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471Y1 - 손톱 깎기 - Google Patents

손톱 깎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471Y1
KR200192471Y1 KR2020000002711U KR20000002711U KR200192471Y1 KR 200192471 Y1 KR200192471 Y1 KR 200192471Y1 KR 2020000002711 U KR2020000002711 U KR 2020000002711U KR 20000002711 U KR20000002711 U KR 20000002711U KR 200192471 Y1 KR200192471 Y1 KR 200192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blade
cut
le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홍
이승배
Original Assignee
정석홍
이승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홍, 이승배 filed Critical 정석홍
Priority to KR2020000002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손톱이 절단될 때에 그 손톱의 곡면을 통해 고르게 힘이 가해지는 구조로 개량한 것이다.
구성 : 본 고안은 윗날과 아랫날이 레버의 작동에 연동하여 서로 접하면서 손톱을 절단하게 되어 있는 손톱 깎기에 있어서, 상기 윗날과 아랫날이 맞닿는 날끝을 손톱의 상하 방향 에 따른 곡면과 부합되도록 윗날과 아랫날의 중앙부가 높고 양단부는 낮게 위치하는 원호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효과 : 본 고안은 레버에 의해 연동하는 윗날과 아랫날이 상호 맞닿아진 형태가 손톱의 평면상 곡률과 부합하게 됨으로써 날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힘을 받게 되어 절단될 때 까지 부자유스런 느낌을 받지 않게 되고, 또한 절단된 손톱이 주위로 튕겨 나가게 되는 일도 생기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손톱 깎기{Neil clipper}
본 고안은 손톱 깎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톱의 곡률에 일치하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만곡된 칼날을 갖춘 손톱 깎기에 관한 것이다.
신체 위생도구의 하나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손톱 깎기는 상하로 대칭 배치된 칼날 사이로 손톱을 위치시킨 다음 레버를 작동시켜 손톱이 절단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손톱을 깎을 때에 손톱이 사방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시일드하여 주거나 또는 손톱 미용에 적합하도록 절단날의 형상을 변화 시키는 등으로 발전하여 오고 있으나, 기본적인 구성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후단부가 일체로 접합된 상부 생크(2)와 하부 생크(4)의 자유단부에 손톱의 끝부분 만곡 형상에 부합되도록 중간부가 뒤로 물러나고 양단부가 앞으로 나오도록 수평 방향으로 오목하게 원호상으로 형성된 윗날(6)과 아랫날(6)(8)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윗날(6)과 아랫날(8)의 바로 뒷쪽에는 지레축(10)이 직교방향에 따라 삽통되어 레버(12)의 베이스로 핀(14)에 의해 연결되게 한 구조로 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레버(12)는 베이스에 캠(16)을 일체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유단이 하측방으로 내리 눌려지면 상기 캠(16)은 윗날(6)을 내리 눌러서 아랫날(8)과 접촉되게 함으로써 손톱이 절단되게 작동한다. 이 때 상기 윗날(6)과 아랫날(8)은 손톱의 끝부분 윤곽과 어울릴 수 있게 만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절단되어야 할 부위만 양 날(6)(8) 사이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손톱 깎기에서 상기 윗날(6)과 아랫날(8)은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즉, 손톱을 깎으려고 레버(12)를 내리 누를 때에 윗날(6)과 아랫날(8) 사이로 놓여지는 손톱(N)은 둥글게 만곡된 부분의 중앙부위에서 최초의 접촉이 이루어져 그 부분을 통해 가장 큰 힘을 받게 되고, 이와 동시에 윗날(6)과 아랫날(8)이 직선상으로 맞물려짐에 따라 손톱의 끝 부분에서 중간부가 눌려져 편평하게 변형되면서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느낌을 주게 됨은 물론, 절단된 손톱이 원래의 만곡형태로 복원되면서 주변으로 튕겨 나가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은 종래의 손톱 깎기가 윗날과 아랫날이 직선상으로 맞닿게 형성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톱이 절단될 때에 그 손톱의 곡면을 통해 고르게 힘이 가해지는 구조로 개량하여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함에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윗날과 아랫날의 중간부가 오목한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레버의 작동에 연동하여 서로 접하면서 원호상의 손톱 끝부분을 절단하게 되어 있는 손톱 깎기에 있어서, 상기 윗날과 아랫날이 맞닿는 날끝을 손톱의 수직 방향 곡률에 부합되도록 윗날과 아랫날의 중앙부가 높고 양단부는 낮게 위치하는 원호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레버에 의해 윗날과 아랫날이 연동하여 상호 맞닿아졌을 때에 손톱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곡률과 부합하게 되어 손톱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힘을 받게 되므로 절단될 때 변형이 생기지 않아 부자유스런 느낌을 받지 않게 되고, 또한 절단된 손톱이 주위로 튕겨 나가게 되는 일도 생기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손톱 깎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 구성을 상세히 묘사하는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손톱 깎기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상부 생크 24 : 하부 생크
26 : 윗날 28 : 아랫날
30 : 지레축 32 : 레버
34 : 핀 36 : 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손톱 깎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련된 손톱 깎기의 구조는 종래의 손톱 깎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후단부가 일체로 접합된 상부 생크(22)와 하부 생크(24)의 자유단부는 각각 윗날(26)과 아랫날(28)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윗날(26)과 아랫날(28)은 손톱의 끝부분 만곡 형상에 부합되도록 중간부가 뒤로 물러나고 양단부가 앞으로 나오도록 수평방향으로 오목하게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윗날(26)과 아랫날(28)의 바로 뒷쪽에는 지레축(30)이 수직으로 삽통되어서 레버(32)의 베이스에 핀(34)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관련된 손톱 깎기는 상기와 같이 종래의 손톱 깎기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추고 있으나, 상기 윗날(26)과 아랫날(28)이 수평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는 외에도 그 양단부가 중간부에 비해 낮게 위치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 특징을 더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양 날(26)(28)이 수직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손톱(N)은 절단 시에 상기 윗날(26)과 아랫날(28)의 전체 면에 걸쳐 접촉되어지고, 따라서 이들 날(26)(28)을 통해 가해지는 힘은 손톱(N)의 전체 면에 걸쳐 동일한 힘으로 고르게 작용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손톱(N)이 절단될 때에 아무런 느낌을 받지 않게 되고, 또 절단되는 손톱(N)은 만곡형태 그대로 절단되는 것이므로 주변으로 튕겨 나가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은 미리 평판상의 금속 소재에서 상부 생크(22)와 하부 생크(24)의 형태에 맞춰 블랭킹 프레스하여 각각 윗날(26)과 아랫날(28)이 형성되게 한 다음, 그 반대쪽을 스포트 용접 또는 리베팅 접합하여 일체화 시킨 다음 상기 윗날(26)과 아랫날(28)이 맞물려진 상태에서 커터로 연삭하여 날끝을 다듬는 순서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커터는 윗날(26)과 아랫날(28)의 수직 방향 곡률에 맞춰 선회 이동함으로써 소망하는 날끝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톱을 직접적으로 절단하여 주는 윗날과 아랫날이 수평 방향으로의 만곡은 물론 수직 방향으로도 만곡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톱 윤곽에 잘 부합되어 절단 시에 이질감을 느끼는 일이 없고, 또 절단된 손톱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일도 없어 대단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윗날과 아랫날이 레버의 작동에 연동하여 서로 접하면서 손톱을 절단하게 되어 있는 손톱 깎기에 있어서,
    손톱의 수평 방향 만곡에 부합되도록 원호상으로 형성된 상기 윗날(26)과 아랫날(28)이 상기 손톱의 상하 방향에 따른 곡면에 부합되도록 양 날(26)(28)의 중앙부는 높고 양단부가 낮게 위치하는 원호상으로 만곡 형성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깎기.
KR2020000002711U 2000-02-01 2000-02-01 손톱 깎기 KR200192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711U KR200192471Y1 (ko) 2000-02-01 2000-02-01 손톱 깎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711U KR200192471Y1 (ko) 2000-02-01 2000-02-01 손톱 깎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471Y1 true KR200192471Y1 (ko) 2000-08-16

Family

ID=1964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711U KR200192471Y1 (ko) 2000-02-01 2000-02-01 손톱 깎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4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2747A (en) Nail clipper with nail positioning device
TW526076B (en) Multiple purpose golf tool
US20020096031A1 (en) Manual paper cutter
KR19980701277A (ko) 절삭 삽입체용 클램핑 배열체(Clamping Arrangement for Cutting Inserts)
US6705014B2 (en) Nail clipper
US20030140742A1 (en) Transversely retained multiple slip- joint pliers
KR200192471Y1 (ko) 손톱 깎기
JP2023515647A (ja) 爪切り
JPS5930657B2 (ja) 手持ガラス切り
US20010007214A1 (en) Force-saving pliers
US20020134395A1 (en) Nail clipper with viewing window
US4674669A (en) Framing tool
CN212878139U (zh) 一种指甲刀
US20030066136A1 (en) Pliers for compression connecting a connector for a telephone line
JPH1085032A (ja) 爪切り具
KR200388723Y1 (ko) 손톱깍기
JPH06277141A (ja) 皮むき具における被切断物案内構造
JPH0530643Y2 (ko)
JPS6110623Y2 (ko)
JP3029240U (ja) 多機能型つめ切り
KR200225029Y1 (ko) 손톱깎이
JP3030966U (ja) 爪 切
KR200268248Y1 (ko) 가위
KR200190416Y1 (ko) 커팅 플라이어
KR200209920Y1 (ko) 절단물 비산방지 손톱깎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