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626Y1 - 범용직렬버스포트인터프리터 - Google Patents

범용직렬버스포트인터프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626Y1
KR200191626Y1 KR2019970027861U KR19970027861U KR200191626Y1 KR 200191626 Y1 KR200191626 Y1 KR 200191626Y1 KR 2019970027861 U KR2019970027861 U KR 2019970027861U KR 19970027861 U KR19970027861 U KR 19970027861U KR 200191626 Y1 KR200191626 Y1 KR 200191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rallel
serial
serial bu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664U (ko
Inventor
김계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70027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62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6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시스템의 USB 포트 인터프리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범용 직렬버스 포트에 연결되어 데이타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범용 직렬버스 커넥터와,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타의 인코딩과 상기 병렬 주변기기 또는 상기 직렬 주변기기로부터 발생한 데이타의 디코딩이 이루어지는 범용 직렬버스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상기 범용 직렬버스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상기 병렬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타의 호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병렬 입출력 제어기와, 상기 범용 직렬버스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상기 직렬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타의 호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직렬 입출력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기존의 일반적인 병렬 주변기기 또는 직렬 주변기기를 USB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범용 직렬버스 포트 인터프리터
본 고안은 USB 포트 인터프리터(Interpre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렬 또는 직렬 데이타 입출력만이 가능한 주변기기를 USB 포트에 연결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USB 포트 인터프리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주변기기는 크게 병렬 기기와 직렬 기기가 있다. 병렬 기기는 데이타의 입출력이 병렬로 이루어지며, 직렬 기기는 데이타의 입출력이 직렬로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병렬 입출력 기기로는 프린터가 있으며, 직렬 입출력 기기로는 마우스가 있다.그러나 이와같은 별도의 데이타 입출력 방식을 하나로 통합하여 단일의 포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USB (Universal Serial Bus)포트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USB 커넥터의 연결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USB 포트 전용 주변기기(2)와 4핀의 USB 커넥터(1) 사이에 데이타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USB 포트는 직렬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병렬 포트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의 포트방식이기 때문에, 컴퓨터 시스템에서 많이 채용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USB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변기기는 USB 포트의 데이타 입출력 기준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병렬 주변기기 또는 직렬 주변기기 등을 그래도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USB 포트를 채용한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주변기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의 일반적인 병렬 주변기기 또는 직렬 주변기기를 USB 포트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USB 포트 인터프리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USB 커넥터의 연결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포트 인터프리터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USB 커넥터 2 : USB 주변기기
3 : USB 포트 4 : USB 커넥터
5 : USB 포트 인터프리터 6 : USB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7 : 제어장치 8 : 병렬 입출력 제어기
9 : 병렬 커넥터 10 : 병렬 주변기기
11 : 직렬 입출력 제어기 12 : 직렬 커넥터
13 : 직렬 주변기기
이와같은 목적의 본 고안은 컴퓨터 시스템의 범용 직렬버스 포트와 병렬 주변기기 또는 직렬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프리터에 있어서,
상기 범용 직렬버스 포트(3)내에 구비된 범용 직렬 버스 커넥터(4a)를 통하여 송,수신된 데이터를 직렬 버스 커넥터(4b)를 통하여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신호등으로 분리하기위해 디코딩하여 제어장치(7)와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인터페이싱하는 범용 직렬 버스 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와,상기 범용 직렬 버스 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병렬 입출력 제어기(8) 또는 직렬 입출력 제어기(11)에 적합한 명령어와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7)와,상기 제어장치(7)에서 전송된 명령어와 데이터 상태에 따라 각각 병렬 커넥터(9) 또는 직렬 커넥터(12)를 통하여 연결된 병렬 주변기기(10) 또는 직렬 주변기기(13)와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제어하는 병렬 입출력 제어기(8) 및 직렬 입출력 제어기(11)로 구성된것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포트 인터프리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블록(3)은 일반적인 USB 포트이며, 블록(5)은 본 고안에 따른 USB 포트 인터프리터이다. 먼저 USB 포트(3)에 USB 커넥터(4a)가 구비되어 있으며, USB 포트 인터프리터(5)에도 USB 커넥터(4b)가 구비되어 있다. 각 USB 커넥터(4a)(4b)는 4핀 커넥터로서, 전원전압 단자(VDD)와 접지 단자(GND), 수신 단자(RX), 송신 단자(TX)가 마련되어 있어, 상호 데이타를 교환하도록 되어있다. USB 포트 인터프리터(5)는 일반적인 병렬 주변기기(10)또는 직렬 주변기기(13)와 상호 데이타를 주고받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USB 포트(3)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병렬 주변기기(10)로 전송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USB 프로토콜 인터페이스(6)는 VSB 커넥터(4b)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중 어드레스 성분 데이터 성분 및 제어신호 성분 으로 구분하여 디코딩함으로서, 제어장치(7)와 인터페이싱을 행하는 동작을 수행하여,이것은 예로서 RS-232C와 같은 일반적인 인터 페이스 회롯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USB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에서는 USB 커넥터(4b)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어드레스성분과 데이터성분 및, 제어신호성분 등으로 분리해낸다.
이 어드레스성분과 데이타성분및, 제어신호성분 등은 제어장치(7)로 전송되어 분석작업이 이루어져서, 데이타와 명령어로 변환된다.
메인 콘트롤 유닛(MCU)인 제어장치(7)에서의 분석 작업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타와 명령어(COMMAND)는 병렬 입출력 제어기(8)로 전송된다. 이때 사용되는 병렬 입출력 제어기(8)는 통상적인 병렬 입출력 제어기(PIO)로서,주변기기에 직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프로그램 할수있는 일반적인 병렬 데이타 제어수단이다.
이 병렬 입출력 제어기(8)를 통하여 명령어와 데이타가 병렬 주변기기(10)로 전송되는데, 이때 병렬 입출력 제어기(8)와 병렬 주변기기(10) 사이의 정보 교환은 25핀의 병렬 커넥터(9)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병렬 주변기기(10)에서 출력된 데이타가 본 고안에 따른 USB 포트 인터프리터(5)를 통하여 USB 포트(3)에 전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병렬 주변기기(10)로부터 출력된 데이타와 명령어 등은 25핀의 병렬 커넥터(9)를 통하여 병렬 입출력 제어기(8)에 전송된다.
이때 병렬 입출력 제어기(8)는 제어장치(7)에 인터럽트를 요청하여 제어장치(7)가 데이타를 독출 하게 한다. 이와같이 제어장치(7)는 병렬입출력 제어기(8)의 인터럽트 요청에 따라 읽어온 데어타를 USB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후 USB프로토콜 이터페이스(6)로 전송한다.
어드레스와 데이타, 제어신호 등으로 변환된 테이타는 USB 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에서 USB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프레임으로 변환한 다음, USB 커넥터(4b)를 통하여 USB 포트(3)의 USB 커넥터(4a)에 전송된다.
다음은, USB 포트(3)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직렬 주변기기(B)로 전송되는 과정을설명한다.
USB 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에서는 USB 커넥터(4b)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어드레스성분과 데이터성분 및, 제어신호성분 등으로 분리해낸다.
이 어드레스와 데이타, 제어신호 등은 제어장치(7)로 전송되어 분석작업이 이루어져서, 데이타와 명령어로 변환된다.
제어장치(7)에서의 분석 작업에 따라 발생한 데이타와 명령어는 직렬 입출력 제어기(11)로 전송된다. 이때 사용되는 직렬 입출력 제어기(11)는 통상적인 직렬 입출력 제어기(SIO)로서, 일반적인 직렬 데이타 제어수단이다.
이 직렬 입출력 제어기(11)를 통하여 명령어와 데이타가 직렬 주변기기(13)로 전송되는데, 이때 직렬 입출력 제어기(11)와 직렬 주변기기(13) 사이의 정보 교환은 9핀의 직렬 커넥터(12)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직렬 주변기기(13)에서 출력된 데이타가 본 고안에 따른 USB 포트 인터프리터(5)를 통하여 USB 포트(3)에 전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직렬 입출력 제어기(11)는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제어장치(7)에서 데이타를 독출할수 있게 한다. 직렬입출력 제어기(11)로부터 인터럽트 요청을 받는 제어장치(7)는 직렬 입출력 제어기(11)로부터 데이타를 읽어오고, USB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 후 읽어온 데이타를 USB프로토콜 인터페이스(6)로 전송한다.
어드레스와 데이타, 제어신호 등으로 변환전 테이타는 USB 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에서 USB 프로토콤에 적합한 테이타 프레임으로 변환한 다음, USB 커넥터(4b)를 통하여 USB 포트(3)의 USB 커넥터(4a)에 전송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의 일반적인 병렬 주변기기 또는 직렬 주변기기를 USB 포트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USB 포트 인터프리터를 제공한다.

Claims (1)

  1. 컴퓨터 시스템의 범용 직렬버스 포트와 병렬 주변기기 또는 직렬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프리터에 있어서,
    상기 범용 직렬버스 포트(3)내에 구비된 범용 직렬 버스 커넥터(4a)를 통하여 송,수신된 데이터를 직렬 버스 커넥터(4b)를 통하여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신호등으로 분리하기위해 디코딩하여 제어장치(7)와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인터페이싱하는 범용 직렬 버스 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와,
    상기 범용 직렬 버스 프로토콜 인터페이스(6)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병렬 입출력 제어기(8) 또는 직렬 입출력 제어기(11)에 적합한 명령어와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7)와,
    상기 제어장치(7)에서 전송된 명령어와 데이터 상태에 따라 각각 병렬 커넥터(9) 또는 직렬 커넥터(12)를 통하여 연결된 병렬 주변기기(10) 또는 직렬 주변기기(13)와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제어하는 병렬 입출력 제어기(8) 및 직렬 입출력 제어기(11)로 구성된 범용 직렬버스 포트 인터프리터.
KR2019970027861U 1997-10-08 1997-10-08 범용직렬버스포트인터프리터 KR200191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861U KR200191626Y1 (ko) 1997-10-08 1997-10-08 범용직렬버스포트인터프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861U KR200191626Y1 (ko) 1997-10-08 1997-10-08 범용직렬버스포트인터프리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64U KR19990014664U (ko) 1999-05-06
KR200191626Y1 true KR200191626Y1 (ko) 2000-08-16

Family

ID=1951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861U KR200191626Y1 (ko) 1997-10-08 1997-10-08 범용직렬버스포트인터프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6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296A (ja) * 2001-04-10 2002-10-25 Nec Microsystems Ltd 周辺装置のusbインタフェース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usb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64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4254B2 (ja) ユニバーサル・シリアル・バスに基づくpcフラッシュディスクのためのアーキテクチャ
EP0654742A2 (en) Multiple bus interface
WO2002003312B1 (en) Smart card virtual hub
JPH056945B2 (ko)
JP2008545319A (ja) Rs−232/i2c変換icとホスト間の通信用ソフトウェア層
US6098120A (en) Peripheral sharing system using a bus bridge to emulate peripherals on a first bus to a host on a second bus
US7383372B2 (en) Bus system, station for use in a bus system, and bus interface
US6148358A (en) Separately-controlled multi-task computer system
US7793024B2 (en) Method for utilizing a PCI-Express bus to communicate between system chips
US5623611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bidirectional interface with receiving buffers, three-state buffers, and enable terminal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direction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200191626Y1 (ko) 범용직렬버스포트인터프리터
US8135895B2 (en) Virtual SATA port multiplier, virtual SATA device, SATA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in a SATA system
US6240520B1 (en) Power on/off control device for computer
EP0929847B1 (en) Universal operator station module for a distributed process control system
US5491789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unit connected thereto
JPS60163178A (ja) バ−コ−ドデ−タ入力装置
JP2004171158A (ja) Usb機器
CN113238990B (zh) 多用途外设控制器及其控制方法
JPH02110625A (ja) プリンタ種別読取方式
KR100259585B1 (ko) 디엠에이 콘트롤러
JP2948380B2 (ja) データ通信装置
KR100386922B1 (ko) Usb장치용 인터넷 접속 어댑터
KR19980064332U (ko) 입력 장치 공유 어댑터
JP4924472B2 (ja) ホスト機器
KR20150068701A (ko) 호스트로부터 유에스비 장치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