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763Y1 -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 Google Patents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763Y1
KR200194763Y1 KR2020000009258U KR20000009258U KR200194763Y1 KR 200194763 Y1 KR200194763 Y1 KR 200194763Y1 KR 2020000009258 U KR2020000009258 U KR 2020000009258U KR 20000009258 U KR20000009258 U KR 20000009258U KR 200194763 Y1 KR200194763 Y1 KR 200194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eadphone
user
sup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백씨케이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백씨케이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백씨케이텔레콤
Priority to KR2020000009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폰의 우측단에 설치된 마이크의 지지체가 탄성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의 지지체는 소정의 길이로 조절이 가능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두상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마이크를 사용하고, 상기 지지체가 탄성재로 되어 있어 상기 헤드폰을 사용하지 않을시 절첩이 가능하여 보관이 편리하며,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마이크를 통한 정확한 음성 전달이 가능함으로 인해 전체적인 헤드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효율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A VARIABLE STRUCTURE OF MIKE FOR HEADPHONE}
본 고안은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의 지지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헤드폰의 우측단에 설치된 마이크의 지지체가 탄성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의 지지체는 소정의 길이로 조절이 가능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두상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마이크를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체가 탄성재로 되어 있어 상기 헤드폰을 사용하지 않을시 절첩이 가능하여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며,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마이크를 통한 정확한 음성 전달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인해 전체적인 헤드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를 통해 상대방과 송수신하기 위한 유, 무선전화기의 대부분은 손에 쥐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가 통화중에 두 손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예를 들어, 통화 중에 책을 찾는 경우, 컴퓨터의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주방에서 음식 및 설겆이를 하는 경우 등에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갖는 것이다.
상기의 불편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화용 헤드세트가 안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전화용 헤드세트를 이용하여 전화를 통화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따라 마이크의 길이가 고정되거나 일정하여 상기 사용자중 두상이 큰 사용자는 마이크를 통해 원하는 음성을 정확히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세트에 형성된 마이크는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상기 헤드세트를 사용하지 않을시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로 인해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일반적인 전화기나 헤드세트는 활동적인 일반 사용자나 전화 교환실의 사용자에게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초래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효율성이 저하되어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가 극소화되는 문제들이 항상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헤드폰의 우측단에 설치된 마이크의 지지체가 탄성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의 지지체는 소정의 길이로 조절이 가능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두상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마이크를 사용하고, 상기 지지체가 탄성재로 되어 있어 상기 헤드폰을 사용하지 않을시 절첩이 가능하여 보관이 편리하며,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마이크를 통한 정확한 음성 전달이 가능함으로 인해 전체적인 헤드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효율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헤드폰의 설치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마이크 지지체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 실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본체 2a,2b : 수신부
3 : 연결선 4 : 마이크
5 : 지지체 10 : 헤드폰
51 : 제1부재 52 : 제2부재
53 : 제3부재 51a,52a,52b,53a : 테이퍼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헤드폰의 설치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마이크 지지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 실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일측이 터진 반원구 형상의 헤드본체(1)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본체(1)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수신부(2a) ,(2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신부(2b)에는 각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연결선 (3)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2b)의 외측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헤드폰(10)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10)의 마이크(4)가 상기 수신부(2b)의 외측부에 설치 연결된 지지체(5)의 제3부재(53) 후단에 장착되되, 상기 지지체(5)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다단 삽탈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다른 제1부재(51), 제2부재(52) 및 제3부재(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51)의 일측은 상기 수신부(2b)의 외측부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2부재(52)의 후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2a)는 상기 제1부재(51)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1a)에 압지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3부재(53)의 후단에 형성된 테이퍼부 (53a)는 상기 제2부재(52)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2b)에 압지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4a는 상기 마이크(4)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선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에 적용되는 상기 마이크(4)를 장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5)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선 및 유선전화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나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를 실시하기 위해 상기 헤드폰(10)의 헤드본체(1)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인 두상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양측에 있는 귀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본체(1)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수신부(2a),(2b)가 각각 위치되게 하고, 상기 수신부(2b)의 일측에는 각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선(3)을 상기 전화기나 컴퓨터의 잭에 연결시킴으로 인해 송,수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통화하기 위한 상대방에게 음성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상기 마이크(4)를 통해 이루게 되는데, 이 마이크(4)는 상기 수신부(2b)의 외측부에 설치 연결된 지지체(5)의 제3부재(53) 후단에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지지체(5)는 크기가 다른 제1부재(51), 제2부재(52) 및 제3부재(53)로 이루어져 있어 단계적으로 삽탈이 가능하고, 상기 부재(51,52,53)들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 변형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체(5)의 제1부재(51) 내부로 상기 제2부재(52)가 삽입되고, 상기 제2부재(52) 내부로 상기 제3부재(53)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작용의 역으로, 상기 제3부재(53)가 상기 제2부재(52)의 내부에서 돌출되면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3부재(53)의 테이퍼부(53a)가 상기 제2부재(52)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2b)에 압지되고, 상기 제2부재(52)가 상기 제1부재(51)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부재(52)의 테이퍼부(52a)가 상기 제1부재(51)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1a)에 압지됨으로 인해 상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체(5)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상기 마이크(4)를 최대한 사용자의 입에 맞닿도록 이룰 수 있어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정확히 송신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지지체(5)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이크(4)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가 있는 것이고,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의 누구나 편리하게 정확한 음성신호를 송신할 수가 있는 것이며, 상기 헤드폰(10)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지지체(5)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하거나 휘게하여 돌출을 줄여 줌으로 보관 및 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폰의 우측단에 설치된 마이크의 지지체가 탄성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의 지지체는 소정의 길이로 조절이 가능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두상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마이크를 사용하는 효과와, 상기 지지체가 탄성재로 되어 있어 상기 헤드폰을 사용하지 않을시 절첩이 가능하여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마이크를 통한 정확한 음성 전달이 가능한 효과로 인해 전체적인 헤드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효율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일측이 터진 반원구 형상의 헤드본체(1)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본체(1)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수신부(2a),(2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신부(2b)에는 각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연결선(3)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2b)의 외측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헤드폰(10)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10)의 마이크(4)가 상기 수신부(2b)의 외측부에 설치 연결된 지지체(5)의 제3부재(53) 후단에 장착되되, 상기 지지체(5)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다단 삽탈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다른 제1부재(51), 제2부재(52) 및 제3부재(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5)의 제1부재(51) 일측은 상기 수신부(2b)의 외측부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2부재(52)의 후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2a)는 상기 제1부재 (51)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1a)에 압지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3부재(53)의 후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3a)는 상기 제2부재(52)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부(52b)에 압지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KR2020000009258U 2000-03-31 2000-03-31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KR200194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258U KR200194763Y1 (ko) 2000-03-31 2000-03-31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258U KR200194763Y1 (ko) 2000-03-31 2000-03-31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763Y1 true KR200194763Y1 (ko) 2000-09-01

Family

ID=1964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258U KR200194763Y1 (ko) 2000-03-31 2000-03-31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7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051A (ko) * 2001-11-20 200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KR101026490B1 (ko) * 2009-04-17 2011-04-01 주식회사 메카시스 소음 청취가 가능한 마이크 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051A (ko) * 2001-11-20 200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KR101026490B1 (ko) * 2009-04-17 2011-04-01 주식회사 메카시스 소음 청취가 가능한 마이크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0684A (en)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for use in telecommunications
US20020173346A1 (en) Neck Phone
US20040008855A1 (en) Ear clasp headset
US20060126882A1 (en) Earphone
AU782543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US20090143096A1 (en) Wireless earphone structure
US20160173970A1 (en) Wireless Phone Accessory
US8073180B2 (en) Headset for a functional device
CA2358164A1 (en) Telephone handset for mixed-mode voice-and-tdd communication
US20030048916A1 (en) Earphone transfer coupling apparatus
US7302074B2 (en) Receiver
KR200194763Y1 (ko) 헤드폰의 마이크 가변구조
KR200341662Y1 (ko)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헤드셋
KR200194909Y1 (ko) 다기능 이어마이크폰
US20020071586A1 (en) Structure of earphone
GB2347042A (en) Earphone - microphone set with ear mounting hook
CN215773522U (zh) 一种带有主动降噪机构的蓝牙耳机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US20040162119A1 (en) Wireless earset phone
KR200218654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KR200305251Y1 (ko)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KR200315112Y1 (ko) 복합 무선 이어 마이크
KR200384767Y1 (ko)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KR200221529Y1 (ko) 커플용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KR200304602Y1 (ko) 이어마이크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