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061Y1 -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061Y1
KR200193061Y1 KR2019960024446U KR19960024446U KR200193061Y1 KR 200193061 Y1 KR200193061 Y1 KR 200193061Y1 KR 2019960024446 U KR2019960024446 U KR 2019960024446U KR 19960024446 U KR19960024446 U KR 19960024446U KR 200193061 Y1 KR200193061 Y1 KR 200193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raw material
liner
crasher
slid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0967U (ko
Inventor
황준영
임기성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24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0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061Y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원료(석탄)를 파쇄하는 크라셔의 로터슈트내에 설치되는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투입되는 원료가 라이너의 측면에 붙어서 굳게되는 케이킹(Caking)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원료의 크랴셔 투입공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파쇄하는 크라셔의 햄머가 균일하게 마모되는 한편, 이에따라 크라셔 햄머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케이킹된 원료를 제가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성도 향상되는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요지는, 크라셔(100)의 일측으로 설치된 파워실린더(131) 로드(132)의 단부에는 지지아암(134)이 회전작동토록 연설되어 그 양단에는 상하이동 가능토록 슬라이딩바아(136)가 연설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아(136)에는 로터슈트(110)상에 설치된 베어링(140)에 체결되는 지지축(141)과 결합된 연결대(139)를 개재하여 좌우 유동토록 라이너(133)가 설치되는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130)가 크라셔 로터슈트(110)의 내측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 장치
일반적으로 알려진 크라셔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라셔(1)의 내측에는 평벨트(2)로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회전축(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아암(4)이 순차로 설치되고, 상기 아암(4)의 단부에는 투입되는 원료(5)를 파쇄시키는 햄머(6)가 결합 고정되며, 상기 크라셔(1)의 상측에는 이송벨트(7)로서 이송되는 원료(5)가 투입되는 로터슈트(8)가 설치되고, 상기 로터슈트(8)의 내측면에 다수의 라이너(9)가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크라셔(1)에 있어서는 이송벨트(7)로서 이송된 원료(5)가 이송벨트(7)의 단부에 맞추어 위치되는 크라셔(1) 로터슈트(8)의 내측으로 투입되고, 이와 동시에 그하측에서 회전작동되는 햄머(7)에 의해 상기 원료(5)는 파쇄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크라셔(1)에 있어서는, 제1도내지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료(5)가 계속적으로 로터슈트(8)내에 투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로터슈트(8)의 내측에 고정된 라이너(9) 내측면에 투입되는 원료(5)가 붙게되어 점차 그 면적이 확대되어 굳게 되는 케이킹(Caking)현상이 발생되면, 이송벨트(7)에서부터 투입되는 원료(5)가 크라셔(1)내의 중앙에만 투입되게 된다.
따라서, 제4(b)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라셔(1)의 중앙에 설치된 햄머(6)만 더 많이 마모되고, 제4(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위치한 햄머(6)는 덜 마모됨으로써, 크라셔 햄머(6)의 설치위치에 따른 불균일한 마모가 발생되어 크라셔 햄머(6)의 유지보수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투입되는 원료(5)의 파쇄작업이 불균일하게 되어 크라셔(1)의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케이킹된 원료(5)를 제거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별도의 기구를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게 되고, 크라셔의 가동중단으로 가동율이 저하되는 한편, 크라셔(1)의 가동상태에서 상기 원료(5)를 제거할 때에는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내측에는 평벨트로서 회전가능토록 회전축이 연설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아암이 순차로 설치되며, 상기 아암의 상단부에는 원료를 파쇄시키는 햄머가 일체로 결합 고정되고, 상측에는 원료가 투입되는 로터슈트가 설치되어 그 일측으로 휘더를 개재하여 이송벨트가 연설되는 크라셔에 있어서, 상기 크라셔의 일측에는 베이스모터와 연결된 파위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에는 회전작동토록 지지아암이 연설되고, 상기 지지아암의 양단에는 고정브라켓트를 개재하여 슬라이딩바아를 상하이동토록 연결대가 연설되며, 슬라이딩바아를 지지하는 홀더가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바아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연결대가 순차로 설치되며, 상기 로터슈트상에 설치된 베어링에 체결되는 지지축과 상,하측 모서리가,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너가 각각 연설되는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가 상기 로터슈트의 내측으로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크라셔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 부분 절개도.
제3도는 종래 크라셔내에 투입되는 원료가 라이너의 측면상에 응고된 상태를 도시한 제1도의 ‘A-A’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종래 크라셔 햄머의 설치위치에 따른 마모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고안인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인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크라셔 102 : 회전축
103 : 아암 104 : 햄머
105 : 이송벨트 110 : 로터슈트
130 :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 131 : 파워실린더
133 : 라이너 134 : 지지아암
135 : 고정브라켓트 136 : 슬라이딩바아
137,139 : 연결대 138 : 홀더
141 : 지지축
본 고안은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원료인 석탄을 파쇄하는 크라셔에 있어서, 상기 크라셔의 상측 로터슈트내에 설치되는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크라셔의 일측으로 설치된 파위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는 지지아암이 회전작동토록 연설되어 그 양단에는 상하이동 가능토록 슬라이딩바아가 연설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아에는 로터슈트상에 설치된 베어링에 체결되는 지지축과 결합된 연결대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축의 내측단부에 좌우 유동토록 라이너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파워 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시 상기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의 라이너가 좌우 유동토록 되고, 이로 인하여 투입되는 원료가 라이너의 측면에 붙어서 굳게되는 케이킹(Caking)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크라셔의 내측으로 투입되는 원료의 투입공간이 균일하게 되어 원료를 파쇄토록 하는 크라셔의 햄머가 균일하게 마모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한편, 균일한 원료 파쇄작업으로 크라셔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고안인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제7도는 본 고안인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크라셔(100)의 내측에는 베이스모터로서 회전작동되는 평벨트로서 회전되는 회전축(102)이 연설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02)의 길이방향에는 다수의 아암(103)이 순차로 설치되고, 상기 아암(103)의 상단부에는 투입되는 원료(200)를 파쇄토록 하는 햄머(104)가 일체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햄머(104)의 상부 방향으로 크라셔(100)의 상부에는 휘더(101)를 개재하여 이송벨트(105)로서 이송되는 원료(200)가 투입되는 로터슈트(110)가 설치된다.
상기 크라셔(100)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모터의 회전작동시 일체로 작동토록 연결된 파워실린더(131)가 설치되고, 상기 파워실린더 로드(132)의 단부에는 회전작동토록 지지아암(134)이 연설되며, 상기 지지아암(134)의 양단에는 연결대(137)가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137)는 고정브라켓트(135)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슬라이딩바아(136)를 상하이동토록 연설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아(136)를 지지하는 홀더(138)가 슬라이딩바아(137)의 상측으로 로터슈트(110)상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바아(136)에는 수직방항으로 다수의 연결대(139)가 순차로 설치된다.
상기 연결대(139)의 단부에는 로터슈트(110)상에 설치된 베어링(140)과 회전 가능토록 체결된 지지축(141)의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141)의 단부에는 상호 긴밀하게 밀착토록 상,하측 모서리(142′)(142″)가,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너(133)가 각각 연설되는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130)가 상기 로터슈트(110)의 내측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로터슈트(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라이너(133)와 로터슈트(110)사이에 원료(200)의 끼임을 방지토록 갭(14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소의 원료(200)인 석탄이 이송벨트(105)로서 이송되면, 상기 크라셔(100)의 상부에 설치된 로터슈터(110)를 통하여 크라셔(100)의 내측으로 투입되고, 투입된 원료(200)는 크라셔(100)에 의해 파쇄되어 보다 사용이 용이한 원료(200)로 된다.
이때, 상기 크라셔(100)의 원료(200) 파쇄작업은, 베이스모터로서 회전되는 평벨트와 연설된 회전축(102)이 회전작동되면, 상기 회전축(10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아암(103)이 일체로 회전작동되며, 이에따라 상기 아암(103)의 단부에 순차로 결합된 햄머(104)가 투입되는 원료(200)를 파쇄토록 한다.
또한, 상기 로터슈트(110)의 내측에는 투입되는 원료(200)가 라이너(133)상에 붙어서 굳게되는 케이킹현상을 방지토록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130)가 로터슈트(110)에 원료(200)의 끼임을 방지토록 갭(142)을 갖고 설치되는데, 상기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13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크라셔(100)의 일측으로 설치된 파워실린더(131)가 연결된 베이스모터의 작동이 중지되어 그 신호를 받아 전진하면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아암(134)은 회전작동되고, 상기 지지아암(134)의 양단에 결합된 연결대(137)는 고정브라켓트(135)을 개재하여 연설된 슬라이딩바아(136)를 일체로 상승시키고, 이와 반대로 상기 실린더(131)가 후진작동하면 이와 일체로 상기 슬라이딩바아(136)는 하강토록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바아(134)에는 다수의 연결대(139)가 결합되고 그 단부에는 베어링(140)으로서 회전가능토록 지지축(141)이 연설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바아(134)의 상,하작동시에는 상기 지지축(141)은 일체로 일정각도 회전 작동되고, 상기 지지축(141)의 내측으로 결합된 라이너(133)도 일체로 좌우 유동토록 되는 것이다.
이에더하여, 상기 라이너(133)의 상부모서리(142′)는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하부모서리(142″)는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라이너(133)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라이너(133)의 상,하측 모서리(142′)(142″)가 긴밀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크라셔(100)의 작동시, 즉 원료(200)투입시에는 상기 실린더(131)는 후진되어 라이너(133)는 상호 일체로 밀착되고, 반대로 원료(200)의 투입이 중지되면 라이너(133)는 상호 분리되면서 좌우 유동토록 된다.
계속해서, 상기 라이너(133)상에 투입된 원료(200)가 붙어서 굳게되는 케이킹현상으로 원료(200)의 잔분이 있게 되면, 상기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130)의 작동으로 그 잔분이 라이너(133)로 부터 이탈되어 상기 라이너(133)의 원료 케이킹현상이 미연에 방지토록 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투입되는 원료(200)가 라이너(133)상에 붙어서 응고되는 케이킹현상이 방지됨으로 인하여, 크라셔 햄머(104)의 균일한 파쇄작업이 수행되어 햄머(104)의 국부적인 마모가 방지되는 한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케이킹된 원료(200)를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미연에 차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에 의하면, 크라셔내에 투입되는 원료의 투입공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상기 원료를 파쇄하는 크라셔 햄머가 균일하게 마모토록 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크라셔 햄머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한편, 가일층 균일한 원료 파쇄작동으로 크라셔에 의한 작업성이 향상되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크라셔 햄머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연결된 파워실린더의 전후진작동으로 크라셔 로터슈트내에 설치된 라이너장치의 라이너가 각각 좌우 유동토록 됨으로 인하여, 크라셔내에 투입되는 원료의 투입공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상기 원료를 파쇄하는 크라셔 햄머가 균일하게 마모토록 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크라셔 햄머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한편, 가일층 균일한 원료 파쇄작동으로 크라셔에 의한 작업성이 향상되는 한편, 상기 케이킹된 원료를 제거하는 별도의 수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1)

  1. 내측에는 평벨트로서 회전가능토록 회전축(102)이 연설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아암(103)이 순차로 설치되며, 상기 아암(103)의 상단부에는 원료(200)를 파쇄시키는 햄머(104)가 일체로 결합 고정되고, 상측에는 원료(200)가 투입되는 로터슈트(110)가 설치되어 그 일측에는 휘더(101)를 개재하여 원료(200)를 이송하는 이송벨트(105)가 연설되는 크라셔(100)에 있어서, 상기 크라셔(100)의 일측에는 베이스모터와 연결된 파워실린더(131)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는 회전작동토록 지지아암(134)이 연설되고, 상기 지지아암(134)의 양단에는 고정브라켓트(135)를 개재하여 슬라이딩바아(136)를 상하이동토록 연결대(137)가 연설되며, 슬라이딩바아(136)를 지지하는 홀더(138)가 상기 슬라이딩바아(136)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바아(136)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연결대(139)가 순차로 설치되며, 상기 로터슈트(110)상에 설치된 베어링(140)에 체결된 지지축(141)과 상,하측 모서리(142′)(142″)가,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너(133)가 각각 연설되는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130)가 상기 로터슈트(110)의 내측으로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장치.
KR2019960024446U 1996-08-14 1996-08-14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 장치 KR200193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446U KR200193061Y1 (ko) 1996-08-14 1996-08-14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446U KR200193061Y1 (ko) 1996-08-14 1996-08-14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967U KR19980010967U (ko) 1998-05-25
KR200193061Y1 true KR200193061Y1 (ko) 2001-01-15

Family

ID=5397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446U KR200193061Y1 (ko) 1996-08-14 1996-08-14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0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967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3844A (en) Apparatus for shredding materials
US6260778B1 (en) Tub grinder with adjustable swing diameter hammer mill
AU739312B2 (en) A method for securing a die plate of a jaw crusher, and a jaw crusher
US4192471A (en) Crushing apparatus
KR200193061Y1 (ko) 크라셔의 브라인드형 라이너 장치
JP2764612B2 (ja) ローラミル
US4533088A (en) Frozen coal cracker
US3258211A (en) Crusher apparatus
JPS6323757A (ja) 肉破砕機のカツタ−対を自動的に調節する装置
US4177954A (en) Hammer-roll recycling plant
CA1297504C (en) Side swinging, twin-cutter overburden excavator
JP2019515793A (ja) 粉砕機
KR20040060023A (ko) 용선로용 래들의 슬래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2617827B2 (ja) 竪型粉砕機の粉砕ローラ補修方法および装置
KR200309069Y1 (ko) 용선로용 래들의 슬래그 제거장치
EP0216059B1 (en) Apparatus for crushing and washing ballast, sand and the like
CN214288411U (zh) 一种高速细碎对辊机
CN219765421U (zh) 一种可多次破碎的大块半成品破碎装置
CN218013249U (zh) 一种废弃混凝土再生混凝土装置
US3029563A (en) Guard for grinding wheel
CN214557355U (zh) 一种具有加砂机构的双组份全自动浇注机
CN216172569U (zh) 一种防溅料的颚式破碎机
CN211274932U (zh) 一种可以自动排出料头的直连式单轴金属切屑粉碎机
CN214262048U (zh) 一种具有修复功能的对辊机
CN110586240B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制砂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