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499Y1 - 요금부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요금부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499Y1
KR200193499Y1 KR2020000007185U KR20000007185U KR200193499Y1 KR 200193499 Y1 KR200193499 Y1 KR 200193499Y1 KR 2020000007185 U KR2020000007185 U KR 2020000007185U KR 20000007185 U KR20000007185 U KR 20000007185U KR 200193499 Y1 KR200193499 Y1 KR 200193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terminal
password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박성찬
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날
김승현
박성찬
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날, 김승현, 박성찬, 박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날
Priority to KR2020000007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Abstract

본 고안은 자체 고유의 전화번호를 갖는 일반 유선전화, 이동전화 및 개인통신장치와 달리 통신사업자 서버에 접속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해 곧바로 이용요금을 부과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 이용자로부터 호출이 가능한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호출하여 확인함으로써 이용자를 용이하고 명확히 구분하여 해당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부합하는 이용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요금부과 시스템{The fee levy system}
본 고안은 통신사업자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요금을 부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상에서 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이용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수의 통신사업자들은 음악, 음성메세지, 동영상, 전문기술정보 등 다양한 유료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고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접속 시간별, 서비스 항목별 또는 서비스 종류별로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종래의 통신사업자가 정보 및 서비스 이용자에게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는 이용자가 일반 유선전화, 핸드폰이나 PCS폰 등의 휴대전화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해서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면, 해당 통신사업자는 통신접속에 사용된 이용자의 단말기 번호에 부과되는 통신요금(즉 전화요금)에 자신들의 정보 및 서비스 이용료를 추가하여 부과하고 있다.
예컨대, 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통신사업자로부터 자신의 이동전화기 등으로 다운받아 음악을 청취하거나 자신의 이동전화기의 벨소리로 사용한다.
이러한 음악을 제공해준 통신사업자는 다운받은 음악의 곡수 만큼의 요금을 해당 전화기의 전화번호에 부과되는 통신요금에 합산하여 청구하는 방식으로 부과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의 서비스요금은 이용자가 회원가입시 주소 등 요금부과를 위한 정보를 기록하고, 이용자가 자신의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통신사업자는 기 기록된 이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요금을 부과한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이러한 통신서비스시장은 음성 뿐만 아니라 영상 및 텍스트 등 서비스의 종류도 더욱 다양해지고 사용가능 범위도 더욱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유선전화, 이동전화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 자체의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를 통한 통신서비스이용시, 통신사업자가 해당 단말기의 통신요금(전화요금)에 통신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금을 추가하여 부과할 수 있는 경우와 달리 네트워크의 발달로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를 위한 단말기(PC방의 컴퓨터, 대학 전산소의 컴퓨터 등)를 이용해 통신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어 요금부과의 문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된다.
즉, 네트워크의 발달로 손쉽게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경로는 있으나 요금부과문제로 이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래서 통신사업자들은 회원가입을 통해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이들에게 ID 및 비밀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이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기 저장된 회원정보를 이용하여 요금을 부과하고 있으나, 이는 회원가입이라는 절차를 필요로 하게됨으로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되고 이로써 이용자들의 보다 많은 서비스이용에 장애가 되기도 한다.
즉,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없이도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입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요금부과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서비스의 이용자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해당 통신서비스 이용료를 부과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통신사업자 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네트워크 20, 30 : 단말기
40 : 통신사업자 서버 41 :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
42 : 전화호출장치 43 : 서비스제공장치
44 : 데이터베이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은 불특정 다수간의 유·무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네트워크상의 특정시스템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제 1 단말기; 이용자를 확인하고 통신서비스 이용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고유의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 및 특정시스템에 접속한 이용자로부터 호출할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제공받고 이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해 이용자를 확인한 후 시스템 접속을 허락하며 해당 전화번호에 이용 요금을 부가하는 통신사업자 서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네트워크(10)은 유·무선 전화, 컴퓨터 및 개인통신 단말기들간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리적 연결로이다.
제 1단말기(20)는 네트워크(10)상에 연결되어 이용자가 원하는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나 통신사업자가 이용자에 대해 곧바로 이용요금을 부과할 수 없는 장치들이다.
예컨대, PC방이나 대학 전산소내에 설치된 컴퓨터 또는 공중전화와 같이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단말기 또는 양방향 TV(세탑박스를 통하여 시청자의 위치와 정보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서비스 이용자가 시청자 중 누구인지(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신청할 수 있으므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단말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제 2단말기(30)는 일반 유선전화, 이동전화, 개인통신서비스장치 등 고유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로 통신사업가 이를 통해 이용자를 확인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장치들이다.
전화와 컴퓨터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장치로 컴퓨터 통신 및 전화이용이 가능한 경우처럼, 제 1단말기(20)와 제 2단말기(30)는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통신사업자 서버(40)는 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각 이용자들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컴퓨터로 서버에 접속한 이용자로부터 이용자정보(전화번호, 비밀번호)를 제공받아 이용자를 확인하여 접속가능여부를 판별한 후 접속가능한 이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고 해당 이용자에게 이용요금을 부과한다.
도 2는 상술한 도 1의 통신사업자 서버(4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이용자가 제 1단말기(20)를 통해 해당 서버에 접속시 이용자에게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요청한다.
그리고, 제 1단말기(20)를 통해 이용자로부터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30)를 호출할 수 있도록 전화호출신호를 출력한다.
제 2단말기(30)를 통해 이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재 입력받아 이를 제 1단말기(20)를 통해 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가능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이용자가 제공받은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시간 등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상술된 비밀번호를 이용자로부터 받지 않고 임의로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먼저 이용자로부터 전화번호만을 입력받으면, 임의로 비밀번호를 생성한 후, 이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임의 생성된 비밀번호를 알려줌으로써 이용자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이용자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면, 이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이용자와 전화통화를 하여 서비스 이용여부 재확인, 이용코져하는 서비스내용 등을 확인한 후 이를 근거로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와의 전화통화 내용 및 통화시간 등을 일정시간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이는 후술될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화호출장치(42)는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로부터 전화호출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이용자와 전화연결을 시켜준다.
서비스제공장치(43)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이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여준다.
데이터베이스(44)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될 자원(resource)과 서비스 이용자들의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도 1 및 도 2 시스템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요금부과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 1 실시예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는 자신의 제 1단말기(20)를 이용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통신사업자 서버(40)에 접속한다.
통신사업자 서버(40)의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에게 호출할 수 있는 제 2단말기(30)의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이용자는 통신사업자 서버(4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이 호출받을 수 있는 제 2단말기(30)의 전화번호 및 자신이 해당 이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단계 301).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비밀번호를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하고, 제 2단말기(30)를 호출하도록 전화호출장치(42)에 지시한다.
전화호출장치(42)는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의 지시에 따라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30)를 호출한다(단계 302).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와 연결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세지를 보낸다.
기 알려준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30)로 호출을 받은 이용자는 호출받은 제 2단말기(30)를 이용하여 초기 접속시에 입력한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한다(단계 303).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받은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이를 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이용자를 확인한다(단계 304).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서비스제공장치(43)로 하여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면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전화번호에 이용요금을 부과한다(단계 305).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를 제공할 수 없다는 메세지를 통신사업자 서버(40)에 접속한 이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 이용을 거부한다(단계 306).
제 2 실시예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는 자신의 제 1단말기(20)를 이용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사업자 서버(40)에 접속한다.
통신사업자 서버(40)의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에게 호출할 수 있는 제 2단말기(3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이용자는 자신이 호출받을 수 있는 제 2단말기(30)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단계 401).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임의의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하고 해당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30)를 호출하도록 전화호출장치(42)에 지시한다.
전화호출장치(42)는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의 지시에 따라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30)를 호출한다.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와 연결되면 임의로 생성되어 기 저장된 비밀번호를 이용자에게 알려준다(단계 402).
제 2단말기(30)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전달받은 이용자는 제 1단말기(20)를 통하여 통신사업자 서버(40)에게 전달받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단계 403).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이를 임의생성하여 기 저장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이용자를 확인한다(단계 404).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서비스제공장치(43)로 하여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면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전화번호에 이용요금을 부과한다(단계 405).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를 제공할 수 없다는 메세지를 통신사업자 서버(40)에 접속한 이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 이용을 거부한다(단계 406).
제 3 실시예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는 자신의 제 1단말기(20)를 이용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사업자 서버(40)에 접속한다.
통신사업자 서버(40)의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에게 호출할 수 있는 제 2단말기(3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이용자는 자신이 호출받을 수 있는 제 2단말기(30)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단계 501).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30)를 호출하도록 전화호출장치(42)에 지시한다.
전화호출장치(42)는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의 지시에 따라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30)를 호출한다(단계 502).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와 연결되면 이용자로부터 서비스 이용여부 재확인 및/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내용 등을 확인한다.(단계 503).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여부 재확인 및/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선택이 확인되면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서비스제공장치(43)로 하여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면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41)는 해당 전화번호에 이용요금을 부과한다(단계 504).
이때, 통화내용 및 통화시간은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향후 서비스이용 요청에 대한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원치 않거나 이용자와 전화통화가 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를 제공할 수 없다는 메세지를 통신사업자 서버(40)에 접속한 이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 이용을 거부한다(단계 505).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이용자가 자신의 이동전화기 또는 개인통신단말기에 음악화일을 정기적으로 또는 특정상황(특정 가수의 신곡이 나온 경우 또는 특정가수의 노래를 미리 정해놓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에 다운로드하고 싶은 경우, 이용자가 네트워크을 통해 해당 통신사업자 서버(40)에 접속하여 음악화일을 다운받을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미리 지정해 놓는다.
그러면, 통신사업자 서버(40)는 이용자가 요청한 때에 이를 요청한 이용자에 대하여 자동으로 해당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로 음악화일을 전송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때, 통신사업자 서버(40)는 매 전송시마다 기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의 단말기를 호출하여 이용자를 확인한 후 음악화일을 전송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신사업자 서버에 접속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해 곧바로 이용요금을 부과할 수 없는 경우에 이용자를 용이하고 명확히 구분하여 해당 이용자에게 서비스 이용료를 부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통신서비스 이용요금을 부과하는 요금부과 시스템에 있어서,
    불특정 다수간의 유·무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네트워크상을 통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제 1 단말기;
    이용자를 확인하고 통신서비스 이용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고유의 전화번호를 갖는 제 2단말기; 및
    상기 제 1단말기를 통해 이용자로부터 상기 제 2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제공받고, 제 2단말기와의 접속을 통해 이용자를 확인한 후 제 1단말기에 서비스이용을 허락하며 해당 전화번호에 이용 요금을 부가하는 통신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는 요금부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는 통신사업자가 서비스 이용요금을 해당 단말기에 대해 부과할 수 있는 고유의 번호를 가지지 않는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부과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와 상기 2단말기는 일체형으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부과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업자 서버는,
    이용자가 해당 서버에 접속시 이용자에게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요청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호출을 할 수 있도록 전화호출신호를 출력하며, 해당 전화호출을 통해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가능여부를 판별하는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
    상기 접속관리 및 인증확인장치로부터 전화호출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이용자와 연결을 시켜주는 전화호출장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이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될 자원(resource)과 서비스 이용자들의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부과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업자 서버는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갖는 상기 제 2단말기를 호출하여 비밀번호를 재 입력받고, 이를 기 입력되어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이용자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부과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업자 서버는 이용자로부터 전화번호만을 입력받아 임의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갖는 상기 제 2단말기를 호출하여 상기 임의 생성한 비밀번호를 이용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제 1단말기를 통해 이용자로부터 상기 임의 생성하여 알려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 임의 생성하여 저장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이용자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부과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통신사업자 서버는 이용자로부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을 해 줄것을 예약받고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될 때 이용자가 기 예약한 이용자 단말기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고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요금을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부과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통신사업자 서버는 이용자로부터 전화번호만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갖는 상기 제 2단말기를 호출한 후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이용자와의 전화통화만으로 이용자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부과 시스템.
KR2020000007185U 2000-03-14 2000-03-14 요금부과 시스템 KR200193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185U KR200193499Y1 (ko) 2000-03-14 2000-03-14 요금부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185U KR200193499Y1 (ko) 2000-03-14 2000-03-14 요금부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499Y1 true KR200193499Y1 (ko) 2000-08-16

Family

ID=1964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185U KR200193499Y1 (ko) 2000-03-14 2000-03-14 요금부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4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4127A1 (en) 2002-03-30 2003-10-09 Min-Gyu Han An instant log-in method for authentificating a user and settling bills by using two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and a system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4127A1 (en) 2002-03-30 2003-10-09 Min-Gyu Han An instant log-in method for authentificating a user and settling bills by using two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and a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360B2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6829593B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objects, especially documents, multimedia objects, software applications and/or processes to users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291077B2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9294867B2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JP200009223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MXPA05008436A (es) Instalacion para llamadas de conferencia.
JP2005502128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にデバイス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許可の使用
KR20010086595A (ko) 웹 문서 기반의 원클릭 브이오아이피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US20060161616A1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EP1466468B1 (en) Multi-modal messaging and callback with service authorizer and virtual customer database
EP1578165B1 (en) Service provisioning due to change of mobile terminal
EP1681832A1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KR200193499Y1 (ko) 요금부과 시스템
US20060190539A1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KR100721848B1 (ko)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796928B1 (ko)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620565B1 (ko) 이동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에 가입하기 위한 방법 및 그장치
KR100560631B1 (ko) 컨텐츠 제공자들을 위한 통합 관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KR20010055470A (ko) 다른 통신 서비스 업체 가입자에 대한 통신 서비스 방법
CN113572906B (zh) 一种呼叫中心用通信系统中的设备接入终端
KR20120057921A (ko) 에스오아이피 단말기에서 통화중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20043864A (ko) 접속시설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GB2422219A (en) A software development system
KR100682688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18805A (ko)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및 유선 통신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10609

Effective date: 200209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620

Effective date: 200311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