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988Y1 - 밥솥뚜껑 - Google Patents

밥솥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988Y1
KR200189988Y1 KR2019990027992U KR19990027992U KR200189988Y1 KR 200189988 Y1 KR200189988 Y1 KR 200189988Y1 KR 2019990027992 U KR2019990027992 U KR 2019990027992U KR 19990027992 U KR19990027992 U KR 19990027992U KR 200189988 Y1 KR200189988 Y1 KR 200189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lid
rice cooker
handle
discharge ho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규
Original Assignee
박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규 filed Critical 박창규
Priority to KR2019990027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밥솥 뚜껑(Rice cooker cover)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조리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수증기 배출구멍이 상부면에 설치된밥솥 뚜껑에 있어서, 상기 밥솥 뚜껑(2)은 수증기압에 견딜 수 있는 중량으로 이루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3)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의 연결부분은, 상기 밥솥 뚜껑(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구멍(8)을 통해서 배출구멍(9)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내부에 유도홈(17)이 형성된 배출돌기(6)와, 상기 배출돌기(6)와 아치형의 지지구(7)의 사이로 삽입되는 손잡이(3)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홈(17)에 체결되는 체결구(16)와, 상기 체결구(16)에 지지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13)이 밀착되어서 수증기의 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배출구멍(9)을 개폐하는 볼(12)과, 상기 배출돌기(6)와 상기 손잡이(3) 선단의 사이에 삽입되어 수증기 배출시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진동판(14)과, 상기 진동판(14)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가 배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3)와 지지구(7)에 각각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배출구멍(10, 11)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명백히 한 것처럼,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에서 명백히 한 것처럼, 본 고안의 밥솥 뚜껑은 종래 밥솥 뚜껑과 달리 밥솥 뚜껑을 평소에는 밥솥 뚜껑 본래의 기능으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밥솥 뚜껑{Rice cooker cover}
본 고안은 밥솥 뚜껑(Rice cooker cover)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밥솥 뚜껑을 본래의 기능인 밥을 짓는데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밥솥 뚜껑을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종래에 밥을 짓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구들은 예를 들면, 일반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기 밥솥과 밥솥 내부의 압력을 이용하는 압력 밥솥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 밥솥에 사용되고 있는 밥솥 뚜껑의 경우에는 밥을 지을 때 밥솥 몸체를 덮는 기능과 보관하는 기능 그리고 밥이 다 되었을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밥솥 뚜껑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서 내부 수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 밥솥에 사용되는 밥솥 뚜껑의 경우에는 상기 기술된 것이외에는 밥솥 뚜껑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압력솥의 경우에 사용자가 압력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밥솥 몸체와 밥솥 뚜껑을 결합시켜서 사용해야 하는데 사용자는 무거운 밥솥 뚜껑을 잡고 밥솥 몸체와 결합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압력솥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전기밥솥과 마찬가지로 밥솥 뚜껑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서 내부의 수증기를 방출해야 하는데, 종종 강한 수증기압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밥이 다 된 것을 잊고 밥솥 뚜껑을 방치하는 경우, 내부 압력에 의해 밥솥 뚜껑이 터져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밥솥 뚜껑을 평상시에는 밥솥 뚜껑 본래의 기능으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밥솥 뚜껑을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종래 밥솥 뚜껑의 문제점인 보관기능과 수증기를 배출하는 기능과 사용상 불편한 점 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밥솥 뚜껑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밥솥 뚜껑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사용상 편리한 밥솥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밥솥 뚜껑은 일정한 중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밥이 지어지는 동안에 발생되는 수증기압에 의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는 대신에 수증기를 밥솥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기밥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지지구와 배출돌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배출돌기 상부면에 가로로 장착된 진동판의 사시도이다.
* 본 고안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본체 2. 밥솥 뚜껑
3. 손잡이 4. 받침대
5. 전열선 6. 배출돌기
7. 지지구 8. 배출구멍
9. 배출구멍 10. 배출구멍
11. 배출구멍 12. 볼
13. 탄성스프링 14. 진동판
15. 표면 16. 체결구
17. 유도홈 18. 용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상기 밥솥 뚜껑(2)은 수증기압에 견딜 수 있는 중량으로 이루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3)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의 연결부분은,
상기 밥솥 뚜껑(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구멍(8)을 통해서 배출구멍(9)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내부에 유도홈(17)이 형성된 배출돌기(6)와, 상기 배출돌기(6)와 아치형의 지지구(7)의 사이로 삽입되는 손잡이(3)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홈(17)에 체결되는 체결구(16)와, 상기 체결구(16)에 지지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13)이 밀착되어서 수증기의 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배출구멍(9)을 개폐하는 볼(12)과, 상기 배출돌기(6)와 상기 손잡이(3) 선단의 사이에 삽입되어 수증기 배출시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진동판(14)과, 상기 진동판(14)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가 배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3)와 지지구(7)에 각각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배출구멍(10, 11)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솥 뚜껑(2)이 적용된 전기밥솥의 사시도이다. 상기 전기밥솥은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18)와 손잡이(3)가 붙착되어 있는 밥솥 뚜껑(2) 그리고 상기 용기(18)를 지지하는 받침대(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밥솥 뚜껑(2)은 밥을 지을 때 대략 0. 3㎏ ∼ 0. 4㎏의 증기압을 견딜 수 있도록 1. 5㎏이상의 중량을 가진 밥솥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밥을 지을 때 수증기에 의해 밥솥 뚜껑이 들릴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밥솥 뚜껑 표면(15)은 필요에 따라서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평평하고 열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밥솥 뚜껑(2)의 내부 측면에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멍(8)(제 3도 참조)이 손잡이(3)를 통해 배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로서, 상기 밥솥 뚜껑(2)의 측면 에는 체결구(16)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멍(8)을 통해 상기 수증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돌기(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밥이 다 지어졌을 때 발생되는 수증기는 상기 배출구멍(8)과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배출돌기(6)를 동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배출돌기(6)의 내부로는 상기 손잡이(3)를 상기 체결구(16)로 조일 수 있도록 유도홈(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돌기(6) 상부 중앙에는 상기 수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멍(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출구멍(8)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를 상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멍(9)에 상부로 형성된 상기 배출돌기(6)의 내부에는 배출구멍(9)을 막아주도록 볼(12)이 내삽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볼(12)은 밥을 짓는 동안에는 밥솥 뚜껑(2)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멍(8)을 막고 있다가 밥이 다 되어 수증기가 발생되면 이 수증기압에 의해 상기 볼(12)을 상기 배출돌기(6)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스프링(13)을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증기압에 의해 밀려지는 볼(12)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스프링(13)을 탄지시킴과 동시에 배출구멍을 개방하게 되므로 수증기는 배출구멍(8),(9)을 통해서 배출이 되게 된다. 그리고 밥이 다 되어 수증기압이 약해지면 탄성스프링(13)의 탄반력에 의해 탄발되는 볼(12)은 다시 배출구멍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12)과 탄성스프링(13)은 상기 손잡이(3)를 상기 밥솥 뚜껑(2)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 내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구(16)의 사이에 내삽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스프링(13)은 수증기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볼(12)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돌기(6)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3)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상기 배출돌기(6)와 일정하게 간격진 아치형의 지지구(7)가 밥솥 뚜껑(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구(7)에 의해 상기 손잡이(3)가 수용되어 안전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아치형의 지지구(7) 상부면 중앙에도 수중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멍(9)에 대응하는 방향에 배출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밥솥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상호 연결된 각각의 배출구멍(8, 9, 10, 11)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배출돌기(6)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있는 진동판(1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돌기(6)의 상부면에는 상기 수증기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판(14)(도 4참조)이 가로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밥이 다 되었을 때 발생되는 수증기압이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 되면서 진동판(14)을 통할 때 진동판(14)에서는 소리를 발산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그 소리로 밥이 다 된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제 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진동판(14)이 장착된 상기 배출돌기(6)와 상기 지지구(7) 사이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상기 손잡이(3)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3)의 일단은 상기 지지구(7)와 상기 배출돌기(6)의 사이에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구(7)보다는 작은 지름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7)에 수용되는 상기 손잡이(3)의 상부면 중앙에도 상기 배출돌기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멍(9)에 대응하는 방향에 배출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2로 되돌아가서, 본 고안의 밥솥 바닥에 내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절연선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절연선(5)의 일단을 공지된 것처럼 절연선(5) 일단이 전원코드와 연결되어 열이 발산하여 밥솥바닥을 전달되도록 외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전기 중력 밥솥을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돌출 형성된 코드에 전원선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기술된 것처럼 밥솥 뚜껑(2)은 평상시에는 밥을 지을 때 사용되는 밥솥 뚜껑(2)으로서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밥솥 뚜껑(2)을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밥솥 뚜껑(2)의 표면(15)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표면(15) 자체를 후라이팬의 바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증기 배출구멍(8)을 표면에 형성하지 않고 밥솥 뚜껑(2) 측면인 손잡이(3)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평상시에는 밥을 지을 때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후라이팬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제 2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상기 제 1실예는 전기 밥솥에 사용되는 전기 밥솥 뚜껑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밥솥 뚜껑은 전기 밥솥 뚜껑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압력솥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압력솥에 사용되는 밥솥 뚜껑도 상기 전기 밥솥 뚜껑과 동일하게 다 된 밥을 보관하고 내부 수증기를 배출하는 기능이외에는 다른 기능을 갖지 못했다. 또한, 상기 밥솥 뚜껑의 경우에 밥솥 몸체와 밥솥 뚜껑을 맞물려 사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많았다. 그리고, 밥이 다 되었을 때 인위적인 조작으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위적인 조작으로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경우에 강한 수증기압으로 인해서 종종 수증기압에 의해 손에 화상일 입는 경우도 있고, 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증기 배출하지 않아 압력솥이 터져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 본 고안의 밥솥 뚜껑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제 1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명백히 한 것처럼, 본 고안의 밥솥 뚜껑은 종래 밥솥 뚜껑과 달리 밥솥 뚜껑을 평소에는 밥솥 뚜껑 본래의 기능으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종래의 밥솥 뚜껑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밥솥 뚜껑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다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조리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수증기 배출구멍이 상부면에 설치된밥솥 뚜껑에 있어서,
    상기 밥솥 뚜껑(2)은 수증기압에 견딜 수 있는 중량으로 이루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3)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의 연결부분은,
    상기 밥솥 뚜껑(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구멍(8)을 통해서 배출구멍(9)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내부에 유도홈(17)이 형성된 배출돌기(6)와,
    상기 배출돌기(6)와 아치형의 지지구(7)의 사이로 삽입되는 손잡이(3)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홈(17)에 체결되는 체결구(16)와,
    상기 체결구(16)에 지지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13)이 밀착되어서 수증기의 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배출구멍(9)을 개폐하는 볼(12)과,
    상기 배출돌기(6)와 상기 손잡이(3) 선단의 사이에 삽입되어 수증기 배출시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진동판(14)과,
    상기 진동판(14)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가 배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3)와 지지구(7)에 각각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배출구멍(10, 11)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 뚜껑(2)을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수평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뚜껑.
KR2019990027992U 1999-12-13 1999-12-13 밥솥뚜껑 KR200189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92U KR200189988Y1 (ko) 1999-12-13 1999-12-13 밥솥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92U KR200189988Y1 (ko) 1999-12-13 1999-12-13 밥솥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988Y1 true KR200189988Y1 (ko) 2000-07-15

Family

ID=1960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992U KR200189988Y1 (ko) 1999-12-13 1999-12-13 밥솥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9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1805A (en) Steam pressure rice cooker with an auxiliary steam pressure exhausting device
CA2578254C (en) Slow cooker and stand
HUP0004662A3 (en) Household electric cooking appliance, such as a food processor, comprising a simplified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JP2005349188A (ja) 電気圧力炊飯器の蒸気排出装置
WO2002011591A3 (de) Heissluftdeckel
GB2375703B (en) Utensil for slow-cooking with steam
US7265326B2 (en) Oven enclosure for a broiling oven with microwave capability
KR200189988Y1 (ko) 밥솥뚜껑
FR2818525B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simplifie d'un couvercle sur un recipient
KR101785871B1 (ko) 직화 조리방식을 적용한 프라이팬
USD391443S (en) Handle for cooking utensils
JP2000210193A (ja) 調理器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US5645041A (en) Barbecue cooker
USD442428S1 (en) Handle for a cooking vessel
JP3655087B2 (ja) 調理器
KR20070106098A (ko) 조리장치
CN216652061U (zh) 盖体和烹饪器具
JP3545044B2 (ja) 保温容器
CN219763067U (zh) 多功能料理锅
CN109452878B (zh) 蒸汽阀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9020825U (zh) 电热锅具
JP3684923B2 (ja) シチリン
CN217610580U (zh) 一种防烫锅盖
KR200324835Y1 (ko) 양면 후라이팬의 손잡이구조
KR200215089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압력밸브 청소용 핀 수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