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14Y1 -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14Y1
KR200193114Y1 KR2020000003484U KR20000003484U KR200193114Y1 KR 200193114 Y1 KR200193114 Y1 KR 200193114Y1 KR 2020000003484 U KR2020000003484 U KR 2020000003484U KR 20000003484 U KR20000003484 U KR 20000003484U KR 200193114 Y1 KR200193114 Y1 KR 200193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signal
digital
converting
mb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웨이브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웨이브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웨이브컴
Priority to KR2020000003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00Multiplex systems in which each channel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type of modulation of th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는 각 지역의 방송국 또는 수신상태가 양호한 지역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MBT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위성 또는 광 케이블을 통해 중계하고, 이렇게 중계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MBT장치에서 RF신호로 변환하여 전파를 방사시킴으로써, 즉, MBT장치와 위성 또는 광케이블통신 중계방식으로 고속도로 등 중요시설 구간 전체를 다중방송을 함으로써, 어떠한 지역, 장소에서든지 이용자는 깨끗한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Apparatus for repeating multiple radio broadcasting signal}
본 고안은 다중 라디오방송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지역의 방송국 또는 수신상태가 양호한 지역에서 수신된 다중 방송신호를 MBT(Multiple Broadcasting Transmission)을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위성 또는 광케이블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중계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라디오방송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단위채널의 방송신호를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ANT1)를 통해 공중으로 방사하는 방송국(1)과, 상기 방송국(1)에서 안테나(ANT1)를 통해 방사한 방송신호에 상응하는 RF신호가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RF방송신호에 대한 잡음지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부(2)와, 저잡음증폭부(2)에서 저잡음증폭된 RF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 1 증폭부(3)와, 제 1 증폭부(3)에서 증폭된 RF신호에 대한 전력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일정레벨 증폭하는 제 2 증폭부(4)와, 제 2 증폭부(4)에서 증폭된 RF방송신호와 외부의 다른 RF신호들(예를들면, 무전기에서 사용되는 RF신호 등)과 혼합하여 누설 동축케이블(6)로 출력하는 혼합부(5)로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자.
먼저, 방송국(1)에서 단위채널에 대한 각 채널의 방송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1)를 통하여 공중으로 방사되면, 다른 지역에 있는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된다.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된 RF방송신호는 저잡음 증폭부(2)에서 저잡음 증폭된다. 여기서, 저잡음 증폭부(2)는 전파손실이 큰 가시거리외 통신회선 등 미소한 입력 전압의 수신전파에 대하여 사용되는 수신기 전체의 잡음지수를 낮출 목적으로 만들어진 고주파수 증폭기이다.
저잡음 증폭부(2)에서 저잡음 증폭된 RF방송신호는 제 1, 2 증폭부(3, 4)에서 각각 증폭된 후, 혼합부(5)로 출력된다.
혼합부(5)는 제 2 증폭부(4)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RF방송신호와 외부의 다른 RF신호를 혼합하여 누설 동축케이블(6)로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널이나 른 같은 음역지역에서는 상기 누설 동축케이블(6)에서 누설되는 RF신호를 감지하여 원하는 채널의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방법은 각 지역방송국에서 전파되는 전파를 음영지역의 현장 주위에서 수신되는 전파로 중계하지만 대부분 극약전파 지역이기 때문에 이러한 중계로는 깨끗한 RF신호를 중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음영지역의 위치는 대부분 산간지방에 위치하여 극약전파를 수신하여 증폭기로 증폭한 후, 중계하므로써, 증폭기에서는 방송신호가 노이즈와 함께 증폭되어 RF방송신호가 방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눈, 비, 구름 등의 기후변화에 따라 수신전파가 큰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간과 주간에 대기의 성층권의 변화로 전파환경이 변화되어 야간에는 방송수신이 블가능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심지역은 각 방송의 수신 레벨의 차이가 많아 중계방송상태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지역의 방송국 또는 수신상태가 양호한 지역에서 수신된 다중 방송신호를 MBT(Multiple Broadcasting Transmission)을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위성 또는 광케이블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중계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라디오방송 중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의 특징은, 임의의 지역 방송국으로 부터 출력되는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제 1 방송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다중 채널 디지탈 방송신호를 다른 지역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중계하는 제 1 중계수단과; 상기 제1 중계수단으로부터 중계된 디지탈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2 방송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제 2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RF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한 후, 다른 외부의 RF신호와 혼합하여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로 방사하는 RF방사수단으로 구성됨에 있다. 더불어, 상기 제 2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3 방송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제 3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또 다른 지역으로 중계하는 광케이블로 구성되는 제2 중계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방송 신호 변환 수단은, 임의 지역의 방송국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1 MBT와; 상기 제 1 MBT에서 변환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상기 제1 중계수단의 위성으로 송신하는 전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방송 신호 변환 수단은, 임의 지역의 방송국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1 MBT와; 상기 제 1 MBT에서 출력되는 다중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다중화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중계수단의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다중화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방송 신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 중계수단의 위성을 통해 중계되는 디지탈 방송신호를 위성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2 MBT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방송 신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 중계수단의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탈방송신호에 상응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한 후, 역다중화하여 다중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임의 지역에서 전송되어온 다중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와 해당지역에서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지역의 다중 방송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각각 변환한 후, 각각 출력하는 제 2 MB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라디오방송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방송국 11, 15, 21, 24 : MBT
12 : 전송부 13 : 위성
14 : 수신부 16, 25 : IF처리부
17, 26 : 증폭부 18, 27 : 혼합부
19, 28 : 누설동축케이블 22 : 다중화부
23 : 역다중화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별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라디오방송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방송국(1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1 MBT(11)와, 제 1 MBT(11)에서 변환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위성안테나(ANT1)를 통해 위성(13)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2)와, 위성(13)을 통해 중계되는 방사되는 디지탈 방송신호를 위성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14)와, 수신부(14)에서 수신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2 MBT(15)와, 제 2 MBT(15)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는 IF처리부(16)가 추가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수신부(14)는 셋탑 박스(Set Top Box)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 추가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자.
먼저, A지역의 방송국(10)(여기서의 A지역은 서울이다)에서 출력되는 각 다중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는 제 1 MBT(11)로 출력된다.
제 1 MBT(11)는 방송국(10)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각각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한 후, 전송부(12)로 출력된다.
전송부(12)는 제 1 MBT(1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다중 방송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를 위성안테나(ANT1)를 통해 위성으로 방사한다.
위성(13)은 A지역(서울)의 방송국(10)에서 전송되는 디지탈 다중채널 방송신 호를 각 지역으로 중계하게 되고, 중계된 디지탈 방송신호는 각 지역에 설치된 위성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부(14) 즉, 셋탑박스에서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수신된 디지탈 방송신호는 제 2 MBT(15)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는 IF처리부(15)로 출력된다.
IF 처리부(16)는 제 2 MBT(15)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IF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IF신호를 다시 RF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17)로 출력된다.
증폭부(17)는 IF처리부(16)에서 출력되는 RF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한 후, 혼합부(18)로 출력되고, 혼합부(18)에서는 증폭부(17)에서 출력되는 RF신호와 외부의 다른 RF신호들과 혼합되어 누설동축케이블(19)로 방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설 동축 케이블(19)을 통해 누설되는 RF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채널의 라디오방송을 청취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의 실시예중 광 케이블과 MBT를 이용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보면, 방송국(20)으로부터의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1 MBT(21)와, 제 1 MBT(21)에서 출력되는 다중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다중화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다른 지역(B지역)으로 전송하는 다중화부(22)와,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탈방송신호에 상응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한 후, 역다중화하여 다중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역다중화부(23)와, A지역에서 전송되어온 다중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와 해당지역(B지역)에서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지역의 다중 방송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각각 변환한 후, IF처리부(25)로 출력하는 제 2 MBT(24)와, 제 2 MBT(24)에서 출력되는 각 채널에 대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또 다른 지역으로 전송하는 제 3 MBT(29)가 추가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나머지 구성요소 즉, IF처리부(25), 증폭부(26), 혼합부(27) 및 누설 동축케이블(28)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자.
A지역의 방송국(20)에서 출력되는 각 다중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는 제 1 MBT(21)로 출력된다.
제 1 MBT(21)는 방송국(20)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각각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한 후, 다중화부(22)로 출력된다.
다중화부(22)는 제 1 MBT(2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다중화한 후, 다중화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광신호는 다른 지역에 설치된 역다중화부(23)에서 수신한 후, 수신된 광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역 다중화된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제 2 MBT(24)로 출력한다.
제 2 MBT(24)는 역다중화부(23)에서 입력되는 다중 채널 디지탈 방송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아날로그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IF처리부(25) 및 제 3 MBT(29)로 각각 출력하게 된다.
IF 처리부(25)는 제 2 MBT(24)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IF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IF신호를 다시 RF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26)로 출력된다.
증폭부(26)는 IF처리부(25)에서 출력되는 RF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한 후, 혼합부(27)로 출력되고, 혼합부(27)에서는 증폭부(27)에서 출력되는 RF신호와 외부의 다른 RF신호들과 혼합되어 누설동축케이블(28)로 방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설 동축 케이블(28)을 통해 누설되는 RF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채널의 라디오방송을 청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 MBT(29)는 제 2 MBT(2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한 후, 광 케이블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중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서는 B지역에서 전송되는 A지역 및 B 지역의 다중 채널 방송을 중계받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MBT(21, 29)는 방송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화하여 다중으로 전송하며,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 다중화장치와 접속시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한 기능이외의 다른 기능으로는 광 케이블의 이상유무를 체크할 수 있는 루핑 테스트(Looping Test)기능, 테스트 톤(Test Tone)기능, 경보기능, 송수신 레벨 조정기능, 성능 감시기능 및 모니터 기능이 구비된다. 여기서, 모니터 기능은 다른 지역으로 중계되는 전파를 역 수신하여 RF신호의 송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는 각 지역의 방송국 또는 수신상태가 양호한 지역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MBT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위성통신을 통해 중계하고, 이렇게 중계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MBT장치에서 RF신호로 변환하여 전파를 방사시킴으로써, 깨끗한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지역의 방송국 또는 수신상태가 양호한 지역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MBT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중계하고, 이렇게 중계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MBT장치에서 RF신호로 변환하여 전파를 방사함과 동시에 다시 광케이블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중계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깨끗한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즉, MBT장치와 위성 또는 광케이블통신 중계방식으로 고속도로 등 중요시설 구간 전체를 다중방송을 함으로써, 어떠한 지역 및 장소에서든지 이용자에게 깨끗한 방송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다중 라디오 방송신호 중계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지역 방송국으로 부터 출력되는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제 1 방송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다중 채널 디지탈 방송신호를 다른 지역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중계하는 제 1 중계수단과;
    상기 제1 중계수단으로부터 중계된 디지탈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2 방송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제 2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RF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한 후, 다른 외부의 RF신호와 혼합하여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로 방사하는 RF방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다중 채널 방송신호를 디지탈 다중 채널 방송신호로 변환한 후, 또 다른 지역으로 중계하는 제 2 중계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계수단은 상기 제 2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3 방송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제 3 방송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또 다른 지역으로 중계하는 광케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라디오 방송신호 중계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신호 변환 수단은,
    임의 지역의 방송국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1 MBT와; 상기 제 1 MBT에서 변환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상기 제1 중계수단의 위성으로 송신하는 전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신호 변환 수단은,
    임의 지역의 방송국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1 MBT와; 상기 제 1 MBT에서 출력되는 다중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다중화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중계수단의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다중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 신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 중계수단의 위성을 통해 중계되는 디지탈 방송신호를 위성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제 2 MB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 신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 중계수단의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탈방송신호에 상응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한 후, 역다중화하여 다중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임의 지역에서 전송되어온 다중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와 해당지역에서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지역의 다중 방송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각각 변환한 후, 각각 출력하는 제 2 MB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KR2020000003484U 2000-02-10 2000-02-10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KR200193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484U KR200193114Y1 (ko) 2000-02-10 2000-02-10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484U KR200193114Y1 (ko) 2000-02-10 2000-02-10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14Y1 true KR200193114Y1 (ko) 2000-08-16

Family

ID=1964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484U KR200193114Y1 (ko) 2000-02-10 2000-02-10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816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fiber optic antenna interface
US20010031623A1 (en) Channel booster amplifier
ES2389570T3 (es) Distribución de señales de radiofrecuencia utilizando un sistema de cables de datos
KR200193114Y1 (ko) 다중 라디오 방송 중계장치
KR200404167Y1 (ko) 텔레비전 동축 분배망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인빌딩 초소형 중계장치
KR100635340B1 (ko) 디지탈 방식의 지하 재방송 중계 장치
KR100302180B1 (ko) 기지국내주파수변환중계장치
KR100736116B1 (ko) 지하철을 위한 지상파 디엠비 서비스 시스템
KR100690327B1 (ko) 건물내 지상파 수신 중계장치
KR20040084429A (ko) 위성 통신 시스템과 연동하는 신호 변환 중계 장치
KR20010065461A (ko) 다중분기형 광 중계장치
KR100636069B1 (ko) 대역분할을 이용한 에프엠 방송 재중계 방법 및 장치
KR200340071Y1 (ko) 방송신호 채널별 분리 증폭방식 다채널 지하 fm방송중계기
KR20050027439A (ko) 디지털 위성 방송용 중계 장치
KR20180107635A (ko) Fm 및 dmb 중계 장치
KR10065183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수신장치에 사용되는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365691Y1 (ko) 디지탈 방식의 지하 재방송 중계 장치
JP2006115014A (ja) 棟内catvシステム
KR200349166Y1 (ko) 양방향 무전 및 fm 신호 중계 장치
KR100285963B1 (ko) 음영지역용기지국
JPH05153595A (ja) 衛星放送受信システム
JPH04273625A (ja) Fm再放送システム
KR100601779B1 (ko) 양방향 무전 및 fm 신호 중계 장치
JPH0823294A (ja) 交通車輛内ラジオ再放送システム
KR20040027538A (ko) 방송위성 신호를 연장하는 차량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