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767Y1 -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767Y1
KR200384767Y1 KR20-2005-0006285U KR20050006285U KR200384767Y1 KR 200384767 Y1 KR200384767 Y1 KR 200384767Y1 KR 20050006285 U KR20050006285 U KR 20050006285U KR 200384767 Y1 KR200384767 Y1 KR 200384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wire
user
heads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대
Original Assignee
김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대 filed Critical 김주대
Priority to KR20-2005-0006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7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스피커 유니트는 제외하고 마이크 유니트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여행 가이드와 같이 마이크 유니트만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적합하며,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 유니트가 탈부착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가 있어서 사용자가 보관 및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마이크 거치대가 사용자의 머리의 관자놀이 부분을 가볍게 눌러주어 지압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마이크 거치대의 인체 접촉부분을 참숯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대가 양단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걸 수 있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는 헤드 플레이트와, 앰프와 연결되는 잭이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앰프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와이어와, 상기한 전선 와이어의 다른 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유니트와, 상기한 전선 와이어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마이크 거치홈에 탈부착되는 거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Microphone headset}
이 고안은 헤드셋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스피커 유니트(speaker unit)는 제외하고 마이크 유니트(microphone unit)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여행 가이드와 같이 마이크 유니트만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적합하며,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 유니트가 탈부착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가 있어서 사용자가 보관 및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마이크 거치대가 사용자의 머리의 관자놀이 부분을 가볍게 눌러주어 지압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마이크 거치대의 인체 접촉부분을 참숯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들으면서 마이크를 이용하여 자신의 음성을 전송함으로써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함에 있어서, 통상적인 송수화기를 이용하기 보다는 헤드폰과 마이크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헤드셋이, 전화교환원을 시작으로 하여 인터넷폰을 사용하고 있는 일반인에게도 점차적으로 그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은, 머리에 착용하기 적합한 형태가 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헤드 플레이트(head plate)와, 상기한 헤드 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장착되는 스피커 유닛과, 상기한 헤드 플레이트의 일측 종단에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소정의 형태로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 플레이트(flexible plate)와, 상기한 플렉시블 플레이트의 종단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 유닛과, 상기한 스피커 유닛과 마이크 유닛에 한쪽 끝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잭(jack)이 연결되어 있는 전선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헤드셋은, 사용자가 머리 또는 목에 헤드 플레이트를 착용한 뒤 상기한 헤드 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커 유닛이 귀에 위치되도록 조정한 후, 상기한 헤드 플레이트의 일측단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플렉시블 플레이트를 구부려 마이크 유닛이 자기의 입 근처에 위치되도록 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한 스피커 유닛은 귀에 밀착시키고 상기한 마이크 유닛은 입 근처에 위치되도록 조절한 후, 음성을 듣고 말하는 것에 있어서 손이 필요치 않도록 함으로써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헤드셋은, 스피커 유니트와 마이크 유니트가 모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행 가이드와 같이 마이크 유니트만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헤드셋은, 스피커 유니트와 마이크 유니트가 모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헤드셋은, 마이크 유니트가 탈부착이 되지 않기 때문에 형태의 특성상 부피를 줄이기가 어려워서 사용자가 보관 및 휴대를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피커 유니트는 제외하고 마이크 유니트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여행 가이드와 같이 마이크 유니트만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적합한,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 유니트는 제외하고 마이크 유니트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있다.
이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마이크 유니트가 탈부착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가 있어서 사용자가 보관 및 휴대를 하기에 매우 편리한,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헤드셋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대가 사용자의 머리의 관자놀이 부분을 가볍게 눌러주어 지압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헤드셋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대의 인체 접촉부분을 참숯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마이크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대가 양단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걸 수 있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는 헤드 플레이트와, 앰프와 연결되는 잭이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앰프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와이어와, 상기한 전선 와이어의 다른 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유니트와, 상기한 전선 와이어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마이크 거치홈에 탈부착되는 거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안의 구성은, 상기한 마이크 거치대의 인체 접촉부분에는 참숯 부직포를 부가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의 결합전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의 결합후 사시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헤드셋의 마이크 거치대의 세부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의 구성은, 마이크 거치홈(12)이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대(11)가 양단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걸 수 있도록 굴곡형성되어 있는 헤드 플레이트(1)와, 앰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잭(3)이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앰프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와이어(2)와, 상기한 전선 와이어(2)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유니트(4)와, 상기한 전선 와이어(2)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마이크 거치홈(12)에 탈부착되는 거치 플레이트(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마이크 거치대(11)의 인체 접촉부분에는 참숯 부직포(13)를 부가하여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마이크 헤드셋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헤드 플레이트(1)의 양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대(11)중에서 사용자 임의로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선택된 마이크 거치대(11)에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홈(12)에 거치 플레이트(5)를 삽입하여 부착 결합함으로써 마이크 헤드셋을 조립한다.
마이크 헤드셋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사용자는 헤드 플레이트(1)를 머리 또는 목에 착용한 후에, 마이크 유니트(4)가 입의 주위에 위치되도록 조절을 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마이크 유니트(4)의 반대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잭(3)을 앰프(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마이크 헤드셋의 사용준비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사용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말을 하기 시작하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 유니트(4)에 의해서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전기적인 음성신호는 전선 와이어(2)와 잭(3)을 통해서 앰프(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된다.
앰프(도시되지 않음)는 마이크 유니트(4)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다시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이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잘 들릴 수 있도록 하여 마이크로서의 기능 및 역할을 당당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헤드셋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대(11)는 사용자의 머리의 관자놀이 부분을 가볍게 눌러주어 지압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마이크 거치대(11)의 인체 접촉부분에는 참숯 부직포(13)를 부가하여 주변의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 헤드셋의 사용이 끝나고 나면, 사용자는 잭(3)을 앰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분리한 뒤에, 헤드 플레이트(1)의 마이크 거치대(11)에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홈(12)으로부터 거치 플레이트(5)를 탈착함으로써 마이크 헤드셋의 조립상태를 분해시킨다. 이와 같이 마이크 헤드셋의 조립상태가 분해되면, 상대적으로 부피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스피커 유니트는 제외하고 마이크 유니트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여행 가이드와 같이 마이크 유니트만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적합하며,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 유니트가 탈부착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가 있어서 사용자가 보관 및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마이크 거치대가 사용자의 머리의 관자놀이 부분을 가볍게 눌러주어 지압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마이크 거치대의 인체 접촉부분을 참숯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헤드셋의 결합전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헤드셋의 결합후 사시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헤드셋의 마이크 거치대의 세부 사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헤드 플레이트 2 : 전선 와이어
3 : 잭 4 : 마이크 유니트
5 : 거치 플레이트

Claims (2)

  1. 마이크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 거치대가 양단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에 걸 수 있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는 헤드 플레이트와,
    앰프와 연결되는 잭이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앰프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와이어와,
    상기한 전선 와이어의 다른 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유니트와,
    상기한 전선 와이어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마이크 거치홈에 탈부착되는 거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마이크 헤드셋.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크 거치대의 인체 접촉부분에는 참숯 부직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KR20-2005-0006285U 2005-03-09 2005-03-09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KR200384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85U KR200384767Y1 (ko) 2005-03-09 2005-03-09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85U KR200384767Y1 (ko) 2005-03-09 2005-03-09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767Y1 true KR200384767Y1 (ko) 2005-05-17

Family

ID=4368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285U KR200384767Y1 (ko) 2005-03-09 2005-03-09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7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540B1 (ko) 2020-11-23 2022-05-26 (주)마키나 붐-마이크용 탈-부착 슬라이드 소켓 및 이를 이용한 출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540B1 (ko) 2020-11-23 2022-05-26 (주)마키나 붐-마이크용 탈-부착 슬라이드 소켓 및 이를 이용한 출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2849B2 (ja) 骨伝導スピーカー付モバイル通信装置
JP4239404B2 (ja) ヘッドホン装置
EP1130881A1 (en) Headset with ear attachment system
JP2002164986A (ja) 難聴者用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
RU2709433C2 (ru) Головная гарнитура с парой устройств прослушивания и упругий шнур, проходящий за головой
WO2000072628A1 (fr) Emetteur-recepteur comportant un haut-parleur a conduction osseuse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KR200384767Y1 (ko)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JP4135042B2 (ja) ヘッドホン
CN214799830U (zh) 一种挂耳式骨传导耳机
CN202035121U (zh) 一种耳麦内置式耳机
KR200415723Y1 (ko) 귀걸림부를 갖는 핸즈프리 셋
FI121908B (fi) Laite matkapuhelimen käytön helpottamiseksi kuulovammaisille
KR20060114804A (ko) 조립식 헤드셋
CN219761256U (zh) 一种耳机
KR200208097Y1 (ko) 머리띠 겸용 헤드셋
KR20050096301A (ko) 무선 이어셋
CN214960055U (zh) 一种便于穿戴的客服耳麦组合结构
CN208258026U (zh) 蓝牙耳机音频接收装置
CN214256571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10536863U (zh) 一种客服电话沟通用智能通话设备
RU95201U1 (ru) Гарнитура для сотового телефона
GB2439765A (en) Passive telephone privacy device
KR100882020B1 (ko) 견착식 헤드셋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