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631Y1 - 세척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631Y1
KR200191631Y1 KR2019980002208U KR19980002208U KR200191631Y1 KR 200191631 Y1 KR200191631 Y1 KR 200191631Y1 KR 2019980002208 U KR2019980002208 U KR 2019980002208U KR 19980002208 U KR19980002208 U KR 19980002208U KR 200191631 Y1 KR200191631 Y1 KR 200191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pipe
washing
water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361U (ko
Inventor
박재명
Original Assignee
박재영
동진기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영, 동진기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재영
Priority to KR2019980002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63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3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3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파슬리, 시금치등 음식용 야채류 및 과일류를 자동으로 씻는 야채 과일 세척기의 세척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선 출원된 야채 과일 세척기 사용시 세척수의 사용량을 저감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다 적은 양의 세척수로서 보다 많은양의 과일 야채등을 보다 청결하게 씻어내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세척수 여과장치(300)는 세척수펌프(310)와 여과통(320)으로 구성되는데 배수관(31)을 연결하여 배수하고자 하는 세척수를 여과통(320)에 압출하도록 세척수펌프(310)를 설치한다.
상기 여과통(320)은 도4에 도시된바처럼 대략 마름모꼴을 취하는 통상의 몸통체(321)를 갖고 몸통체(321)의 상부 일측으로 압출관(322)에 의해 세척수펌프(310)와 배관 연결되어 있고 몸통체(321)의 상부 중앙에 배수관부(3)의 오버드레인파이프(32)이 배관 연결되는데 오버드레인파이프(32)의 하단부는 몸통체(321) 깊숙히 내려와 있으며 몸통체(321)내에 있는 오버드레인파이프(32)에 복수개의 감압(減壓)구멍(32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체(321)는 상기된바처럼 대략 마름모꼴을 한 원통상을 취하는데 상단부 조금아래측이 가장 긴 장경을 갖고 상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조금씩 작아지며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작아져 몸통체(321)의 하단부 중앙에 소직경의 오물배출관(323)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300)의 여과통(320)이 과일 야채 세척기의 순환관부(2)에 설치되면 세척수를 순환시키면서 과일 또는 야채를 세척하는 도중에 세척수에 포함되어 있는 돌이나 흙등 오물(D)을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는 상기 배수관부(3)에 설치한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여과통(320)에 의하여 여과 제거하면서 세척수를 순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척수 여과장치
본 고안은 상기, 파슬리, 시금치등 음식용 야채류 및 과일류를 자동으로 씻는 야채 과일 세척기의 세척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음식점 구내식당등 대량의 야채 및 과일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식당종업원등이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상치, 배추, 무, 파슬리, 시금치 및 사과, 복숭아, 포도등을 세척하였는데 이 야채 및 과일 세척 작업에 많은 인원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에 고임금 시대인 최근의 실정으로 볼 때, 야채세척에 소요되는 인건비가 음식가격의 상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볼 수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본원 고안에 선행하여 야채 과일 세척기를 창안하고 선출원(1997년 특허출원 제 51603 호)하였는데 선 출원에 따른 야채 과일 세척기는 기계장치에 의하여 야채 및 과일을 자동으로 씻어주도록 하므로서, 야채 및 과일 세척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선 출원된 야채 과일 세척기는 도1에 도시된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인데, 야채 및 과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씻어주는 것으로, 상부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깔대기 형태를 취한 통상의 물탱크(1)와 물탱크(1) 내측공간에 조립된 상부측이 개방된 대략 원통형상의 세척탱크(2)와 물탱크(1)내에 있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부(3) 그리고 물탱크(1)와 세척탱크(2)내에 있는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세척수 순환관부(4)로 구성되는데 상기 물탱크(1)의 저면 깔대기의 꼭지부분에 배수구(1h)가 형성되고, 물탱크(1)의 내측 일정 높이에 수면감지센서(S)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탱크(2)는 양측면판(22, 22)과 몸통판(33)의 중앙 즉 탱크(2)의 저부측에 다수개의 타공 구조로 된 물유통구(22h, 23h)가 형성되며, 세척탱크(2)의 몸통판(23)의 일측에 노즐조립구(2h)가 형성되어 세척탱크(2)의 양측면판(22, 22)의 외측면에 물유통구(22h) 를 가운데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세워진 판상으로 된 두 개의 물흐름막이판(221, 22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부(3)는 물탱크(1)의 배수구(1h)에 탱크 밑으로 배수관(31)을 조립하여 배수관(31)에는 관을 개폐하는 배수용 자동밸브(31B)를 설치하고, 배수관(31)에 형성된 배수용 자동밸브(31B)의 타측은 물탱크(1)의 상부측에 관통시켜 오버드레인 파이프(32)를 배관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세척수 순환관부(4)는 물펌프인 순환펌프(41)를 설치하고, 순환펌프(41)와 물탱크(1)를 연결하는 흡수파이프(42)를 배관하며 순환펌프(41)는 흡수파이프(42)를 통해 물탱크(1)내에 있는 세척수를 뽑아내어 급수파이프(43)를 통하여 세척탱크(2)로 다시 배출하도록 하여 세척수를 순환하도록 하며, 상기 흡수파이프(42)는 파이프 어느 부분에서 파이프를 분지 배관하여 원수파이프(421)를 상수도관과 연결하도록 하며, 원수파이프(421)에 원수공급 자동밸브(421B)를 설치하여 상수도로부터 물을 탱크(1)에 공급함에 있어 차단과 공급을 제어하도록 하며 세척탱크(2) 상측내로 형성된 급수파이프(43)의 자유단부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급수노즐(44)이 형성되어 원수공급 자동밸브(421B)를 조작 원수파이프(421)를 통해 수돗물(원수)을 물탱크(1)와 세척탱크(2)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일정양의 세척수가 공급되면 수면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 원수공급 자동밸브(421B)로 하여금 원수파이프(421)를 폐쇄시키며 이때 씻고자 하는 야채를 세척탱크(2)에 넣고서 세척수 순환관부(4)의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세척수를 물탱크(1)로부터 뽑아내어 물탱크(2)의 상부측에 형성된 급수노즐(44)에 의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여 세척통(2)내에 야채 및 과일이 섞여 있는 세척수를 세척통내에서 선회하도록 하여 야채 및 과일을 씻고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순환펌프의 작동을 멈추고 배수관부(3)의 배수관(31)의 배수용 자동밸브(31B)를 작동시켜 세척수 및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선 출원된 야채 과일 세척기는 일정량의 씻고자 하는 과일이며 야채를 세척탱크(2)내에 넣고서 배수용자동밸브(31B)를 배수관(31)을 밀봉한다음 물탱크(1)의 세척탱크내에 세척수를 주입하여 세척수를 순환관부(4)에 의해 순환시키어 세척하면 과일이나 야채에 묻어 있는 흙이나 기타 오물이 세척수에 오물이 다량 혼입되면 자동밸브(31B)로 배수관(31)을 개방하여 사용된 세척수를 모두 배출하고 깨끗한 세척수를 다시 주입하여 과일 및 야채를 세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선 출원된 야채 과일 세척기로 과일 등을 씻을 때 세척수를 다량 사용하여야 야채등을 깨끗하게 씻어낼 수 있고 세척수를 아끼려다 보면 야채등을 청결하게 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바와 같은 선출원된 야채 과일 세척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창안되었는데 본 고안의 목적은 선 출원된 야채 과일 세척기 사용시 세척수의 사용량을 저감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다 적은 양의 세척수로서 보다 많은양의 과일 야채등을 보다 청결하게 씻어내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1은 과일 야채 세척기의 측단면도,
도2는 과일 야채 세척기의 배수관부(3)에 본 고안의 여과장치가 설치된 측단 면도,
도3은 과일 야채 세척기의 순환관부(4)에 본 고안의 여과장치가 설치된 측단 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통의 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통의 작동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배수관부 4 : 순환관부
32 : 오버드레인파이프 41 : 순환펌프
43 : 급수파이프 300 : 여과장치
310 : 세척수펌프 321 : 몸통체
322 : 압출관 323 : 오물배출관
32h, 43h : 감압구멍 D : 오물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300)는 도2에 도시된바처럼 선 출원된 야채 과일 세척기에 형성된 배수관부(3)의 배수관(31)의 배수용자동밸브(31B)의 직하단에 연결 설치되거나 도3에 도시된바처럼 순환관부(4)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를 배수관부(3)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세척수 여과장치(300)는 세척수펌프(310)와 여과통(320)으로 구성되는데 배수관(31)을 연결하여 배수하고자 하는 세척수를 여과통(320)에 압출하도록 세척수펌프(310)를 설치한다.
상기 여과통(320)은 도4에 도시된바처럼 대략 마름모꼴을 취하는 통상의 몸통체(321)를 갖고 몸통체(321)의 상부 일측으로 압출관(322)에 의해 세척수펌프(310)와 배관 연결되어 있고 몸통체(321)의 상부 중앙에 배수관부(3)의 오버드레인파이프(32)이 배관 연결되는데 오버드레인파이프(32)의 하단부는 몸통체(321) 깊숙히 내려와 있으며 몸통체(321)내에 있는 오버드레인파이프(32)에 복수개의 감압(減壓)구멍(32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체(321)는 상기된바처럼 대략 마름모꼴을 한 원통상을 취하는데 상단부 조금아래측이 가장 긴 장경을 갖고 상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조금씩 작아지며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작아져 몸통체(321)의 하단부 중앙에 소직경의 오물배출관(323)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세척수를 순환관부(4)에 의해 순환시켜 세척탱크(2)내에서 야채나 과일을 세척하고 세척수에 흙이나 돌등 오물이 다량 혼입되면 배수용 자동밸브(31B)를 작동시켜 배수관(31)을 개방하고 본 고안의 세척수펌프(310)를 작동시키어 세척탱크(2)내에 있는 사용된 세척수를 뽑아내어 압출관(322)을 통하여 여과통(320)으로 압출시키는데 상기 압출관(322)의 단부가 몸통체(321)의 내측대랑 평행되게 형성되므로 압출관(322)에서 뿜어나오는 세척수는 도5에 도시된바와 같이 나선상으로 소용돌이를 치면서 여과통(320)의 내측 공간에 흐르게 된다.
이와같이 세척수가 몸통체(321)내에서 소용돌이를 치게 되면 세척수가 원심력을 받게 되는데 세척수내에 혼입된 돌등의 오물(D)은 고비중(高比重) 물질이므로 원심력이 덜 미치게 되며 이에 따라 소용돌이의 중앙 부근에 모이게 되며, 그 중량 때문에 중력 방향으로 중력을 받아 여과통(300)의 하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약간의 세척수와 함께 오물배출관(323)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므로서 세척수에 혼입된 오물(D)이 여과되며, 대부분의 여과된 세척수는 원심력을 강하게 받고 오물배출관(323)의 직경이 소직경이므로 소용돌이 치는 세척수는 여과통(320)내에서 전체적으로 증압되므로 오버드레인파이프(32)로 진입하여 결국 세척탱크(2) 또는 물탱크(1)내로 재순환되는 것인데 오물(D)이 일부 제거되어 오버드레인파이프(32)로 진입되는 세척수는 상당한 압력을 갖고 있어 오물(D)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는 수가 있는데 이렇게 오버드레인파이프(32)에 가압 진입된 세척수는 감압구멍(32h)에 의하여 감압되고 이에따라 오물(D)이 상승력보다 중력이 더 커지게 되어 오버드레인파이프(32)내로 진입 못하고 여과통(320)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버드레인파이프(32)를 통해 물탱크(1)내로 재순환되는 세척수는 더욱 여과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300)를 순환관부(4)에 설치한 경우는 도3에 도시된바처럼 상기 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세척수펌프(310)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순환관부(4)에 형성된 순환펌프(41)에 여과통(320)을 연결하는 압출관(322)을 배관하고 순환관부(4)의 급수파이프(43)에 여과통(320) 상부 중앙을 관통하여 깊숙히 내려 형성하도록 하며, 이 급수파이프(43)의 하단에 복수개의 감압구멍(43h)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300)의 여과통(320)이 과일 야채 세척기의 순환관부(2)에 설치되면 세척수를 순환시키면서 과일 또는 야채를 세척하는 도중에 세척수에 포함되어 있는 돌이나 흙등 오물(D)을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는 상기 배수관부(3)에 설치한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여과통(320)에 의하여 여과 제거하면서 세척수를 순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는 선 출원된 과일 세척기에 설치되어 과일 또는 야채를 세척하고 난 사용된 세척수를 전부 버리지 않고 사용된 세척수에 포함되어 있는 돌이나 흙등 무거운 오물을 여과(제거)하고 여과된 세척수를 재사용하게 되므로 그만큼 물소비를 줄이게 되어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인 장치라 할 것이고,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는 기타 걸름필터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극히 효율적이며 필터에 비하여 극히 진보적인 고안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여과장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바와 같은 과일 야채 세척기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여과하는 것만을 보호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기타 자동세탁기, 그릇세척기, 용기세척기등 세척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의복, 그릇, 용기등을 세척할 때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을 여과하도록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 여과장치를 설치할 수 있음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

  1. 세척탱크(2)에 세척수를 충진시키고 야채 과일을 담그어 세척수를 순환, 고압분사하여 야채나 과일을 세척하는 야채 과일 세척기에 있어서, 세척탱크(2) 하부측으로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부(3)의 배수관(31)에 형성된 배수용자동밸브(31B) 직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척수펌프(310)와 여과통(320)으로 구성되며, 세척수펌프(310)는 세척탱크(2)에 담겨 있는 사용된 세척수를 압출관(322)를 통하여 여과통(320)으로 압출하는 것이고, 여과통(320)은 상측에 치우쳐 최장경의 직경을 갖는 대략 마름모꼴 형태의 통상의 몸통체(321)와 몸통체(321)의 상단 중앙을 관통하여 오버드레인파이프(32)의 하단부가 몸통체(321)의 상부측 깊숙히 내려와 있고 몸통체(321)내에 있는 오버드레인파이프(32)에 복수개의 감압구멍(32h)가 형성되며, 몸통체(321)의 최장 직경측면으로 압출관(322)이 비스듬히 관통하여 있으며, 몸통체(321)의 하단부는 소직경의 오물배출관(323)이 형성되어, 배수용자동밸브(31B)가 배수관(3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세척수펌프(310)가 여과통(320)의 몸통체(321)내로 압출하면 압출된 세척수가 몸통체(321)내에서 와류를 이루어 소용돌이를 치게 되면 돌등의 오물(D)이 소용돌이의 중앙에 모여 하강되어 오물배출관(323)을 통해 약간의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오물이 제거된 세척수는 오버드레인파이프(32)를 통해 세척탱크(2)내로 재차 순환되도록 하는 과일 야채 세척기의 여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여과통(320)의 압출관(322)을 순환관부(4)의 순환펌프(41)에 배관하고 순환관부(4)의 급수파이프(43)가 여과통(320)의 몸통체(321) 상단 중앙을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몸통체(321)의 상부측 깊숙히 내려와 형성되도록 하고, 몸통체(321)내에 있는 급수파이프(43)의 하단측에 복수개의 감압구멍(43h)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순환관부(4)에 의하여 세척수가 순환할 때 여과통(320)에 의하여 세척수가 여과되는 과일 야채 세척기의 여과장치.
KR2019980002208U 1998-02-19 1998-02-19 세척수 여과장치 KR200191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08U KR200191631Y1 (ko) 1998-02-19 1998-02-19 세척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08U KR200191631Y1 (ko) 1998-02-19 1998-02-19 세척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61U KR19990036361U (ko) 1999-09-27
KR200191631Y1 true KR200191631Y1 (ko) 2000-08-16

Family

ID=1953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208U KR200191631Y1 (ko) 1998-02-19 1998-02-19 세척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6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5460A (zh) * 2022-06-22 2022-09-06 衡东湘里湘亲绿色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酱腌菜加工用清洗脱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61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515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fluid circulation assembly
US6782899B2 (en) Dishwasher
DE2323551A1 (de) Geschirrspueler mit mitteln zum sammeln und abfuehren von speiseresten
KR100438270B1 (ko) 식기세척기
US6698438B2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helical flow path
US6641058B2 (en) Dishwasher spray arm hub and conduit assembly
US6832617B2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CA2365763C (en) Dishwasher fine filter pressure relief
DE2951837A1 (de) Verfahren zum sammeln und entfernen von speiseresten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KR200191631Y1 (ko) 세척수 여과장치
KR19990031051A (ko) 야채 과일 세척기
CN213307318U (zh) 一种节能碧根果去青皮机械
KR100457596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1135855B1 (ko) 식기 세척기의 자연 배수 방지 구조
KR100781720B1 (ko) 폐비닐 세척장치
KR20130013781A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940006841Y1 (ko) 식기세척기의 여과장치
KR200385855Y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가 가능한 배수트랩
CN2918550Y (zh) 循环节水器
KR100511967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N213819774U (zh) 蔬果沸洗机
CN214833106U (zh) 一种能够进行水资源循环的厨房用清洗池
CN216225710U (zh) 一种高效高压水清洗机
CN215290417U (zh) 一种便于收集滤渣的节水型厨房洗菜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