division KR100337121B1 (ko) 2000-02-23 2000-02-23 골프 퍼팅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348Y1 true KR200195348Y1 (ko) 2000-09-01

Family

ID=196491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937U KR200195348Y1 (ko) 2000-02-23 2000-02-23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20000008721A KR100337121B1 (ko) 2000-02-23 2000-02-23 골프 퍼팅 연습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721A KR100337121B1 (ko) 2000-02-23 2000-02-23 골프 퍼팅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53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96B1 (ko) * 2006-05-30 2007-01-22 (주)미립기술 골프연습기
KR101030047B1 (ko) * 2009-07-07 2011-04-18 주식회사 나인코리아 골프 퍼팅 연습기
KR100996245B1 (ko) * 2009-12-31 2010-11-23 김은란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퍼팅거리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000A (ko) 2001-09-06
KR100337121B1 (ko) 200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81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골프 퍼터
US5390918A (en) Adjustable golf putter head
US4726591A (en) Multiple type target game
USD445862S1 (en) Golf club for teaching ball alignment and lie angle
US7294062B2 (en) Indoor putting game device
US9079077B2 (en) Adjustable putter head assembly
US6676533B1 (en) Angle adjustable golf club
US5482247A (en) Golf club stand device
AU2007205755A1 (en) Golf tee set
US5971866A (en) Wedge type golf club tri-level sole configuration
KR200195348Y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US6129637A (en) Golf practice device
US5308063A (en) Adjustable golf club
US5080371A (en) Foot attachable apparatus for tossing and receiving a ball
US5503393A (en) Golf putting aid and method
US5700206A (en) Golf putter structure
KR101794238B1 (ko) 골프용 볼마커
CN104415517B (zh) 推杆
JP2008518654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角度調節器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JP3052104U (ja) 打球用クラブ
KR200310177Y1 (ko) 퍼팅연습기
US20220331670A1 (en) Golf Putter Head with a Multidirectional Roller Ball
KR200383207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골프티
US20220331680A1 (en) Golf Putter Head with a Multidirectional Roller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