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464Y1 - 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 - Google Patents

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464Y1
KR200191464Y1 KR2020000006162U KR20000006162U KR200191464Y1 KR 200191464 Y1 KR200191464 Y1 KR 200191464Y1 KR 2020000006162 U KR2020000006162 U KR 2020000006162U KR 20000006162 U KR20000006162 U KR 20000006162U KR 200191464 Y1 KR200191464 Y1 KR 200191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uide
inspector
fix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1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이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원 filed Critical 이석원
Priority to KR2020000006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46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464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난간 측면에 설치되어 교량을 점검하기 위한 사람이 교각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해주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점검자가 승강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교량점검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가이드, 고정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난간 위쪽으로 이동시켜 교량점검자가 안전하게 고정가이드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가이드, 이동가이드를 필요한 높이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및 교량점검자가 이동가이드를 적은 힘으로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웨이트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량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승용차 승차자의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교량점검자가 이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아주 적은 힘으로도 이동가이드를 상승시켜 고정하여둘 수 있어 안전하게 교량점검용 승강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railing side of the bridge to allow a person to inspect the bridge to descend to the bridge,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ridge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bridge inspector to move up and down. Fixed guide that prevents the bridge inspector from falling down, and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xed guide, and moving guide that allows the bridge inspector to safely enter the fixed guide by moving upwards as necessary, to fix the moving guide at the required height. Consists of a weight mechanism that allows the fixed means and the bridge inspector to lift and move the movement guide with a small force. The bridge can be beautifully maintained and used by the bridge inspector without harming the scenery of the passenger. If you want very little To be fixed by raising the two guides moving it enables secure access values for bridge inspection platform.

Description

교량점검용 승강장치{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Lifting device for bridge inspection {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

본 고안은 교량점검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난간 측면에 설치되어 교량을 점검하기 위한 사람이 교각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해주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inspecting a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device for inspecting a bridge, which is installed on the railing side of the bridge so that a person for inspecting the bridge can descend to the bridge.

일반적으로 교량구조물은 지상에 설치되어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여주는 교각과 교각 상에 일체로 설치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횡빔과 횡빔 위에 설치된 철로 이루어진 종빔과 종빔 상에 탑재된 상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교량구조물은 자연현상에 의한 부식과 그 위를 통과하는 각종 차량의 진동 등으로 인한 균열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차량이 많이 통과하는 교량에는 교량점검대를 설치하여 정기적으로 교량 각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량상판에서 난간 측면을 통해 교량점검자가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교량점검용 승강장치를 설치한다.In general, a bridge structure is composed of a pier that is install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load of the bridge and a longitudinal beam made of concret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pier, a longitudinal beam made of iron installed on the lateral beam, and a top plate mounted on the longitudinal beam. Such bridge structures may be damaged due to corrosion due to natural phenomena and cracks due to vibrations of various vehicles passing over them. Therefore, bridge inspection platform should be installed on the bridge through which many vehicles pass and the installation condition of each bridge structure should be checked regularly. To this end, a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is installed so that the bridge inspector can safely descend through the railing side of the bridge deck.

도 1은 교량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ridge.

도 1의 교량(10)은 교각(12)과 교각(12) 상의 횡빔(14)과 종빔(18) 및 그 위의 상판(1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량 등은 상판(16) 위로 다닌다. 이러한 교량(10)의 횡빔(14)에는 고정식 교량점검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교량점검대(20)는 교량점검자가 걸어다니면서 교량을 점검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bridge 10 of FIG. 1 consists of a pier 12, a transverse beam 14 and a longitudinal beam 18 on the pier 12, a top plate 16 thereon, and the like. The vehicle or the like travels on the top plate 16. The fixed beam inspection stand 20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beam 14 of such a bridge 10. The bridge inspection stand 20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ridge inspector can walk and inspect the bridge.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0)의 일측면으로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장치(30)는 교량점검자가 상판(16)에서 교량점검대(20)로 안전하게 내려오고 또 교량점검대(20)에서 상판(16)으로 안전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교량점검용 승강장치(30)는 상판(16)의 난간(19) 측면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19)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보기에 좋지 않고, 승용차 탑승자의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표면적이 커 부식의 우려도 크다. 또 관계없는 사람이 쉽게 출입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one side of the bridge 10, the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30 is installed. The elevating device 30 is to allow the bridge inspector to safely descend from the top plate 16 to the bridge inspection stand 20 and to ascend safely from the bridge inspection stand 20 to the top plate 16. Since the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30 is fixed to the railing 19 side of the upper plate 16, it always protrudes above the railing 19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o damaging the surface, the surfac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is also a great concern for corros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unrelated people.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난간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교량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주면서도 교량점검자가 안전하게 난간을 통해 교각쪽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해주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that allows the bridge inspector to safely descend to the pier through the railing, while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bridge so as not to protrude above the railing when not in use.

도 1은 교량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ridg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승강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그 평면도이며,3 is a plan view thereof;

도 4는 이동가이드를 난간 위쪽으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guide is raised above the railing;

도 5는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mean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교량점검용 승강장치 110 : 고정가이드100: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110: fixed guide

120 : 레일 130 : 웨이트기구120: rail 130: weight mechanism

132 : 중량체 134 : 도르레132: weight 134: pulley

136 : 와이어 140 : 이동가이드136: wire 140: movement guide

142 : 롤러 144 : 손잡이142: roller 144: handle

150 : 고정수단 156 : 핀150: fixing means 156: pin

본 고안의 목적은 교량의 난간에 설치되어 교량점검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점검자가 승강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교량점검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가이드, 고정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난간 위쪽으로 이동시켜 교량점검자가 안전하게 고정가이드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가이드, 이동가이드를 필요한 높이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및 교량점검자가 이동가이드를 적은 힘으로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웨이트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on the railing of a bridge to allow the bridge inspector to lift, providing a passage that is fixed to the side of the bridge for the bridge inspector to lift and the bridge inspector falls Fixed guide to prevent the movement, can be installed to move along the fixed guide, the moving guide to move the railing guard to enter the fixed guide by moving upwards as necessary,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ving guide at the required height and bridge It can be achieved by the lifting device for bridge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eight mechanism that allows the inspector to lift the movement guide with a small force.

위 웨이트기구는 난간 상단부근에 설치된 도르레와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 및 도르레를 거쳐 이동가이드의 하단과 상기 중량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The weight mechanism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pulley installed near the upper end of the railing,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a wire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moving guide and the weight through the pulle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승강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그 평면도이며, 도 4는 이동가이드를 난간 위쪽으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guide is raised above the railing.

도 2∼도 4에는 교량(10)의 상판(16)과 상판(16)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난간(19)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교량(10)의 측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자용 승강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2-4 show the top plate 16 of the bridge 10 and the handrail 19 provided at the edge of the top plate 16. The side of the bridge 10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100 for the bridge insp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자용 승강장치(100)는 교량점검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교량(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가이드(110)는 대략 난간(19)의 상단 높이에서 아래쪽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교량(10)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가이드(110)는 도 2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원호형태의 골재를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교량점검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하고, 교량(10) 쪽으로 교량점검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사다리(112)를 배치하여야 한다. 즉, 고정가이드(110)는 교량점검자가 난간(19)을 넘어간 후 아래쪽으로 내려갈 때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교량점검자가 바깥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lifting device 100 for the bridge insp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bridge inspector to move up and down, and has a fixed guide 11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ridge 10. The fixed guide 110 is install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top height of the handrail 19, a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bridge (10). 2 and 3, the fixed guide 110 is installed in a semicircular arc-shaped aggreg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to surround the bridge inspector, and the bridge inspector is lifted toward the bridge 10. Ladder 112 should be arranged to do so. That is, the fixed guide 110 is to provide a passage that can be safely lifted when the bridge inspector goes down after crossing the railing 19 and to prevent the bridge inspector from falling outwar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승강장치(100)는 레일(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레일(120)은 뒤에서 설명하는 중량체(132)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1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As illustrated, the lifting device 100 for inspecting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120. The rail 120 is for guiding the weight body 132 to be described later. The rail 120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bridge 10, and two rails 120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승강장치(100)는 이동가이드(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동가이드(140)는 고정가이드(110)를 따라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승시켜 고정시켜둘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 고정수단이 필요한데, 이에 관해서는 도 5를 통해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즉, 이 이동가이드(140)는 교량점검자가 난간(19)을 넘어가는 동안의 안전을 위한 것으로, 난간(19) 위쪽으로 이동시켜 교량점검자가 안전하게 고정가이드(110)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이동가이드(1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가이드(110)를 바깥쪽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하고, 고정가이드(110) 등과의 접촉부위에는 쉽게 승강할 수 있도록 롤러(142)를 설치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교량점검자가 이동가이드(14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난간(19)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손잡이(144)를 각각 설치해두는 것이 더욱 좋다. 즉, 도 2상태에서 손잡이(144)를 잡고 위쪽으로 당기면 이동가이드(140)가 고정가이드(110)를 따라 상승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이용해 이동가이드(140)를 고정하면 된다.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vement guide 140. The movable guide 140 is installed to be elevated along the fixed guide 110, can be raised and fixed as needed, and a fixing means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That is, the movement guide 140 is for safety while the bridge inspector goes over the railing 19, and is intended to allow the bridge inspector to safely enter the fixed guide 110 by moving upwards over the railing 19. . The moving guide 14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fixed guide 110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ure 3, and to install the roller 142 so that it can be easily lifted o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fixed guide 110, etc.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install the handles 144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handrail 19 so that the bridge inspector can easily lift the movement guide 140. That is, when the handle 144 is pulled upward in the state of FIG. 2, the movement guide 140 rises along the fixing guide 110 to become a state as shown in FIG. 4, and in this state, the movement guide ( 140).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승강장치(100)는 웨이트기구(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웨이트기구(130)는 교량점검자가 이동가이드(140)를 적은 힘으로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 웨이트기구(130)는 도르레(134)와 와이어(136) 및 중량체(132)로 이루어져 있다.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eight mechanism (130). The weight mechanism 130 is intended to allow the bridge inspector to lift and move the movement guide 140 with a small force, which is part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mechanism 130 is composed of a pulley 134, a wire 136, and a weight 132.

여기서 도르레(134)는 와이어(136)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난간(19) 상단부근에 설치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체(132)는 이동가이드(140)를 적은 힘으로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가이드(140)의 무게와 비슷한 무게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와이어(136)는 도르레(134)를 거쳐 중량체(132)와 이동가이드(140)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중량체(132)에 미치는 중력이 이동가이드(140)를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와이어(136)는 중량체(132)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르레(134)를 거치면서도 잘 닳지 않아야 하며, 그런 성질이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Here, the pulley 134 is to allow the wire 136 to move smoothly, and as shown in FIG. 2, the pulley 134 is preferably installed near the upper end of the railing 19. The weight body 132 is to be able to lift the movement guide 140 with a small force, it is preferable to use a weight similar to the weight of the movement guide 140. The wire 136 connects the lower end of the weight body 132 and the movement guide 140 via the pulley 134, and gravity acting on the weight body 132 may act as a force to lift the movement guide 140. It is to ensure that. Of course, the wire 136 is not only able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weight body 132 sufficiently, but also do not wear well while passing through the pulley 134, and if there is such a property, any material may be used.

도 5는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means.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량(10)의 측면에 고정부재의 상단에 상하로 각각 돌출되고 핀구멍(151)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52, 152a)를 갖는 브래킷(153)을 고정 설치하여두고, 또 이동가이드(140)의 상단과 하단에 돌출부(152, 152a)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편(154, 154a)을 설치하고 핀구멍(155, 155a)을 각각 형성하여,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상단의 고정편(154)이 위쪽의 돌출부(152)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하단의 고정편(154a)이 핀(156)을 통해 아래쪽의 돌출부(152a)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면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fixed to the side of the bridge 10, the bracket 153 having the protrusions 152, 152a protruding up and down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pin hole 151 is form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xing guides 154 and 154a, into which the protrusions 152 and 152a can be inserted,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ement guide 140, respectively, and the pin holes 155 and 155a are formed, respectively. The upper fixing piece 154 is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152, and in the raised state, the lower fixing piece 154a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rotrusion 152a through the pin 156.

이러한 고정수단(150)은 여타의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부분이다.The fixing means 150 is a part that can be modified by other various forms.

즉, 교량점검이 필요치 않는 평소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140)를 하강시켜둔 상태로 두었다가, 교량점검이 필요한 경우 교량점검자는 핀(156)을 뽑아서 이동가이드(14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손잡이(144)를 잡고 위로 당기면 이동가이드(140)는 고정가이드(110)를 따라 상승한다. 이 때 와이어(136)를 통해 이동가이드(140)의 하단과 연결된 중량체(132)는 이동가이드(140)를 위쪽으로 당겨주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이 때의 힘은 중량체(132)의 무게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동가이드(140)와 비슷한 무게의 것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아주 적은 힘으로도 이동가이드(140)를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동가이드(140)를 충분히 들어올린 상태에서 도 5에서 설명한 고정수단(150)의 핀(156)을 하단의 고정편(155)과 아래쪽 돌출부(152a)의 핀구멍(151)에 삽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140)가 난간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bridge inspection is not normally required, as shown in FIG. 2, the moving guide 140 is left down, and when the bridge inspection is necessary, the bridge inspector pulls the pin 156 to fix the moving guide 140. After releasing the handle 144 by pulling up and pulling upwards the movement guide 140 rises along the fixed guide (110). At this time, the weight body 132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guide 140 through the wire 136 exerts a force in the direction to pull the movement guide 140 upward. The force at this time is determined by the weight of the weight body 132, using a weight similar to the movement guide 140, the user can lift the movement guide 140 upward with very little force. In this way, if the pin 156 of the fixing means 150 described in Figure 5 in the state of sufficiently lifting the movement guide 140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151 of the lower fixing piece 155 and the lower protrusion 152a As shown in FIG. 4, the movement guide 14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railing.

도 4 상태에서 교량점검자는 난간(19)을 타고 넘어 고정가이드(110) 쪽으로 들어가 사다리(112)를 타고 아래쪽으로 내려가서 교량점검을 하면 된다.In the state of Figure 4 bridge over the railing (19) to enter the fixed guide 110 to go down the ladder 112 to check the bridge.

교량점검을 하고 난 후에는 다시 고정가이드(110) 안으로 들어가 사다리(112) 타고 올라와 난간(19)을 넘어온 후에 핀(156)을 뽑고 이동가이드(140)를 살짝 누르면 이동가이드(140)는 고정가이드(110)를 타고 하강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상단의 고정편(154)과 위쪽의 돌출부(152)의 핀구멍(151, 155)을 통해 핀(156)을 삽입하여 고정해두면 된다.After the bridge inspection, go back into the fixed guide 110, climb the ladder 112, climb over the railings 19, pull out the pin 156 and press the moving guide 140 gently, the moving guide 140 is fixed guide It descends by 110 and becomes the state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pin 156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hrough the pin holes 151 and 155 of the upper fixing piece 154 and the upper protrusion 152.

즉,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승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이 필요치 않은 대부분의 시간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를 하강시켜 난간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할 수 있으며, 또 교량점검자가 이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웨이트기구를 이용해 아주 적은 힘으로도 이동가이드를 상승시켜 고정하여둘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using the lifting device for checking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st of the time that is not necessary to use as shown in Figure 2 can be lowered by the moving guide so that there is no protruding portion over the railing, and the bridge inspector to use In this case, the weight guide mechanism can be used to lift and move the movement guide with very little force.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승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교량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승용차 승차자의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교량점검자가 이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아주 적은 힘으로도 이동가이드를 상승시켜 고정하여둘 수 있어 안전하게 교량점검용 승강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when using the bridge inspection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of the bridge can be kept beautiful, and even if the bridge inspector wants to use it without harming the scenery of the passenger, even with very little force. The moving guide can be raised and fixed so that it can safely use the lifting device for bridge inspection.

또, 이동가이드를 하강시켜둔 상태에서 종래의 것에 비해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적이 작으므로 비바람에 적게 노출되어 수명이 길며, 바람의 영향도 적게 받는다.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moving guide is lowered than the conventional one is less exposed to wind and wind, the life is long, and is less affected by wind.

Claims (2)

교량의 난간에 설치되어 교량점검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에 있어서,In the bridge inspection lifting device installed on the railing of the bridge to allow the bridge inspector to lift, 상기 교량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점검자가 승강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교량점검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가이드;A fixed guide fixed to the side of the bridge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ridge inspector can move up and down and prevent the bridge inspector from falling; 상기 고정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난간 위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량점검자가 안전하게 상기 고정가이드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가이드;A movable guid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xed guide, and moving upwards to the railing to allow the bridge inspector to safely enter the fixed guide; 상기 이동가이드를 필요한 높이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및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ving guide at a required height; And 상기 교량점검자가 상기 이동가이드를 적은 힘으로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웨이트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And a weight mechanism for allowing the bridge inspector to elevate the movement guide even with a small for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기구는 상기 난간 상단부근에 설치된 도르레와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 및 상기 도르레를 거쳐 상기 이동가이드의 하단과 상기 중량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승강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lley installed near the upper end of the handrail and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a wire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moving guide and the weight through the pulley. Elevation device for bridge inspection.
KR2020000006162U 2000-03-06 2000-03-06 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 KR2001914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62U KR200191464Y1 (en) 2000-03-06 2000-03-06 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62U KR200191464Y1 (en) 2000-03-06 2000-03-06 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464Y1 true KR200191464Y1 (en) 2000-08-16

Family

ID=1964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162U KR200191464Y1 (en) 2000-03-06 2000-03-06 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46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390A (en) * 2018-12-05 2020-06-15 차기환 Tower structure for bridges with vibration damp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390A (en) * 2018-12-05 2020-06-15 차기환 Tower structure for bridges with vibration damp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6066A (en) System preventing elevators for use in construction site from falling
KR200191464Y1 (en) Up and down installation for bridge inspector
KR101028631B1 (en) Movable bridge inspection equipment
KR101063308B1 (en) Elevating lighting tower equipped with system for preventing lifting frame from falling
KR102037740B1 (en) Jack up rig having a retractable platform of escape chute
KR100844499B1 (en) The elevator for the bridge
CN110748232A (en) Floor-groove type lifting railing
KR102417022B1 (en) A bridge check stand
KR100561709B1 (en) Safety check apparatus of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 for bridge
KR20110105601A (en) A installation of a bridge lamp using a lineir guide equipment
KR200188212Y1 (en) Ladder system for sliding type of bridge
KR200148505Y1 (en) Elevator for bridge maintenance
KR200276916Y1 (en) A ladder for bridge safety inspection
CN217100414U (en) Hanging basket for side longitudinal wall of ship side of box
KR200346389Y1 (en) Safety foot plate
CN211500054U (en) Floor-groove type lifting railing
KR102549618B1 (en) Bridge installation structure connecting overpass and elevator
JP3289560B2 (en) Hydraulic elevator for pedestrian bridge
KR102409630B1 (en) Stationary type railway bridge inspection facility stairs with variable length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7204261A (en) Level raising stage device for elevator pit gangway ladder
KR20190042885A (en) An apparatus for having experience of heights
JP3455844B2 (en) Elevator for removing steps
KR200365981Y1 (en) entrance device for ladder system of bridge
KR200360006Y1 (en) a inspective ladder for bridge
JPH0733394A (en) Scissors lif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