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105Y1 - 판재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판재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105Y1
KR200194105Y1 KR2019970030380U KR19970030380U KR200194105Y1 KR 200194105 Y1 KR200194105 Y1 KR 200194105Y1 KR 2019970030380 U KR2019970030380 U KR 2019970030380U KR 19970030380 U KR19970030380 U KR 19970030380U KR 200194105 Y1 KR200194105 Y1 KR 200194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recesses
deformation
twi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939U (ko
Inventor
김범규
Original Assignee
김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규 filed Critical 김범규
Priority to KR2019970030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10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이나 칩보드(P,B) 또는 합판등으로된 다수의 판재를 연결하여 바닥재로 시공하기 위한 판재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원목이나 칩보드(P.B) 및 합판동으로된 판재의 전,후,좌,우 4곳에 요부만을 형성한 다수의 판재로 구성하고, 이들 판재의 요부에 별도의 결합부재로 삽설하는 아주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판재들을 연결하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좌,우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지그재그식으로 내향절곡한 걸림편의 날카로운 끝부분이 각각의 판재의 요부의 양측벽면에 파고들어서 빠지지않게 함으로써 판재들의 결합이 매우 견고함은 물론, 판재들에 가공된 요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더라도 연결부재가 얇은 금속판으로 되어있어 삽입이 용이하기 때문에 패널을 완벽하게 결합할수 있다.
또한, 미리 만들어져 있던 판재들이 자체변형으로 판재들에 형성한 요부들이 비틀어졌을 경우에도 비틀어진 요부에 금속판으로된 연결부재를 탄성적으로 삽입할수 있는등 판재의 어떠한 조건에 하에도 연결부재를 손쉽게 삽설할 수 있어 판재들의 연결이 매우 편리하다. 한편, 금속판으로된 연결부제가 판재들의 이음새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온돌바닥재로 시공하더라도 열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줌으로써 시공후에도 자연적으로 가해지는 온도나 습도 또는 난방을 위하여 인공적으로 가해지는 온돌열이 가해질지라도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재연결구조
본 고안은 원목이나 칩보드(P.B) 또는 합판등으로된 다수의 판재를 연결하여 바닥재로 시공하기 위한 판재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판재의 연결구조를 달리하여 바닥재로의 시공을 매우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재료의 절감을 꾀하도록 한 것이다.
인류는 주거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건축의 실내장식을 위한 벽재나 바닥재를 나무로 하거나 나무와 흡사한 무늬와 기능을 갖는 다양한 소재의 판재를 개발하였는데 이러한 판재를 이용하여 바닥등지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재(1)의 좌,우 양단에 주로 바닥재로 시공시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요부(1a)와 돌부(1b)를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하여서 일측 판재(1)에 형성된 요부(1a)에 타측판재(1)에 형성된 돌부(1b)를 결함하면서 판재(1)들을 연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좌,우 양단에 요부(1a)와 돌부(1b)를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한 판재(1)들은, 요부(la)와 돌부(1b)가 정확한 크기와 높이로 가공되어 있지 않을 경우 결합조건이 맞지않아 판재(1)들을 결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요부(1a)와 돌부(1b)의 가공이 상당히 까다로와 가공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무엇보다도 돌부(1b)부분은 특히 외부의 충격에 견디는 힘이 약하여 쉽게 파손되어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판재의 두깨를 얇게하여 재료를 절감하고자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판재(1)들이 열이나 습기등의 온도나 기후에 민감하기 때문에 열이나 습기 등에 의한 변형이 심하여 장시간 시공을 하지 않은채로 보관하게 되면 판재(1) 자체가 심하게 뒤틀어지는 변형을 가져와 막상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비틀어진 요부(1a)에 역시 비틀어진 돌부(1b)가 결합이 되지 않게되어 못쓰게되거나 정확하게 끼워져 결합되지 않게되어 울퉁불퉁하게 되는등 매우 불량한 바닥재의 시공이 되었다.
또한 정확하게 시공하였다 하더라도 유럽등 온돌난방을 하지 않는 곳에서는 별문제가 되지 않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온돌을 사용하는 곳의 판재연결구조로는 더욱 적합않았는데 그 이유는 이와같은 단순한 판재연결구조는 시공시에는 괜찮으나 시공후에 난방을 하면 수분을 적당히 함유하고 있던 판재(1)에 열이 가해져 수분이 탈취되어 이음새측으로만 증발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열변형을 일으켜서 이음새부분이 팽창돌출되는등 원초적으로 발생하는 판재의 변형량을 흡수하지 못하여 바닥재로 시공하기 위한 판재 결합구조로는 그 효과가 매우 떨어졌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 판재의 이음새부분을 돌기가 필요없이 요부만으로 형성하고 상기, 요부에 별도로 구성된 연결부재로 연결토록 함으로써 판재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여 재료를 최대한 절감하도록 하면서도 판재의 연결을 매우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이음새부분의 결합이 견고하며, 시공후에도 자연적으로 가해지는 온도나 습도 또는 난방을 위하여 인공적으로 온돌열이 가해질지라도 연결부재에 의해 변형이 최대한 억제 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하도록 함에 그 목적으로 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판재연결구조.
제2도는 본 고안의 판재연결구조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판재 연결부재의 구성상태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요부단면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결합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재 10a : 요부
20 : 접착제 100 : 연결부재
100a : 걸림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원목이나 칩보드(P.B) 및 합판등으로 된 판재(10)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전, 후, 좌, 우 4곳에 요부(10a)만을 형성한 다수의 판재(10)를 구성하고, 이들 판재(10)를 상기 판재(10)의 요부(10a)에 삽설되는 별도의 연결부재(100)를 접착제(20)로 연결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00)는, 얇은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의 길이방향으로 좌, 우 양측에 뾰족한 끝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순차로 상,하 내향절곡된 다수개의 걸림편(100a)을 형성하여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판재(10)에 형성된 요부 하측면의 길이를 약간 짧게하여 판재(10)의 결합시 접착제(20)를 바르도록 구성하여 판재(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00)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부재와 판재를 못등으로 관동시켜서 연결할 수 도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바닥재로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판재(10)에 형성된 요부(10a)에 접착제(20)를 충진한다음 접착제(20)가 충진된 요부(10a)에 상기 연결부재(100)의 일측면을 삽입한다음 타측판재(10)의 요부(10a)에도 접착제(20)를 충전한후 연결부재(100)의 타측면을 타측판재(10)의 요부(10a)에 삽설하여 각각의 판재(10)들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아주 간단하게 바닥재로 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판재(10)를 연결하면 상기 요부(10a)에 삽설되는 연결부제(100)는 금속판의 좌,우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지그재그식으로 내향절곡한 걸림편(100a)의 날카로운 끝부분이 각각의 판재(10)의 요부(10a)의 양측벽면에 파고들어서 빠지지않게 됨으로써 판재(10)들의 결합이 매우 견고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요부(10a)에 충진되는 접착제(20)에 의하여 더욱 완벽한 결합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0)는 얇은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으로 되어있기 때문 판재(10)들에 형성하는 요부(10a)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첨부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부(10a)에 연결부재(100)가 비스듬이 결합되어 판재(10)를 완벽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만들어져 있던 판재(10)들이 시간이 경과하여 자재변형으로 판재(10)들에 형성한 요부(10a)들이 비틀어졌을 경우에도 비틀어진 요부(10a)에 금속판으로된 연결부재(100)가 탄성적으로 결합이 용이하므로 판재(10)들의 연결에는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게됨은 물론 금속판으로된 연결부재(100)가 판재(10)들의 이음새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온돌바닥재로 시공하더라도 열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줌으로써 온돌바닥에 깔려진 판재(10)의 표면이 고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은 원목이나 칩보드(P.B) 및 합판등으로된 판재의 전, 후, 좌, 우 4곳에 요부만을 형성한 다수의 판재로 구성하고, 이들 판재의 요부에 별도의 연결부재로 삽설하고 접착제를 충진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판재들을 연결하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얇은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의 좌,우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지그재그식으로 내향절곡한 결림편의 날카로운 끝부분이 각각의 판재의 요부의 양측벽면에 파고들어서 빠지지않게 함으로써 판재들의 결합이 매우 견고함은 물론, 판재들에 가공된 요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더라도 연결부재가 얇은 금속판으로 되어있어 삽입이 용이하기 때문에 패널을 완벽하게 결합할수 있다.
또한, 미리 만들어져 있던 판재들이 자체변형으로 판재들에 형성한 요부들이 비틀어졌을 경우에도 비틀어진 요부에 금속판으로된 연결부재를 탄성적으로 삽입할수 있는등 판재의 어떠한 조건에 하에도 연결부재를 손쉽게 삽설할수 있어 판재들의 연결이 매우 편리하다.
한편,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으로된 연결부재가 판재들의 이음새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온돌바닥재로 시공하더라도 열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줌으로써 시공후에도 자연적으로 가해지는 온도나 습도 또는 난방을 위하여 인공적으로 가해지는 온돌열이 가해질지라도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등 판재를 연결함에 있어서 매우 획기적이고 신규하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원목이나 칩보드(P.B) 및 합판등으로된 판재를 연결하되, 상기 전,후,좌,우 4측면에 요부(10a)만을 형성한 다수의 판재(10)를 구성하고, 이들 판재(10)를 상기 판재(10)의 요부에 삽설되는 별도의 연결부재(100)를 접착제(20)로 연결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를, 얇은 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뾰족한 끝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순차로 상,하 내향절곡된 다수개의 걸림편(100a)을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연결구조.
KR2019970030380U 1997-10-31 1997-10-31 판재연결구조 KR200194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380U KR200194105Y1 (ko) 1997-10-31 1997-10-31 판재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380U KR200194105Y1 (ko) 1997-10-31 1997-10-31 판재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39U KR19990016939U (ko) 1999-05-25
KR200194105Y1 true KR200194105Y1 (ko) 2000-09-01

Family

ID=1951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380U KR200194105Y1 (ko) 1997-10-31 1997-10-31 판재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1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39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46603A (ja) 実接合する板材
KR200194105Y1 (ko) 판재연결구조
CN2411298Y (zh) 无缝快速组合地板
AU4492285A (en) Panelling system and panelling clips for the same
JPS6223947Y2 (ko)
JPH0347053U (ko)
JPS6227908U (ko)
JPH0331779Y2 (ko)
JPH0729291Y2 (ja) 組立式箱形家具及びそれに用いる締結金具
JPS6313724Y2 (ko)
KR960009425Y1 (ko) 천정 보드 조립구
KR200146975Y1 (ko) 칼라강판을 이용한 내외부 칸막이용 판넬
JPH07279381A (ja) 床板材
JPS6133773Y2 (ko)
JP3005706U (ja) コンクリート直貼用床板
JPS594112Y2 (ja) ジョイナ−取付部の構造
KR20220007284A (ko) 조립식 의자용 연결구
JP3774553B2 (ja) 縦材と横材の接合構造
JPH0119753Y2 (ko)
KR200236219Y1 (ko) 건축용 실내 공간 가장자리 마감 판재
JPS6214267Y2 (ko)
JPH0533294Y2 (ko)
JPS6321635Y2 (ko)
JPH0243344U (ko)
JPS63186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