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616Y1 - 전기 변색 필름 - Google Patents

전기 변색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616Y1
KR200192616Y1 KR2020000007551U KR20000007551U KR200192616Y1 KR 200192616 Y1 KR200192616 Y1 KR 200192616Y1 KR 2020000007551 U KR2020000007551 U KR 2020000007551U KR 20000007551 U KR20000007551 U KR 20000007551U KR 200192616 Y1 KR200192616 Y1 KR 200192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eposited
voltage
electrochromic film
m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지털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139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87586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지털글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지털글라스
Priority to KR2020000007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Landscapes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 은 글라스 필름에 전도성을 지닌 Indium-tin oxide 박막을 증착 시킨 ITO 필름 (1A,1B) 두 장 중 한 장 에는 환원형 발색 산화물인 MoO3(2)를 증착 시키고, 다른 한 장에는 역시 환원형 발색물질인 WO3(5) 증착 시킨 후 그 위 에 알카리 금속인 리튬계의 고체 전해질인 BLi-AL2O3(4)를 증착 시키고 두 장 사이에 전도성 고분자인 Polyaniline(3)넣고 고주파 압축 로울러 를 통과 시켜 전압을 가했을 시 투명에서 청색으로 변하게 되는 필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기변색필름을 유리면 에 부착시키고 사용자가 전압 조절기로 전압을 조절하여 환원과 산화력 을 조절함으로서 투명에서 연녹색 그리고 청색으로 색의 농도가 달라지므로 유리를 통하여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여름철에는 에너지 절감 효과도 있고, 자동차에 장착하여 사용 시 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퀘적한 운행을 할 수 있는 전기 에너지에 의한 변색 필름.

Description

전기 변색 필름{.}
본 고안은 환원발색 물질인 MoO3(2)와 WO3(5). 전도성 고분자인 Polyaniline(3) 그리고, 알칼리 금속계의 고체 전해질인 BLi-Al2O3(2)와 Polyaniline(3)의 환원작용 과 WO3(5)의 산화작용에 의해 투명했던 필름 이 청색으로 변색 됨으로 서 유리를 통하여 건물 내 또는 차량내부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색이 변색이 변색되는 필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압에 의해 변색되는 산화물과 전도성 고분자 그리고 고체전해질을 이용하여 필름으로 제작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유리면에 부착하여 사용 할 수 있는 전기변색필름으로서 종래에는 유리면 에 직접 산화물을 증착 하여 사용 함으로서 가공성에 문제점이 많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유리면 의 크기로 잘라서 부착 할 수 없도록 규격화되어 생산되었으므로 사용상에 애로점 이 많았다.
본 고안이 사용되는 전이금속 산화물인 MoO3(2)와 WO3(5)에 전도성인 Polyaniline(3)을 첨가하여 산화와 환원의 반복 응답속도 향상을 이루고자 하여 사용하였으나 산화된 상태의 Polyaniline(3)을 고주파 압축 로울러 에 넣고 일정한 박막 (0.5 마이크로 미터 이하)으로 부착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변색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변색필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변색 필름의 전기 연결을 하기위한 증착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1B: ITO 필름 2. MoO3
3. Polyniline 4. BLi-Al2O3
5. WO36. 접착제
7. 비닐막 8. 비증착 부분
본 고안의 전기 변색필름의 구성을 도면 제 1 도에서 제 3 도 까지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저항이 10 오옴에서 15 오옴 정도의 ITO 필름(1A1B)2 장을 준비하고 한 장에는 MoO3(2)를 스퍼터링 증착 방법으로 0.2∼0.25 마이크로 미터 정도의 두께로 증착 시키고, 다른 한 장에는 WO3(5)를 스퍼터링 방법으로 약 0.25 마이크로 미터 정도의 두께로 증착 시킨 다음 그 위 에 알카리 금속 이온을 지닌 리튬 계 의 BLi-Al2O3(4)를 0.3 마이크로 미터 의 두께로 증착 시켜 전해질 역활 을 하게 한 후 두 장 사이에 점액 상태 의 전도성 고분자인 Polyaniline (3)을 넣고 고주파압축 로울러 를 통과 시켜 전기 변색 산화물이 증착 된 두 장의 ITO필름 (1A.1B)을 결합시킨 후, WO3(5)가 증착 된 ITO 필름(1B) 외부 면에 유리에 유리 면에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제(6)를 도포 한 후 사용하기 전까지 마르지 않도록 비닐 막(7) 을 덮어 본 발명의 전기 변색필름 을 완성시킨다.
단, 본 고안의 전기 변색 필름은 사용자가 부착시키고자 하는 유리 면의 크기에 맞게 잘라서 부착시킨 후 전기를 연결하기 편하도록 양쪽 측면을 도면 제 3 도와 같이 약 5 mm 정도 비 증착 부분(8)을 남기고 산화물을 남기고 산화물을 증착 시켜 전기단자(9)로 ITO 필름 (1A.1B) 양쪽을 집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된 본 고안의 전기변색 필름은 사용자가 빛의 양을 조절하고픈 기존에 정착된 유리 면의 크기에 맞추어 비 증착 부분(8)을 포함시켜 가위로 오려서 접착제 (6)가 도포 된 부분의 비닐 막(7)을 떼어 낸 후 유리 면에 붙인 후 MoO3(2)쪽 에는 양극을 WO3(5) 쪽에는 음극을 집게형 전기단자(9)로 비 증착 부분(8)을 집어 전압조절기(10)로 전압을 조절 함으로서 유리를 통하여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는 전기 변색 필름이다.
본 고안은 건물이나 차량에 장착 된 유리를 통하여 들어오는 태양에너지를 조절하여 에너지 절약 및 생활에 편리를 가져올 수 있으며, 표시소자 및 정보의 기록 전달 매체로 활용도 가능한 전기 변색 필름이다.

Claims (2)

  1. 전도성을 지닌 두 장의 ITO(1A.1B)중 한 장(1A)에는MoO3(2)를 0.2 ∼0.25마이크로 미터의 두께로 증착 시키고, 다른 한 장(1B)에는 WO3(5)를 약 0.25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로 증착 시킨 다음 그 위에 고체 전해질인 BLi-Al2O3(4) 약 0.3 마이크로 미터 증착 시킨 후 두 장사이에는 고분자 전도체인 Polyaniline(3)을 도포 한 후 고주파 압축 로울러를 통과시켜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변색 필름.
  2. 제 1 항 있어서, 두 장의 ITO 필름(1A.1B)의 양쪽 측면에는 비증착부분(8)을 남겨두고 MoO3(2), WO3(5)과 고체전해질인 BLi-Al2O3(4)그리고 Polyaniline(3)을 증착 시켜 사용자가 임의대로 오려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 필름.
KR2020000007551U 2000-03-07 2000-03-16 전기 변색 필름 KR200192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51U KR200192616Y1 (ko) 2000-03-07 2000-03-16 전기 변색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391A KR20010087586A (ko) 2000-03-07 2000-03-07 전기 변색 필름
KR2020000007551U KR200192616Y1 (ko) 2000-03-07 2000-03-16 전기 변색 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391A Division KR20010087586A (ko) 2000-03-07 2000-03-07 전기 변색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616Y1 true KR200192616Y1 (ko) 2000-08-16

Family

ID=2663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551U KR200192616Y1 (ko) 2000-03-07 2000-03-16 전기 변색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54419A1 (en) Method of processing an electrochemical device
CN107765490A (zh) 一种柔性电致变色隔热智能窗膜及其制备工艺
US6798556B2 (en) Locally-switched reversible electrodeposition optical modulator
KR20110126125A (ko)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한 착색/변색을 갖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장치
CN103771724A (zh) 全固态薄膜电致变色玻璃及其制备方法
KR20010043668A (ko) 다양한 광학적 및/또는 에너지 특성을 가진 전기 제어시스템과 같은 전기화학장치
JPH0692695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窓ガラス
CN202953940U (zh) 全固态薄膜电致变色玻璃
CN109613781A (zh) 含无机透明导电膜的全无机固态电致变色模组
CN209198827U (zh) 一种加热电致变色玻璃
CN110032018B (zh) 铝锂合金固态离子传导层及其制备方法与电致变色器件
KR20110100202A (ko) 전기활성 매체로부터의 전하의 전달이 개선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장치
TW201944150A (zh) 改良型電控全固態智慧調光產品及其玻璃窗
TWI604254B (zh) 電致變色裝置之製備方法
WO2024055644A1 (zh) 一种导电基底、可调光器件及后视镜
CN207867188U (zh) 一种柔性电致变色隔热智能窗膜
CN107315299A (zh) 一种无机电致变色电荷存储电极及其制备方法
CN114563896A (zh) 一种多色彩无机全固态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KR200192616Y1 (ko) 전기 변색 필름
CN211149149U (zh) 电致变色玻璃和电子设备
US20210088865A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9417491U (zh) 一种全无机固态电致变色器件用透明导电膜结构
KR20010087586A (ko) 전기 변색 필름
CN113189822A (zh) 一种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JP2008107587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