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366Y1 -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마이크 커버 - Google Patents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마이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366Y1
KR200194366Y1 KR2020000009021U KR20000009021U KR200194366Y1 KR 200194366 Y1 KR200194366 Y1 KR 200194366Y1 KR 2020000009021 U KR2020000009021 U KR 2020000009021U KR 20000009021 U KR20000009021 U KR 20000009021U KR 200194366 Y1 KR200194366 Y1 KR 200194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knitted
cam
microphon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근
Original Assignee
정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근 filed Critical 정순근
Priority to KR2020000009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5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갑을 편직하는 편직기의 드럼 샤프트와 컨트롤트럼의 구조를 개량하여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물품에 관한 것으로, 우수
(1)로부터 공급되는 제사가 먹여질수 있도록 제사바늘의 후단부(40)를 제어하는 드럼샤프트(30)의 조정핀(33) 장착구조를 개량하고, 컴퓨터(2)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여서 와이어 레바(2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우수(1)로부터 공급되는 제사가 드럼 샤프트(30)에 의해 제어되어지는 제사바늘에 선택적으로 먹여지게 하는 컨트럴드럼(10)의 편직변환돌출캠(11)을 개량한 것에 의해 편직기에 의해 마이크 커버가 편직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편직된 마이크 커버의 조직이 치밀하여 세탁후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져 재활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색상을 다양한 형태로 배색이 용이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는 마이크 커버의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마이크 커버{glove weaving machine for weaving cover of microphone and cover of microphone}
본 고안은 장갑을 편직하는 편직기의 드럼 샤프트와 컨트롤트럼의 구조를 개량하여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편직기에 의해 편직되어지는 장갑은 새끼손가락이 위치하는 끝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손의 삽입부위치까지 다시 말하면, 첨부도면 도6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A-1)부위에서 부터 (A-7)까지 순차적으로 편직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편직되어지는 장갑은 드럼 샤프트(30)와 컨트롤드럼(1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드럼 샤프트(30)는 원통형으로 조정핀(33)들이 장착되어지는 요홈(32)이 돌기(31)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32)에 편직하고자하는 제품에 따라 조정핀을 장착하게 되는 것으로 장갑을 편직할 경우, 도2,도4에서와 같이 드럼 샤프트(30)에 조정핀(33)을 삼각형태로 연속반복되게 배열 장착하여 제사바늘의 후단부(40)가 조정핀(33)에 의해 제어되어서 원하는 제품을 편직하게 되는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손가락 장갑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조정핀(33)의 장착갯수를 달리하고, 손가락의 폭에 맞는 길이를 가지는 조정핀(33)을 장착하여서 드럼 샤프트(30)의 1회전으로 장갑의 편직이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샤프트(30)의 편직 작동이 다음 단계 즉, 다른 손가락을 편직할 수 있도록 옮겨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컨트롤드럼(1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컨트롤드럼(10)은 제어부(컴퓨터)(2)에 미리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회전구동되어지고, 우수(1)로부터 공급되는 제사를 제사바늘에 선택적으로 먹여질 수 있게 우수(1)을 동작시켜 제사의 공급라인을 변환시킴과 동시에 편직부위를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질 수 있게 하는 와이어 레바(20)를 동작시키는 편직변환돌출캠(11)이 우측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편직변환돌출캠(11)에서 좌측으로 가면서 각각의 손가락을 편직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편직돌출캠(13)들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손가락편직돌출캠(13)들은, 드럼샤프트(30)에 장착된 조정핀(33)에 제사바늘의 후단부(40)가 위치하여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컨트롤드럼(10)에 설치되는 돌출캠중 우측으로 위치하는 편직변환돌출캠(11)은 제사바늘(40)에 공급되는 제사의 공급라인을 변환시킴과 동시에 편직부위를 전환시키는 것으로, 손가락장갑 편직에 접합하도록 서로다른 길이를 가지는 돌출캠들은 동일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어지는 장갑 편직기를 개량하여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마이크 커버는, 부직포를 주머니 형상으로 재단하여 가장자리에 신축밴드를 봉재하여서된 것이다.
상기한 부직포를 이용한 마이크 커버는 세탁이 불가능하여 재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염색이 불가능하여서 다양한 칼라를 가지는 커버를 제작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재활용이 불가능함에 따라 많은량의 커버를 구입 사용할 수 밖에 없어 경제적인 부담을 야기시키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사를 이용한 마이크 커버가 있으나, 이는 수공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편직상태가 느슨하여 세탁시 원래의 형태로 보존되어지지 못하고 변형이 발생하여 세탁 사용에 곤란성이 있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다량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노동력에 따른 제품의 제작원가가 상승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손떼가 묻는등 위생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장갑 편직기의 구조를 개량하여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도록 개량한 본 고안은, 우수로부터 공급되는 제사가 먹여질수 있도록 제사바늘의 후단부를 제어하는 드럼샤프트의 조정핀 장착구조를 개량하고, 컴퓨터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여서 와이어 레바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우수로 공급되는 제사가 드럼 샤프트에 의해 제어되어지는 제사바늘에 선택적으로 먹여지게 하는 컨트럴드럼의 편직변환돌출캠을 개량한 것으로 첫째, 편직기에 의해 마이크 커버가 편직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둘째, 편직된 마이크 커버의 조직이 치밀하여 세탁후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져 재활용이 가능하며; 셋째, 다양한 색상을 다양한 형태로 배색이 용이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는 마이크 커버의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의 구조및 마이크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어부(컴퓨터)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컨트럴드럼의 편직변환돌출캠에 의해 컨트롤되어지는 와이어레바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지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동작되어지는 우수에 의해 드럼 샤프트에 장착된 조정핀에서 후단부가 제어되는 제사바늘에 제사가 먹여져 손가락 A-1∼ 손이 삽입되는A-7순으로 장갑이 편직되는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레바를 작동시키는 편직변환돌출캠이 우측으로 설치되어 있되, 편직변환돌출캠은, 일정구간 단락되어서 외주면를 따라 링형상과 같이 형성되어서 마이크커버의 B-1구간을 편직하는 B-1편직돌출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B-1편직돌출캠의 일단에 고무사를 편직할 수 있는 고무사편직돌출캠이 B-1편직돌출캠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서 형성됨과 동시에 고무사 편직 공정 이전에 편직되어지는 B-2구간을 편직하는 B-2편직돌출캠이 고무사편직돌출캠에 의해서 이루워져 있으며, B-1편직돌출캠과 고무사편직돌출캠
에 의해 형성된 B-2편직돌출캠의 사이에는 색상띠무늬를 편직할 수 있게 와이어레바의 작동을 컨트롤되는 색상편직돌출캠이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 드럼과; 상기 컨트롤 드럼의 회전구동에 대하여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며 회전하고, 표면에 길이방향과 원주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하여진 돌기들에 의해 형성된 요홈에 제사바늘의 후단부를 제어하는 조정핀이 장착되어 있되, 서로다른 길이를 가지는 조정핀들이 순차적으로 장착되어서 삼각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삼각형태로 장착되어진 조정핀이 중심선을 기점으로 대향되게 장착되어 있는 드럼 샤프트 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편직기에 의해 편직되는 마이크 커버는 전체적인 형상이 마이크의 형상을 이루되, 마이크에 씌울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는 마이크에 씌워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무사가 편직되어 있으며, 소정 위치에 색상띠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장갑 편직기의 정면도.
도2는 장갑 편직기에 드럼 샤프트가 어세이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3은 장갑 편직기에 컨트롤롤드럼이 어세이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4는 종래 드럼 샤프트를 발췌한 사시 예시도.
도5는 종래 컨트롤 드럼을 발췌한 예시도.
도6은 장갑 편직기에 의해 장갑이 편직되어지는 편직 순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품인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도록 개량된 드럼 샤프트의 구조도.
도8은 본 고안의 제품인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도록 개량된 컨트롤 드럼의 구조도.
도9는 본 고안의 장갑편직기에 의해 편직된 마이크 커버의 구성도.
도10은 본고안의 마이크 커버를 마이크에 장착한 상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 : 우수 2 : 제어부(컴퓨터)
10 : 컨트롤 드럼 11 : 편직돌출캠
11a : B-1편직돌출캠 11b : 고무사편직돌출캠
11c : B-2편직돌출캠 11d : 색상편직캠
20 : 와이어 레바 30 : 드럼 샤프트
31 : 돌기 32 : 요홈
33 : 조절핀 40 : 제사바늘 후단부
50 : 마이크 커버 51 : 개구부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은, 제어부(컴퓨터)(2)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컨트럴드럼(10)의 편직변환돌출캠(11)에 의해 컨트롤되어지는 와이어레바
(20)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지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동작되어지는 우수(1)에 의해 드럼 샤프트(30)에 장착된 조정핀(33)에서 후단부(40)가 제어되는 제사바늘에 제사가 먹여져 손가락 A-1∼ 손이 삽입되는A-7순으로 장갑이 편직되는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레바(20)를 작동시키는 편직변환돌출캠(11)이 우측으로 설치되어 있되, 편직변환돌출캠(11)은, 일정구간 단락되어서 외주면를 따라 링형상과 같이 형성되어서 마이크커버(50)의 B-1구간을 편직하는 B-1편직돌출캠(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B-1편직돌출캠(11a)의 일단에 고무사를 편직할 수 있는 고무사편직돌출캠(11b)이 B-1편직돌출캠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서 형성됨과 동시에 고무사 편직 공정 이전에 편직되어지는 B-2구간을 편직하는 B-2편직돌출캠(11c)이 고무사편직돌출캠(11b)에 의해서 이루워져 있으며, B-1편직돌출캠(11a)과 고무사편직돌출캠
(11b)에 의해 형성된 B-2편직돌출캠(11c)의 사이에는 색상띠무늬를 편직할 수 있게 와이어레바(20)의 작동을 컨트롤되는 색상편직돌출캠(11d)이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 드럼(10)과;
상기 컨트롤 드럼(10)의 회전구동에 대하여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며 회전하고, 표면에 길이방향과 원주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하여진 돌기(31)들에 의해 형성된 요홈(32)에 제사바늘의 후단부(40)를 제어하는 조정핀(33)이 장착되어 있되, 서로다른 길이를 가지는 조정핀들이 순차적으로 장착되어서 삼각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삼각형태로 장착되어진 조정핀(33)이 중심선을 기점으로 대향되게 장착되어 있는 드럼 샤프트(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편직기에 의해 편직된 마이크 커버(50)는 전체적인 형상이 마이크의 형상을 이루되, 마이크에 씌울수 있도록 개구부(5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51)는 마이크에 씌워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무사가 편직되어 있으며, 소정 위치에 색상띠무늬(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7은 본 고안의 제품인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도록 개량된 드럼 샤프트의 구조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제품인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도록 개량된 컨트롤 드럼의 구조도이며, 도9는 본 고안의 장갑편직기에 의해 편직된 마이크 커버의 구성도며, 도10은 본고안의 마이크 커버를 마이크에 장착한 상태의 예시도 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 장갑 편직기와 동일한 부분의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를 이용하여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때에는, B-1편직돌출캠(11a)에 와이어레바(20)가 위치하여진 상태에서 마이크커버의 B-1구간이 편직되어 진다.
상기한 B-1구간이 편직되어질 수 있는 것은 B-1편직돌출캠(11a)에 와이어레바(20)가 들려지면, 와이어레바(20)에 의해 솔레노이레이드(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가 작동되어서 제사를 공급하는 우수(1)가 동작되어지고, 상기 우수(1)를 통해 공급되는 제사의 공급라인이 변환되어 드럼 샤프트(30)의 조정핀(33)에 의해 후단부(40)가 제어되는 제사바늘들에 먹여져 부위별 편직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편직되어지는 마이크커버(50)가 B-1구간의 형태로(도9와 같음) 편직되어질 수 있는 것은 제어부(컴퓨터)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에 의해 컨트롤드럼
(10)의 구동이 제어됨과 동시에 드럼 샤프트(30)가 컨트롤드럼(10)의 구동에 따라 상호유기적으로 회전구동되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의 마이크커버(50) 의 편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B-1구간의 편직이 시작되는 시점은 제사바늘의 후단부(40)이 드럼 샤프트(30)에 장착되어 있는 조정핀(33)중 길이가 가장 짧은 조정핀에 위치하여진 상태에서 편직이 시작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레바(20)가 B-1편직돌출캠(11a)에 위치하여진 상태에서 B-1구간 편직완료되고, 와이어레바(20)가 상기 B-1편직돌출캠(11a)을 벗어나면, 와이어레바(20)가 컨트롤드럼(10) 표면으로 위치하였다가 색상편직돌출캠(11d)에 다시 위치하면서 우수(1)를 통해 공급되는 색(칼라)제사를 공급하여 색상띠무늬를 편직하게 된다.
상기한 색상띠무늬의 편직이 완료되어지면, 와이어레바(20)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컨트롤드럼(10)의 표면에 위치하였다가 B-2구간을 편직할 수 있도록 B-2편직돌출캠(11c)에 위치하여서 B-2구간 즉, 개구부(51)를 편직한후, 상기에 기술한 돌출캠들보다 약간 더 돌출되어지게 형성된 고무사편직돌출캠(11b)에 와이어레바(20)가 위치하여서 고무사를 편직하여 마이크 커버(50)의 편직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마이크커버가 완료될때의 제사바늘 후단부(40) 위치는 드럼 샤프트(30)에 장착된 조정핀(33)중 길이가 가장 긴 조정핀에 위치하여 있는 상태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의 구조 및 마이크 커버는, 편직기에 의해 마이크 커버가 편직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고; 편직된 마이크 커버의 조직이 치밀하여 세탁후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져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며; 다양한 색상을 다양한 형태로 배색이 용이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는 마이크 커버의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제어부(컴퓨터)(2)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컨트럴드럼(10)의 편직변환돌출캠(11)에 의해 컨트롤되어지는 와이어레바(20)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지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동작되어지는 우수(1)에 의해 드럼 샤프트(30)에 장착된 조정핀(33)에서 후단부(40)가 제어되는 제사바늘에 제사가 먹여져 손가락 A-1∼ 손이 삽입되는A-7순으로 장갑이 편직되는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레바(20)를 작동시키는 편직변환돌출캠(11)이 우측으로 설치되어 있되, 편직변환돌출캠(11)은, 일정구간 단락되어서 외주면를 따라 링형상과 같이 형성되어서 마이크커버(50)의 B-1구간을 편직하는 B-1편직돌출캠(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B-1편직돌출캠(11a)의 일단에 고무사를 편직할 수 있는 고무사편직돌출캠(11b)이 B-1편직돌출캠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서 형성됨과 동시에 고무사 편직 공정 이전에 편직되어지는 B-2구간을 편직하는 B-2편직돌출캠(11c)이 고무사편직돌출캠(11b)에 의해서 이루워져 있으며, B-1편직돌출캠(11a)과 고무사편직돌출캠
    (11b)에 의해 형성된 B-2편직돌출캠(11c)의 사이에는 색상띠무늬를 편직할 수 있게 와이어레바(20)의 작동을 컨트롤되는 색상편직돌출캠(11d)이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 드럼(10)과;
    상기 컨트롤 드럼(10)의 회전구동에 대하여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며 회전하고, 표면에 길이방향과 원주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하여진 돌기(31)들에 의해 형성된 요홈(32)에 제사바늘의 후단부(40)를 제어하는 조정핀(33)이 장착되어 있되, 서로다른 길이를 가지는 조정핀들이 순차적으로 장착되어서 삼각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삼각형태로 장착되어진 조정핀(33)이 중심선을 기점으로 대향되게 장착되어 있는 드럼 샤프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2. 제1항의 편직기에 의해 편직된 마이크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커버(50)는 전체적인 형상이 마이크의 형상을 이루되, 마이크에 씌울수 있도록 개구부(5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51)는 마이크에 씌워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무사가 편직되어 있으며, 소정 위치에 색상띠무늬(12)가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 커버.
KR2020000009021U 2000-03-30 2000-03-30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마이크 커버 KR200194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21U KR200194366Y1 (ko) 2000-03-30 2000-03-30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마이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21U KR200194366Y1 (ko) 2000-03-30 2000-03-30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마이크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366Y1 true KR200194366Y1 (ko) 2000-09-01

Family

ID=1964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021U KR200194366Y1 (ko) 2000-03-30 2000-03-30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마이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3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73818A (ja) 横編機
CN1484502A (zh) 针织手套
KR200194366Y1 (ko) 마이크 커버를 편직할 수 있는 장갑 편직기 및 마이크 커버
US7213417B2 (en) Method for producing intarsia designs with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106728B1 (ko) 환편기의 파일편성장치
US7757516B1 (en) Abrasive knitting needle and sinker
CN207210663U (zh) 一种具有浮雕效果的织带及服饰
KR101287866B1 (ko) 통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CA2363425A1 (en) Knit construction
JPH11200123A (ja) 手袋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1449912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US6286343B1 (en) Device for selecting the sinkers for the manufacture of designed terry cloth knitwear on circular knitting machines and stocking knitting machines
JP2003013343A (ja)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縞柄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US3048990A (en) D moyer
CN109594185B (zh) 针织织片的包边条结构及其编织方法
KR200246619Y1 (ko) 장갑편기의 컨트롤 드럼
KR100430029B1 (ko) 양면 벨루어 직물용 환편기
KR200268416Y1 (ko) 싱글 양면파일 편직기계
KR100400494B1 (ko) 컷트 파일 환편지 및 그 편성방법
KR200343695Y1 (ko) 양면 벨루어 직물용 환편기
EP3956510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sinkers selec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knitted fabric using the machine
EP3956509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open-work knitted fabric
EP3956508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aking terry stitches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JP2004197267A (ja)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及び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100772733B1 (ko) 파일 길이를 장-단으로 혼합하여 편직하는 편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