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382B1 - 화장용 면봉 - Google Patents

화장용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382B1
KR102195382B1 KR1020190045858A KR20190045858A KR102195382B1 KR 102195382 B1 KR102195382 B1 KR 102195382B1 KR 1020190045858 A KR1020190045858 A KR 1020190045858A KR 20190045858 A KR20190045858 A KR 20190045858A KR 102195382 B1 KR102195382 B1 KR 10219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stopper
cosmetic
cotton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756A (ko
Inventor
임현지
Original Assignee
임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지 filed Critical 임현지
Priority to KR102019004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3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3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containing soap or other cleaning ingredients, e.g. impregn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면봉의 솜부가 점착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부에 잔존하는 글리터 또는 펄 등의 화장품 성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화장용 면봉이 제공된다. 화장용 면봉은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팁 및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팁을 포함하고, 제1팁 및 제2팁 중 적어도 하나에 점착 성분이 포함된 솜부가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장용 면봉{Cotton swab for cosmetic}
본 발명은 화장용 면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리터(glitter) 또는 펄(pearl)이 함유된 화장품 성분의 원활한 제거를 위한 화장용 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그 목적이나 용도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질로 제작된다. 일례로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눈꺼풀 등에 색을 입혀 눈을 아름답게 하는 아이 섀도우(eye shadow), 또는 얼굴의 특정 부위에 발라 입체감을 발생시키는 하이라이터(highlighter), 볼 부분에 컬러를 주어 얼굴색을 건강하게 보이도록 하는 블러셔(blusher) 등과 같은 화장품은 고체의 분말이 압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화장품을 퍼프 또는 브러시 등과 같은 화장도구를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한 후, 피부의 청결유지 및 윤기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이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단순 세안만으로는 피부에 잔존하는 화장품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종래에는 별도의 클렌징 스킨 또는 리무버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잔존하는 화장품 성분을 제거하는 클렌징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화장품을 이용하여 단순히 피부에 색을 입히는 화장방법에 그치지 않고, 펄(pearl) 또는 글리터(glitter)를 화장품과 함께 피부에 도포하여 눈꺼풀이나 피부 등이 반짝이도록 함으로써 피부가 더욱 화사하게 보이도록 하는 화장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화장품을 생산하는 기업들도 펄 또는 글리터가 함유된 화장품들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펄 또는 글리터 등이 함유된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한 경우에, 종래의 단순 세안 및 클렌징 스킨 또는 리무버를 이용하여 피부에 잔존하는 화장품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펄 또는 글리터가 함유된 섀도우를 이용하여 눈 주위를 화장한 경우에, 종래의 클렌징 방법을 이용하여 화장품 성분을 제거하더라도 피부에 펄 또는 글리터가 여전히 잔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글리터나 펄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화장품 성분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화장용 면봉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면봉은, 원통 형태로 형성된 중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부착된 제1솜부로 이루어진 제1팁;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에 부착된 제2솜부로 이루어진 제2팁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팁의 제1솜부 및 제2팁의 제2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점착성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면봉은 상기 몸체와 상기 제1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1결합부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결합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양측단이 상기 몸체의 내면에 결합되는 하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의 높이가 상기 몸체의 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상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와 상기 상단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상단지지부와 상기 몸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상단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하단지지부 배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면봉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단부 내측이 다단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단이 상기 상단지지부의 상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면봉은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1스토퍼; 및 상기 몸체의 내면에 상기 제1스토퍼에 대응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팁이 상기 몸체에 삽입될 때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1팁이 고정되고, 상기 제1팁이 상기 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홈은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팁은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홈을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면봉은 상기 제2결합부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2스토퍼; 및 상기 몸체의 내면에 상기 제2스토퍼에 대응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팁이 상기 몸체에 삽입될 때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제2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2팁이 고정되고, 상기 제2팁이 상기 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제2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면봉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팁 부분의 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점착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피부에 잔존하는 글리터 또는 펄 등의 화장품 성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화장용 면봉은 몸체와 한 쌍의 팁 사이에 회전체를 배치하여 이들을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이에 결합된 팁이 회전되어 사용자의 면봉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장용 면봉은 몸체와 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팁 사이에 하나 이상의 스토퍼와 홈으로 이루어진 걸림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용 면봉을 사용할 때 한 쌍의 팁이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이 완료된 한 쌍의 팁을 교체하는 데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면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용 면봉이 분해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용 면봉을 Ⅲ~Ⅲ'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화장용 면봉을 Ⅴ~Ⅴ'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면봉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용 면봉이 분해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장용 면봉(100)은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면봉 팁(120, 130) 및 상기 한 쌍의 면봉 팁(120, 130) 중 적어도 하나와 몸체(110)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소정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원통 형태의 봉상 부재일 수 있다. 몸체(11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외의 재질, 예컨대 나무, 종이,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될 한 쌍의 면봉 팁(120, 130)이 몸체(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몸체(110)는 내부 전체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몸체(110)의 양측단에 인접되는 부분만이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면봉 팁(120, 130)은 몸체(110)의 양측단, 즉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삽입되거나 또는 양측단에서 분리될 수 있는 제1팁(120) 및 제2팁(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팁(120)은 제1결합부(123) 및 상기 제1결합부(123)의 일단에 부착된 제1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23)는 그 타단, 다시 말해 제1솜부(121)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어야 하며, 따라서 몸체(110)와 대비하여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솜부(121)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탈지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솜부(121)는 제1결합부(1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솜부(12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결합부(123)보다 큰 직경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팁(130)은 제2결합부(133) 및 상기 제2결합부(133)의 일단에 부착된 제2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33)는 제2솜부(131)가 부착되지 않은 타단이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며, 따라서 몸체(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솜부(131)는 탈지솜 등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제2결합부(13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제2솜부(131)는 타원형, 원형, 다각형 및 원통형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솜부(121) 및 제2솜부(131) 중 적어도 하나는 점착 성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제1솜부(121) 및 제2솜부(131) 중 점착 성분이 포함된 하나의 솜부를 피부에 접촉시켜 잔존하는 화장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점착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솜부를 피부에 접촉시켜 피부에 잔존하는 글리터 또는 펄 등의 화장품 성분을 점착시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점착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하나의 솜부를 이용하여 기존 면봉의 쓰임새에 따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용 면봉(100)은 제1팁(120) 및 제2팁(130) 중 제1팁(120)의 제1솜부(121)가 점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팁(120) 및 제2팁(130) 각각의 솜부가 모두 점착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체(140)는 몸체(110)의 일측과 제1팁(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체(140)는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140)는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와 접촉되어 제1결합부(123)가 몸체(110)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40)는 몸체(110)의 타측과 제2팁(130)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회전체(140)는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41)와 상기 고정부(14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회전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체(140)는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고정부(141) 및 회전부(145)는 몸체(110)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화장용 면봉을 Ⅲ~Ⅲ'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체(140)는 몸체(11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몸체(110)의 내면과 회전체(140)의 외면 사이에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140)는 고정부(141)와 회전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140)의 고정부(141)는 일체로 형성된 상단지지부(142), 하단지지부(144) 및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1)는 H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141)의 하단지지부(144) 양측단은 이에 대응되는 몸체(110)의 내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단지지부(144)의 양측단과 몸체(11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체결구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41)의 상단지지부(142)는 하단지지부(144)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단의 높이가 몸체(110)의 일측 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단지지부(142)의 양측단과 몸체(110)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143)는 상단지지부(142)의 배면과 하단지지부(144)의 상면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43)에 의해 상단지지부(142)와 하단지지부(144)가 소정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회전부(145)는 고정부(141)의 연결부(143)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145)는 상단지지부(142) 및 하단지지부(144)에 의해 그들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145)는 상단지지부(142)의 양측단에서 소정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몸체(110)와 상단지지부(14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제1결합부(123)는 그 내면에 회전부(145)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회전부(145)는 연결부(143)의 외주면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145)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제1결합부(123) 역시 회전부(14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45)는 제1결합부(123)의 내면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마찰력이 큰 재질, 예컨대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는 사용자의 화장용 면봉(100)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110)의 내부에서 고정되거나 또는 몸체(110)의 내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결합부(123)와 몸체(110)의 내면 사이에는 이들의 고정 및 분리를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123)의 외측면에는 제1결합부(123)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나 이상의 스토퍼, 예컨대 제1스토퍼(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123a)는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결합부(123)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 제1결합부(12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내면에는 제1결합부(123)의 제1스토퍼(123a)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0a)은 몸체(110)의 내면에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1스토퍼(123a)가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팁(120)은 회전체(14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1홈(110a)은 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결합부(123)의 제1스토퍼(123a)는 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홈(110a)을 따라 몸체(110)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 외측으로 하나 이상의 제1스토퍼(123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몸체(110)의 내면에 하나 이상의 제1홈(110a)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힘의 방향에 따라 제1팁(120)을 몸체(110)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제1팁(120)을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가 몸체(11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될 때, 제1결합부(123)의 제1스토퍼(123a)는 일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 제1스토퍼(123a)는 몸체(110) 내부의 제1홈(110a)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원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제1홈(110a)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가 몸체(110) 내부에서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용 면봉(100)을 사용할 때 제1팁(120)이 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가 몸체(110)의 외부로 분리될 때, 제1결합부(123)의 제1스토퍼(123a)는 타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몸체(110)의 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어, 제1스토퍼(123a)는 몸체(110)의 외부에서 원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이 완료된 화장용 면봉(100)의 제1팁(120)을 교체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화장용 면봉(100)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대비하여 회전체(140)의 구조가 달라지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동일 기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회전체(140)는 몸체(11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몸체(110)의 내면과 회전체(140)의 외면 사이에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140)는 고정부(141)와 회전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140)의 고정부(141)는 H자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상단지지부(142), 하단지지부(144) 및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지지부(144) 양측단은 이에 대응되는 몸체(110)의 내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단지지부(142)는 하단지지부(144)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되, 그 상단의 높이가 몸체(110)의 일측 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143)는 상단지지부(142)와 하단지지부(14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회전체(140)의 회전부(145)는 고정부(141)의 연결부(143)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고, 상단지지부(142) 및 하단지지부(144)에 의해 그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45)의 상단부 내측은 계단형의 다단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부(145)의 상단부는 상단지지부(142)의 상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부(145)는 연결부(143)의 외주면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로 인해 회전부(145)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제1결합부(123) 역시 회전부(14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45)는 제1결합부(123)의 내면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마찰력이 큰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고정부(141)의 하단지지부(144)의 양측단과 몸체(11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체결구조(미도시)가 형성되어 고정부(141)가 몸체(1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팁(120)의 제1결합부(123) 외측으로 하나 이상의 제1스토퍼(123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몸체(110)의 내면에 하나 이상의 제1홈(110a)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힘의 방향에 따라 제1팁(120)을 몸체(110)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제1팁(120)을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홈(110a)은 제1팁(120)의 회전을 위해 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용 면봉(10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솜부, 즉 제1팁(120)의 제1솜부(121)와 제2팁(130)의 제2솜부(131) 중 적어도 하나가 점착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피부에 잔존하는 글리터 또는 펄 등의 화장품 성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용 면봉(100)은 몸체(110)와 제1팁(120) 또는 몸체(110)와 제2팁(130) 사이에 회전체(140)를 배치함으로써, 회전체(140)에 결합되는 제1팁(120) 또는 제2팁(130)이 몸체(110)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면봉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용 면봉(100)은 제1팁(120)과 몸체(110) 사이에 걸림 구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제1스토퍼(123a)와 제1홈(110a)을 각각 형성하고, 제1스토퍼(123a)와 제1홈(110a)이 체결되어 제1팁(120)을 몸체(110)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제1스토퍼(123a)와 제1홈(110a)이 분리되어 제1팁(120)을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화장용 면봉(100)을 사용할 때 제1팁(120)이 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이 완료된 화장용 면봉(100)의 제1팁(120)의 교체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화장용 면봉을 Ⅴ~Ⅴ'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팁(130)은 몸체(110)의 타측에서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제2결합부(133) 및 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솜부(131)는 일반적인 탈지솜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된 제1솜부(121)와 동일하게 점착성 성분이 포함된 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결합부(133)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 내의 삽입을 위하여 몸체(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133)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스토퍼(13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스토퍼(133a)는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133)가 플라스틱 증의 합성수지 재질인 경우에 제2결합부(13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스토퍼(133a)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2결합부(133)의 외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133)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몸체(110)의 타측 내면에는 제2스토퍼(133a)가 대응되어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홈(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팁(130)이 일방향 회전되는 것이 아니므로, 몸체(110)의 제2홈(110b)은 제2팁(130)의 제2스토퍼(133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팁(130)의 제2결합부(133)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2스토퍼(133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몸체(110) 내면에 하나 이상의 제2홈(110b)을 형성함으로써, 제2팁(130)이 몸체(110)에 삽입되었을 때 제2스토퍼(133a)와 제2홈(110b)의 체결로 인해 제2팁(130)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화장용 면봉(100) 사용에 있어 제2팁(130)이 몸체(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스토퍼(133a)는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제2팁(130)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 예컨대 제2팁(130)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제2스토퍼(133a)가 소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팁(130)을 몸체(110)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제2결합부(133)의 제2스토퍼(133a)가 몸체(110)의 내면에서 일 방향으로 휘어져 삽입되고, 몸체(110)의 제2홈(110b)에 대응되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팁(130)을 몸체(110)에서 분리하는 경우, 제2결합부(133)의 제2스토퍼(133a)가 몸체(110)의 내면에서 타 방향으로 휘어져 분리되고, 몸체(110)의 외부에서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팁(130)을 몸체(110) 내부에 삽입하여 제2스토퍼(133a)와 제2홈(110b)의 체결로 인해 제2팁(130)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화장용 면봉(100)의 사용 시 제2팁(130)이 몸체(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팁(130)을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이 완료된 제2팁(1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용 면봉(10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제1팁(120)의 제1솜부(121)와 제2팁(130)의 제2솜부(131) 중 적어도 하나가 점착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피부에 잔존하는 글리터 또는 펄 등의 화장품 성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화장용 면봉(100)은 몸체(110)와 제1팁(120) 또는 몸체(110)와 제2팁(130) 사이에 회전체(140)를 배치함으로써, 회전체(140)에 결합되는 제1팁(120) 또는 제2팁(130)이 몸체(110)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면봉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장용 면봉(100)은 제1팁(120)과 몸체(110) 사이 및 제2팁(130)과 몸체(110) 사이 각각에 하나 이상의 스토퍼와 홈을 각각 형성하여 걸림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용 면봉(100)을 사용할 때 제1팁(120) 및 제2팁(130)이 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이 완료된 제1팁(120) 및 제2팁(130)의 교체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100: 화장용 면봉 110: 몸체
110a: 제1홈 110b: 제2홈
120: 제1팁 121: 제1솜부
123: 제1결합부 123a: 제1스토퍼
130: 제2팁 131: 제2솜부
133: 제2결합부 133a: 제2스토퍼
140: 회전체 141: 고정부
142: 상단지지부 143: 연결부
144: 하단지지부 145: 회전부

Claims (8)

  1. 원통 형태로 형성된 중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부착된 제1솜부로 이루어진 제1팁;
    상기 몸체의 타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에 부착된 제2솜부로 이루어진 제2팁;및
    상기 몸체와 상기 제1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1결합부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결합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솜부 및 상기 제2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점착성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면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측단이 상기 몸체의 내면에 결합되는 하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의 높이가 상기 몸체의 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상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와 상기 상단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상단지지부와 상기 몸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면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상단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하단지지부 배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면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상단부 내측이 다단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단이 상기 상단지지부의 상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면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1스토퍼; 및
    상기 몸체의 내면에 상기 제1스토퍼에 대응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팁이 상기 몸체에 삽입될 때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1팁이 고정되고, 상기 제1팁이 상기 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면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팁은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홈을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면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2스토퍼; 및
    상기 몸체의 내면에 상기 제2스토퍼에 대응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팁이 상기 몸체에 삽입될 때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제2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2팁이 고정되고, 상기 제2팁이 상기 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제2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면봉.
KR1020190045858A 2019-04-19 2019-04-19 화장용 면봉 KR10219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858A KR102195382B1 (ko) 2019-04-19 2019-04-19 화장용 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858A KR102195382B1 (ko) 2019-04-19 2019-04-19 화장용 면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756A KR20200122756A (ko) 2020-10-28
KR102195382B1 true KR102195382B1 (ko) 2020-12-24

Family

ID=7301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858A KR102195382B1 (ko) 2019-04-19 2019-04-19 화장용 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3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172B2 (ja) * 1991-03-29 2000-09-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前置補償器および前置補償方法
JP2005168711A (ja) * 2003-12-10 2005-06-30 Sanritsu Kk 綿棒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172U (ja) * 2001-07-05 2002-01-18 滝澤 貞好 耳かき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172B2 (ja) * 1991-03-29 2000-09-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前置補償器および前置補償方法
JP2005168711A (ja) * 2003-12-10 2005-06-30 Sanritsu Kk 綿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756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553B1 (ko) 메이크업용 브러시를 포함한 기구, 제조방법 및 어플리케이터
JP5657231B2 (ja) 組成物を毛髪又は爪に塗布するための器具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USRE38755E1 (en) Progressive brush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CA2760849C (en) Compressible cosmetic applicator
RU2474376C2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средств по уходу за губами
KR20200022530A (ko)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JP2000023737A (ja) 唇及び瞼のメ―キャップ器具及びアプリケ―タ
AU2017278128B2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FR2470556A1 (fr) Applicateur de fard pour cils
US10390597B2 (en)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KR102195382B1 (ko) 화장용 면봉
JP2015126822A (ja) 液状化粧料塗布具
JP3196621U (ja) 化粧用ペンの芯材及びこれを備える化粧用ペン
US20140096787A1 (en) Mascara
KR200459836Y1 (ko) 미세 화장용 보조팁이 수납되게 한 브러시
JP2005334094A (ja) 化粧料塗布具および化粧料塗布セット
KR101204516B1 (ko) 매니큐어
US10143289B2 (en) Eyeliner pencil
KR20160048470A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마스카라 브러쉬
JP7355597B2 (ja) 塗布体、塗布体を備える化粧品用塗布具、および、それを備える化粧品用容器
KR200230117Y1 (ko) 색조화장용 퍼프
JP3202663U (ja) 化粧料塗布具
KR200493210Y1 (ko) 마스카라 용기의 스키니 브러시 조립구조
JP7148104B1 (ja) 化粧料塗布具
JPS6038415Y2 (ja) 化粧補助品付き棒状化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