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278Y1 - 삼색 보드마카 - Google Patents

삼색 보드마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278Y1
KR200193278Y1 KR2020000002545U KR20000002545U KR200193278Y1 KR 200193278 Y1 KR200193278 Y1 KR 200193278Y1 KR 2020000002545 U KR2020000002545 U KR 2020000002545U KR 20000002545 U KR20000002545 U KR 20000002545U KR 200193278 Y1 KR200193278 Y1 KR 200193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vodka
tricolor
board mark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섭
Original Assignee
신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섭 filed Critical 신우섭
Priority to KR2020000002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1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coreless tubular writing-points
    • B43K8/146Ink cartridges, ink reservoir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흑색, 적색, 청색이 한 개의 보드마카에 내장되어 사용하기 편하도록 한 삼색 보드마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3색 보드마카)은 보드마카의 몸체에서 돌출된 심이 세개가 있으며 심마다 끝 부분이 밖으로 약간 굽어 사용하기가 편하며 세개의 심이 각각 흑색, 적색, 청색으로 구분되어 있고 심으로 연결된 안의 액체 내용물도 세개가 같이 한개의 몸체 안에 각색이 분리 내장되어 있으며 몸체도 돌출된 삼색 심이 위치한 곳에 심과 같은 색의 색상을 표시하도록 한 구조임
보드마카의 여러가지 색을 선별적으로 사용할 때 각각의 보드마카가 준비되어야 하나 이 고안품을 사용시 한 개의 보드마카만 있으면 세가지 색을 쓸 수 있어서 편리하고 색깔마다 보드마카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구조임.

Description

삼색 보드마카{3-COLOR BOARD MARKER}
본 고안의 삼색 보드마카는 흑색, 적색, 청색의 보드마카를 한 몸체에 내장시켜 여러 가지 색을 선별적으로 사용할 때 쓰기 편하도록 한 고안이다.
(이하 삼색은 흑색, 청색, 적색으로 칭한다)
보드마카의 돌출된 심이 축의 바깥 방향으로 약간 굽게 하여 사용하기 편하도록 하였으며 몸체 안의 액체 내용물도 보드마카의 몸체에 세가지 색이 들어 있어 한 개의 보드마카 몸체로써 세가지 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보드마카는 돌출된 심이 단색용이며 다른 색의 보드마카를 사용할 때는 각각의 보드마카가 준비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한 개의 보드마카를 가지고 삼색을 동시에 번갈아 가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과제는 보드마카의 삼색을 한 개의 보드마카 몸체에 내장시키고 삼색의 심을 돌출시켜서 각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 개의 몸체에 세 개의 구멍을 형성하여 그 구멍에서 세가지 색의 돌출 심(3)을 끼우고, 밖으로 돌출 된 심(3)의 심의 끝부분을 축에 대한 바깥 방향으로 약간 굽혀서 사용하게 하였다.
도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액체 내용물(4)의 삼색심 부분에는 약간 가늘게 만들었으나 뒷부분에는 크게 만들어서 액체 내용물을 많이 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액체 내용물(4)의 용기는 양을 달리하여 주로 많이 사용하는 흑색은 큰 용기에 내장하고 많이 사용하지 않는 적색과 청색은 작은 용기에 내장시키도록 하였다.
몸체(2)는 사용자가 색상을 혼돈하지 않도록 돌출된 삼색 심이 위치하는 쪽에 그 색상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도1은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사시도
도2는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분해도
도3은 가 :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2 를 A-A방향에서 본 정면도
나 :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2-1 을 A-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4는 가 :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3 을 B-B방향에서 본 정면도
나 :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3 사시도
도5는 가 :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3-1 을 B-B방향에서 본 정면도
나 :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3-1의 사시도
도6은 가 :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3-2를 B-B방향에서 본 정면도
나 :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3-2의 사시도
도7은 고안된 3색 보드마카의 도2의 4를 C-C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삼색 보드마카의 뚜껑
2 : 삼색 보드마카의 몸체 (삼색을 구분하는 측선의 방향으로 색상 표시)
3 : 삼색 보드마카의 돌출된 심
4 : 삼색 보드마카의 액체 내용물
5 : 삼색 보드마카의 뒷뚜껑
본 고안은 흑색, 청색, 적색이 한 개의 보드마카에 내장시켜서 사용하기 편하도록 한 삼색 보드마카의 관한 고안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도면을 조건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면, 몸체(2)에 돌출된 심(3)이 위치한 쪽에 몸체는 그 색상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도2에서 나타난 도면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보드마카의 몸체(2)의 앞쪽에 세 개의 구멍을 형성하여 삼색 심(3)이 각각 끼워지도록 하였고 심과 심끼리 서로 닿지 않도록 하였으며 심(3, 3-1)은 축의 바깥 방향으로 약 10-30도 정도 굽히되 뚜껑(1)을 닫을 때 뚜껑(1)에 닿지 않도록 하였다.
도3에서 나타난 도면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보드마카의 몸체(2)의 구멍에 대한 것으로 도가는 원형으로 되어 있어 도4의 돌출 된 삼색 심(3)과 도6의 돌출 된 삼색 심(3-2a)을 사각기둥 모양으로 만들어 몸체의 구멍에 끼울 때 몸체(2)와 심(3, 3-2a)이 맞닿은 쪽에 틈새가 생기도록 하였으며, 도나는 뭄체의 구멍이 원형이되 안쪽으로 돌기가 형성하여 도5의 돌출 된 삼색 심(3-1)과 도6의 돌출 된 삼색 심(3-2b)을 원기둥모양으로 만들어서 몸체의 구멍에 삼색 심을 끼울 때 안쪽의 돌기에 의해 몸체와 심(3-1, 3-2b)이 맞닿은 곳에 틈새가 생기도록 한 구조임.
도4에서 나타난 도면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보드마카의 삼색 심(3)을 밑부분에는 사각기둥으로 만들어서 도3의 가에 끼워지도록 하였고 삼색 심(3)의 끝부분은 원기둥모양이며 축의 바깥방향으로 10-30도 정도 굽어 있고 약간 가늘어짐.
도5에서 나타난 도면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보드마카의 삼색 심(3-1)을 원기둥모양으로 만들어서 도3의 나에 끼워지도록 하였고 삼색 심(3-1)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끝부분에는 축의 바깥 방향으로 10-30도 정도 굽혀져 있음.
도6에서 나타난 도면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보드마카의 삼색 심(3-2a)은 사각기둥모양으로 만들어 졌으며 끝부분으로 갈수록 가늘며 원뿔모양으로 도3의 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도록 한 것이고, 삼색 심(3-2b)은 원기둥모양이며 끝부분은 가늘고 길며 도3의 나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도록 하였다.
도7에서 나타난 도면을 구분하여 설명하면은, 액체 내용물(4)의 용기의 양을 다르게 하여 내용물의 양을 다르게 내장시켜 주로 많이 사용하는 흑색은 전체 용기의 1/2크기 정도로 만들었으며 많이 쓰지 않는 전체용기의 적색은 1/4이고, 청색도 1/4정도 크기로 만들어져 있다.
보드마카는 일반적으로 단색으로만 되어 있어서 여러 가지 색을 쓸 경우에는 각각의 여러 가지 보드마카가 준비해야 하고 각색을 사용할 때마다 다른 보드마카를 바꾸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의 3색 보드마카는 한 개의 보드마카에 많이 쓰는 세가지 색(흑색, 청색, 적색)이 있어서 휴대하기도 편하고 여러 가지 색을 사용할 때마다 각각의 보드마카가 준비할 필요가 없고 한 개의 보드마카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아주 실용적이고 공장에서 생산시에도 세가지 색을 제작시 몸체가 세개를 만들어야 하나 한 개의 몸체로 세가지 색을 만들 수 있으므로 아주 경제적이다.

Claims (3)

  1. 종래 보드마카는 삼색(흑.적.청색)을 별개로 사용하던 것을, 도1 및 도2의 구조와 같이 한 몸체를 가진 1개의 보드마카몸체(2)에 삼색심(3)을 돌출시키고 심의 끝부분은 몸체(2) 중심축의 바깥방향으로 10°∼ 30°경사지게 하고 삼색 각액의 저장용기(4)는 몸체(2)안에 색깔별로 분리 내장되고 액의 량(내장액 전체를 1로 할 때)은 흑색은 1/2.적색 및 청색은 각1/4의 량으로 튜브에 내장되어 있고 몸체(2) 외관의 색상은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삼색 돌출심(3)의 동일색상을 표현하는 구조를 가진 삼색보드마카
  2. 제1항에 있어 몸체(2)는 이형의 몸체(2-1)과 이형의 돌출심(3-1)을 가진 구조
  3. 제1항에 있어 돌출되는 삼색심(3) 및 (3-1)은 몸체(2) 및 (2-1)의 축선방향과 나란히 돌출시키는 구조
KR2020000002545U 2000-01-27 2000-01-27 삼색 보드마카 KR200193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545U KR200193278Y1 (ko) 2000-01-27 2000-01-27 삼색 보드마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545U KR200193278Y1 (ko) 2000-01-27 2000-01-27 삼색 보드마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278Y1 true KR200193278Y1 (ko) 2000-08-16

Family

ID=1963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545U KR200193278Y1 (ko) 2000-01-27 2000-01-27 삼색 보드마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27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40A2 (ko) * 2009-10-07 2011-04-14 Song Jinhyuk 다심 펜
KR101175739B1 (ko) * 2009-10-07 2012-08-22 송진혁 다심 펜
KR200470027Y1 (ko) * 2013-04-12 2013-11-21 염선영 3색 형광펜
KR20190012550A (ko) * 2017-07-27 2019-02-11 남명석 3색 마카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40A2 (ko) * 2009-10-07 2011-04-14 Song Jinhyuk 다심 펜
WO2011043540A3 (ko) * 2009-10-07 2011-07-14 Song Jinhyuk 다심 펜
KR101175739B1 (ko) * 2009-10-07 2012-08-22 송진혁 다심 펜
KR200470027Y1 (ko) * 2013-04-12 2013-11-21 염선영 3색 형광펜
KR20190012550A (ko) * 2017-07-27 2019-02-11 남명석 3색 마카펜
KR102068874B1 (ko) * 2017-07-27 2020-01-21 남명석 3색 마카펜
CN110944848A (zh) * 2017-07-27 2020-03-31 南明锡 3色马克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146B1 (en) Double chambered container
USD658064S1 (en) Fluid container
US7311306B2 (en) Extendable cylindrical jigsaw puzzle
USD385497S (en) Container sidewall with end grip
KR200193278Y1 (ko) 삼색 보드마카
US6253945B1 (en) Container having separable liquid-ornament unit
WO2005014428A1 (en) Container assembly for blending contents kept separately by removing cap
USD396886S (en) Pencil sharpener and cap
JPH02105885U (ko)
KR200176091Y1 (ko) 결합분리형필기구
JPH06361Y2 (ja) キャップ
CN219835307U (zh) 八角瓶
JP2005104527A (ja) 蓋体付きキャップ等
CN217049739U (zh) 一种新型的盒盖
JP2005289465A (ja) 二重容器
USD438246S1 (en) Writing instrument
CN219447862U (zh) 一种瓶盖结构及酒瓶
JPH02135479U (ko)
US6045451A (en) Pocket structure of a table in billiards
KR200299391Y1 (ko) 샤프펜슬
CN206634452U (zh) 一种设置装饰套的乳液瓶盖
JP4018278B2 (ja) 魔法びん
KR200339852Y1 (ko) 한 개의 병에 두 가지 음료를 담는 페트병.
JP3084849U (ja) マーカー等の筆記具の尾栓の連結機構
KR200385094Y1 (ko) 칸을 나눈 샤프심 케이스가 결합된 샤프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