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879Y1 - 눈썹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눈썹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879Y1
KR200194879Y1 KR2020000006796U KR20000006796U KR200194879Y1 KR 200194879 Y1 KR200194879 Y1 KR 200194879Y1 KR 2020000006796 U KR2020000006796 U KR 2020000006796U KR 20000006796 U KR20000006796 U KR 20000006796U KR 200194879 Y1 KR200194879 Y1 KR 200194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etachable
detachable piece
groove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정길
Original Assignee
공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정길 filed Critical 공정길
Priority to KR2020000006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눈썹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눈썹을 그리고 다듬고 또는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를수 있는 기능을 모두 겸비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를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구매부담을 줄인 눈썹 화장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회동에 따라 내설되어 있는 펜슬(24)이 축방향 출몰되는 회동체(22)가 설치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축방향 내측으로 일정깊이의 요입홈(26)이 형성된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요입홈(26)에 착탈가능한 것으로, 상기 요입홈(26)의 둘레면과 그 외면이 밀착/해제되어 슬라이드 착탈되는 삽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착부(42)를 사이에 두고 양끝단부에 각각 컷팅부(46)와 브러시(52)가 축방향 설치된 착탈편(40)과; 상기 회동체(22)와, 착탈편(40)의 컷팅부(46) 또는 브러시(52)를 감싸도록 본체(30)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제 1뚜껑(54) 및 제 2뚜껑(5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눈썹 화장도구{Eyebrow trimmer}
본 고안은 눈썹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겉눈썹을 그리고 다듬고 또는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를수 있는 기능을 모두 겸비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토록 함과 아울러 구매부담을 줄인 눈썹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 특히, 여성들은 용모의 미적 아름다움을 가꾸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었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화장품과 화장도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특히 화장도구들은 각 부위별로 예컨대 눈썹, 입술 볼등 특정부위에만 전문적으로 사용하도록 세분화되어 개발,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첨부 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화장도구중에서 눈썹화장만을 위한 눈썹 화장도구(2)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눈썹 화장도구(2)는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4)와, 이 본체(4)의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본체(4)의 정역회동에 따라 내설되어 있는 펜슬(6)을 축방향으로 출몰시키는 회동체(8)와, 상기 본체(4)의 타측단에 축방향으로 고정설치된 브러시(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눈썹 화장도구(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눈썹을 화장하고자 할 경우, 예컨대 겉눈썹을 그리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4)의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체(8)를 본체(4)와 역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그 내부에 내설된 펜슬(6)을 일정길이만큼 축방향 돌출시킨 후, 손으로 본체(4)를 잡고 상기 펜슬(6)로 겉눈썹을 그리면 된다.
상기 본체(4)와 회동체(8)의 결합관계 및 상기 본체(4)와 회동체(8)의 역방향 회동에 따른 펜슬(6)의 축방향 출몰관계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의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가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4)의 타단측에 축방향 돌출형성된 브러시(10)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손으로 본체(4)를 잡고 상기 브러시(10)로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르면 된다.
이와 같이, 본체의(4)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회동체(8) 및 브러시(10)는 휴대,보관 또는 미사용시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4)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제 1뚜껑(12)과, 제 2뚜껑(14)을 구비하여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눈썹 화장도구(2)에서 펜슬(6)로 겉눈썹을 그리게 될 때, 겉눈썹 주위의 잔털을 다듬거나 불규칙적으로 돋은 겉눈썹을 컷팅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에 따라 면도날을 이용하여 깍고, 다듬거나 또는 별도의 눈썹 컷팅기를 구매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겉눈썹의 잔털등을 컷팅하고자 할 경우 먼저, 면도칼로 컷팅할 경우에는 취급 부주위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으며, 특히 외출시에 동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겉눈썹 컷팅기를 구매할 경우 두 가지 제품을 별도로 구매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겉눈썹을 그리고 다듬고 또는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를수 있는 기능을 모두 겸비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를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구매부담을 줄인 눈썹 화장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눈썹 화장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에서 본체에 착탈편이 착탈되는 관계를 나타낸 일부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의 또 따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눈썹 화장도구 22 : 회동체
26 : 요입홈 28 : 걸림홈
30 : 본체 40 : 착탈편
42 : 삽착부 44 : 걸림돌기
46 : 컷팅부 48 : 컷터날
50 : 헤밍(hemming)부 52 : 브러시
54 : 제 1뚜껑 56 : 제 2뚜껑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회동에 따라 내설되어 있는 펜슬이 축방향으로 출몰되는 회동체가 설치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축방향 내측으로 일정깊이의 요입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요입홈에 착탈가능한 것으로, 상기 요입홈의 둘레면과 그 외면이 밀착/해제되어 슬라이드되면서 착탈되는 삽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착부를 사이에 두고 양끝단부에 각각 컷팅부와 브러시가 축방향 설치된 착탈편과; 상기 회동체와, 착탈편의 컷팅부 또는 브러시를 감싸도록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제 1뚜껑 및 제 2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 또는 착탈편의 삽착부 외형이 원통형일 경우, 상기 본체에서 요입홈이 형성된 단부에는 축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탈편의 삽착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착탈편의 삽착부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서로 대응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에서 본체에 착탈편이 착탈되는 관계를 나타낸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눈썹 화장도구(20)는 일측단에 회동가능한 회동체(22)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일정깊이로 요입홈(2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통형의 본체(30)와, 이 본체(30)의 요입홈(26)에 대하여 슬라이드 착탈가능한 삽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착부(42)의 양방향으로 각각 컷팅부(46)와 브러시(52)가 축방향으로 일체형성된 착탈편(40)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구성적 특징요소가 있다.
상기 본체(30)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일측단에 종래에서와 마찬가지로 회동체(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타측단에는 축방향 내측으로 일정깊이의 요입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입홈(26)의 둘레에는 일정크기의 걸림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탈편(40)은 상기 본체(30)의 요입홈(26) 내경에 대하여 그 외경이 미세한 차이로 작게 형성된 삽착부(42)와, 이 삽착부(42)의 양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체형성된 컷팅부(46)와 브러시(5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삽착부(42)의 외측면에는 본체(30)의 걸림홈(28)에 대응하여 끼워 맞춤되는 걸림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컷팅부(46)는 커터날(28)이 일방향으로만 드러나도록 하고, 끝단을 포함한 나머지 부분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한 헤밍부(50)로 형성하였다.
상기 본체(30)에 형성된 걸림홈(28)과 착탈편(40)의 삽착부(42)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44)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으로 하며, 그 갯수에는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28')과 걸림돌기(44')는 서로 대응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작용효과는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눈썹 화장도구(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눈썹을 화장하거나 손질하고자 할 경우 먼저, 겉눈썹의 잔털을 깍거나 다듬고자 할 경우에는 착탈편(40)의 부러시(52)를 본체(30)의 요입홈(26)으로 요입시킨다.
이때, 상기 착탈편(40)의 삽착부(42) 외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44)를 본체(30)의 걸림홈(28)과 일치되게하여 요입하며, 상기 삽착부(42)의 외면이 상기 요입홈(26)의 둘레면과 마찰력에 의해 밀착되어 착탈편(40)이 본체(30)에 대하여 고정되면, 사용자가 본체(30)를 손으로 잡고 컷팅부(46)의 컷터날(48)을 이용하여 겉눈썹의 잔털등을 깍거나 다듬으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르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본체(30)로부터 착탈편(40)을 분리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착탈편(40)을 본체(30)로부터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삽착부(42)의 외면과 요입홈(26)의 둘레면의 마찰력 해제로 인하여 상기 착탈편(40)이 본체(30)에 대하여 분리된다.
다음, 상기 착탈편(40)의 컷팅부(46)를 본체(30)의 요입홈(26)으로 요입되도록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착탈편(40)을 본체(30)에 대하여 고정시킨 후, 사용자가 본체(30)를 손으로 잡고 브러시(52)를 이용하여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르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착탈편(40)을 본체(30)의 요입홈(26)에 대하여 각각 컷팅부(46) 또는 브러시(52)가 드러나도록 교환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컷터날(48) 또는 브러시(52)를 사용하게 될 때, 상기 착탈편(40)의 삽착부(42) 외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44)가 본체(30)의 걸림홈(28)에 걸려져 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착탈편(40)이 본체(30)에 대하여 헛돎이 방지된다.
하지만, 상기 걸림홈(28) 및 걸림돌기(44)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체(30)에 대한 착탈편(40)의 헛돎은 방지시킬 수 있으나, 상기 착탈편(40)의 삽착부(42) 외면과 본체(30)의 요입홈(26) 둘레면의 잦은 마찰에 의한 마모시 헐거워짐으로 인한 직선방향으로의 이탈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28') 및 걸림돌기(44')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상술한 두 가지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요홈(28') 및 걸림돌기(44')가 나선형일 경우에는 착탈편(40)을 본체(30)에 대하여 착탈시킬 때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착탈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겉눈썹을 그리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체(30)의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회동체(22)를 본체(30)와 역방향 회동시켜 펜슬(24)을 알맞은 길이로 돌출시킨 후, 본체(30)를 손으로 잡고 펜슬(24)로 그리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눈썹 화장도구(20)를 이용하여 눈썹 화장 및 손질이 마무리되면 회동체(22)와 착탈편(40)의 컷팅부(46) 또는 브러시(52)는 각각 제 1뚜껑(54)과 제 2뚜껑(56)으로 닫아서 보관하면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눈썹 화장도구(20)의 본체(30)와, 착탈편(40)의 삽착부(42) 형상을 원통형으로 하여 헛돎방지를 위한 걸림홈(28,28') 및 걸림돌기(44,44')를 형성하였으나, 상기 본체(30) 및 착탈편(40)의 삽착부(42)는 다각형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굳이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배제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눈썹 화장도구는 사용자가 겉눈썹을 그리거나 겉눈썹 주위의 잔털을 깍거나 다듬고자 할 경우, 양측으로 각각 컷팅부와 브러시를 갖는 착탈편을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자유로이 교환착탈하여 사용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를수 있는 펜슬이 적용된 하나의 단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겉눈썹 또는 속눈썹의 화장과 손질을 한꺼번에 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구매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회동에 따라 내설되어 있는 펜슬(24)이 축방향으로 출몰되는 회동체(22)가 설치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내측으로 일정깊이의 요입홈(26)이 형성된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요입홈(26)에 착탈가능한 것으로, 상기 요입홈(26)의 둘레면과 그 외면이 밀착/해제되어 슬라이드되면서 착탈되는 삽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착부(42)를 사이에 두고 양끝단부에 각각 컷팅부(46)와 브러시(52)가 축방향 설치된 착탈편(40)과;
    상기 회동체(22)와, 착탈편(40)의 컷팅부(46) 또는 브러시(52)를 감싸도록 본체(30)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제 1뚜껑(54) 및 제 2뚜껑(5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화장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 또는 착탈편(40)의 삽착부(42) 외형이 원통형일 경우, 상기 본체(30)에서 요입홈(26)이 형성된 단부에는 축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홈(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탈편(40)의 삽착부(42)에는 상기 걸림홈(28)에 대응하는 걸림돌기(4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화장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착탈편(40)의 삽착부(42)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서로 대응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화장도구.
KR2020000006796U 2000-03-10 2000-03-10 눈썹 화장도구 KR200194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796U KR200194879Y1 (ko) 2000-03-10 2000-03-10 눈썹 화장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796U KR200194879Y1 (ko) 2000-03-10 2000-03-10 눈썹 화장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879Y1 true KR200194879Y1 (ko) 2000-09-01

Family

ID=1964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796U KR200194879Y1 (ko) 2000-03-10 2000-03-10 눈썹 화장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8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3891A (zh) * 2019-01-14 2019-03-15 上海回初科技有限公司 一种眉剪及包含该眉剪的多功能化妆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3891A (zh) * 2019-01-14 2019-03-15 上海回初科技有限公司 一种眉剪及包含该眉剪的多功能化妆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0474A1 (en) Vibratory lash brush with forward/backward rotation control
EP1316271A3 (en) Dual ended hair remover
US10646021B2 (en) Refillable absorbent swab applicator pen
KR200398534Y1 (ko) 다기능 손톱 미용기
KR200473584Y1 (ko) 오일 분사 겸용 눈썹 미용칼
KR20040015116A (ko) 머리카락의 갈라진 끝을 제거해 모발을 스타일링하는요소들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모발손질기
US20160128447A1 (en) Cosmetic apparatus with pivotable implements
KR100895772B1 (ko) 보조미용기구가 구비된 이중 머리빗
KR20170077375A (ko) 화장펜 유닛
KR200194879Y1 (ko) 눈썹 화장도구
US20060123955A1 (en) Interchangeable tool heads
JP3196621U (ja) 化粧用ペンの芯材及びこれを備える化粧用ペン
US11213110B1 (en) Cosmetic applicator
KR200406846Y1 (ko) 미장용 머리카락 소제구
US3524253A (en) Self-powered grooming tool
CN210581482U (zh) 一种眉剪及包含该眉剪的多功能化妆笔
KR200430058Y1 (ko) 미용가위
US20050092338A1 (en) Cosmetic pencil
KR200481064Y1 (ko) 눈썹화장기구
KR102431810B1 (ko) 사각형상 화장심재의 사선깎음구조를 갖는 아이브로우 펜슬
JPH09131216A (ja) 化粧料容器の化粧具保持機構
KR200404380Y1 (ko) 미용가위
KR102195382B1 (ko) 화장용 면봉
KR200320535Y1 (ko) 헤어 롤 브러쉬
KR20100011573U (ko) 눈썹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