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704Y1 -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704Y1
KR200189704Y1 KR2020000004719U KR20000004719U KR200189704Y1 KR 200189704 Y1 KR200189704 Y1 KR 200189704Y1 KR 2020000004719 U KR2020000004719 U KR 2020000004719U KR 20000004719 U KR20000004719 U KR 20000004719U KR 200189704 Y1 KR200189704 Y1 KR 200189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truss
chord
fastening port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길
Original Assignee
최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길 filed Critical 최영길
Priority to KR2020000004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응력집중에 따른 상현재에서의 변형 및 파단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하중이 효율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구조체간에 조립식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트러스는, 상현재(21) 및 하현재가 그 단면 형상에 있어 하단이 개방된 내부 통공 형태를 이루되, 중단과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포밍되어 2중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사현재(31,41)와 체결부재의 체결에 따른 결합이 소정 개소에서 각각 이루어지는 중단체결부(24) 및 하단체결부(25)가 형성되고; 2중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기 중단체결부(24)와 하단체결부(25) 사이는, 폐공간부(28)를 이루는 돌출형태의 비드부(26,27)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A STRURTURE OF TRUSS FOR SLAB}
본 고안은 조립건물 시공용 트러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시공시 벽이나 바닥 슬라브를 구축하는데 영구형틀로 사용되는 트러스에 있어서 각 구조체간의 체결구조를 변형하여 응력에 대응이 가능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형태를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배근과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여 건물을 신축하는 공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많은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각 공정별로 필요 이상의 많은 인력을 투입할 수 밖에 없음에 따라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면서도 공사기일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무리 공정으로 미장작업이 필수적이고 미장작업후 크랙이 많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으며, 특히 설계상 굵은 기둥과 보로 인하여 실내공간이 상당히 줄어들면서도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아파트나 주택 등의 건물을 신축할 때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법을 살펴보면 대개 그 건물의 주 골격을 이루는 사방의 기둥체와 슬라브 부위는 철근을 엮어 배근을 한 다음 레미콘을 타설하여 형성하고, 벽체는 소정크기의 콘크리트 판넬로 미리 성형한 후 동 판넬을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상기 기둥체와 슬라브체에 조립하는 조립식 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천정등의 시공시는 콘크리트나 철판으로 된 판넬 및 형강을 사용한 트러스 등으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작업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로 사용되던 일 례에 따른 트러스의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 상/하 횡방향으로 소정길이의 상현재(1)와 하현재(미도시)가 구비되고, 그 사이에는 삼각빔 형태를 이루는 사현재(2,3)가 수직 및 대각방향으로 각각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면서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구성되는것이 일반적인 트러스(10)의 체결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트러스는 슬라브 들보용으로 장착되어 상부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사현재(2,3)가 분산시키면서 상현재(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트러스(10)의 양단은 벽체 또는 기둥에 고정 지지됨으로서 상부로 부터 전달된 하중을 벽체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조립건물 시공시 슬라브를 받쳐주기 위한 들보로 설치되는 종래의 트러스(10)는,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상현재(1)에 작용할 경우 사형재(2,3)와의 결합부위(A)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크랙 또는 변형이 쉽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심할경우에는 상현재(1)가 파단되는 등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롤포밍을 통해 형상제작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체결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제품의 제작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트러스를 이루고 있는 상,하현재의 각 부재간 체결부위에서의 지지력의 안정적인 보강을 이룰 수 있는 대칭형 지지구조를 제공하여, 응력 집중으로 인한 상현재의 파단 또는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러스의 요부 체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의 각 부재간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의 체결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상현재 22 : 체결홀
23 : 피스 24,25 : 체결부
26 : 비드부 28 : 폐공간부
31,41 : 사현재
상기 목적은, 상현재와 하현재가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에 수직 및 대각방향의 사현재가 연속되는 삼각형태를 이루며 결합됨으로 상현재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분산하여 하현재로 전달하는 통상의 트러스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현재 및 하현재는,
그 단면 형상에 있어 하단이 개방된 내부 통공 형태를 이루되, 중단과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포밍되어 2중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사현재와 체결부재의 체결에 따른 결합이 소정 개소에서 각각 이루어지는 중단체결부 및 하단체결부가 형성되고;
2중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기 중단체결부와 하단체결부 사이는, 폐공간부를 이루는 돌출형태의 비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체결부위의 2중구조와 비드부 구조를 이루는 트러스는, 상부에서 전해지는 하중의 응력집중에 의한 취약부분이 개선되면서 파단 또는 변형에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구조체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트러스 구조체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트러스 구조체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 트러스 구조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현재(21) 및 하현재는 내부 통공을 이루며 하방이 개방된 대칭형태를 이루는데, 양측면의 하단은 롤포밍에 의해 외측으로 접혀지면서 다시 중단 및 하단까지 이르게 되는 2중구조를 이루게 되며 상기 중단 및 하단은 각각 내부에 삽입되는 사현재(31,41)와 피스(23)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24,25)를 이루며, 각 체결부(24,25)에는 체결용 부재인 상기 피스(23)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22)이 적소에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2중의 접힘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기 중단 체결부(24)와 하단 체결부(25) 사이에는 지지력 향상을위한 돌출형태의 비드부(26)를 이루어 외력에 대한 보강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그 내측에는 폐공간부(28)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현재(21) 및 하현재 사이에 수직 및 대각방향의 사현재(31,41)가 피스(23)의 체결력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이러한 체결이 상,하현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인 트러스구조체가 완성되게 된다.
즉, 각 구조체간의 결합은, 수직 사현재(31)가 먼저 상현재(21)의 내부에 끼워지면 중단 체결부(24) 및 하단 체결부(25)에서 피스(23)가 삽입. 관통되면서 사현재(21)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대각 사현재(41)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결합되어 들보용으로 사용되는 본 고안의 트러스는, 기존에 비하여 내부에서 폐공간부(28)를 이루고 있는 돌출형태의 비드부(26)가 추가되어 지지력이 보강됨과 동시에, 중단 및 하단의 체결부(24,25)가 2중의 보강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상부로 부터 하중이 전달됨에 따른 응력에 대응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전달된 하중은 파단이나 변형의 발생없이 상현재(21)로 부터 사현재(31,41)로 분산 전달되어 하현재(미도시)로 전해지고, 이는 다시 트러스를 지지하고 있는 양측 벽체-바닥-기초를 따라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교예로서 종래 기술에서의 트러스 결합구조는 각 부재간에 용접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인해 생산작업성의 저하 및 작업공수 증가로 인한 생산비용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구조에 의하면 체결부재에 의한 2단 결합구조를 통해 조립식 결합이 가능하게 됨으로 공장생산에서의 작업 및 시공장소에서의 천정틀로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이로인해 생산효율 또한 개선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 결과, 생산비용이 감소되게 되는 효과와 함께 각 구조체간에 더욱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트러스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트러스는, 상부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응력에 대응이 가능한 2중 보강구조를 이룸으로 제품의 파단 또는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로인해 트러스의 안정적인 지지구조가 이루어져 하중이 효율적으로 분산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2)

  1. 상현재(21)와 하현재가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에 수직 및 대각방향의 사현재(31,41)가 연속되는 삼각형태를 이루며 결합됨으로 상현재(21)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분산하여 하현재로 전달하는 통상의 트러스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현재(21) 및 하현재는,
    그 단면 형상에 있어 하단이 개방된 내부 통공 형태를 이루되, 중단과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포밍되어 2중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사현재(31,41)와 체결부재의 체결에 따른 결합이 소정 개소에서 각각 이루어지는 중단체결부(24) 및 하단체결부(25)가 형성되고;
    2중보강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기 중단체결부(24)와 하단체결부(25) 사이는, 폐공간부(28)를 이루는 돌출형태의 비드부(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로는, 피스(23)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KR2020000004719U 2000-02-21 2000-02-21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KR200189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19U KR200189704Y1 (ko) 2000-02-21 2000-02-21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19U KR200189704Y1 (ko) 2000-02-21 2000-02-21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704Y1 true KR200189704Y1 (ko) 2000-07-15

Family

ID=1964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719U KR200189704Y1 (ko) 2000-02-21 2000-02-21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7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70B1 (ko) * 2002-11-28 2005-11-28 깨뱉시스템주식회사 조립식 트러스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70B1 (ko) * 2002-11-28 2005-11-28 깨뱉시스템주식회사 조립식 트러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0853A (ko) 커플거더
CN112593632A (zh) 适用于大跨度高净空建筑的装配式梁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90057672A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200189704Y1 (ko) 건축물 슬라브용 트러스 구조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JPH06322827A (ja) スーパーラーメン架構構造とその構築方法
CN111364680A (zh) 一种预留钢筋预制柱
CN215888962U (zh) 一种薄底槽型预应力混凝土叠合梁
CN216446283U (zh) 一种装配式折线型顶盖
CN220377534U (zh) 一种预制单向叠合板锚入支座梁构造
CN220058416U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预制剪力墙连接结构
CN216239270U (zh) 装配式矩形洞口构件及其与叠合梁板的连接节点
CN115354760B (zh) 圆钢管柱在十字柱混凝土柱中的转换节点
CN219753515U (zh) 一种柱梁偏心连接结构
JP2002364072A (ja) 複合構造架構用梁
CN215630622U (zh) 一种快速安装柱连接件
KR102111883B1 (ko) 아파트와 지하주차장 접합부에서의 트랜스퍼 거더 pc화 공법
CN110306664B (zh) 装配式低层住宅结构体系及其建造方法
JP3186916B2 (ja) バルコニーの支持構造
CN113719030A (zh) 一种薄底槽型预应力混凝土叠合梁
JP3639368B2 (ja) 鉄骨柱脚部の基礎構造
JPH06185108A (ja) 小梁の構築方法
CN114000634A (zh) 一种装配式折线型顶盖及其施工方法
JPH10176369A (ja) バルコニーの支持構造
KR200233527Y1 (ko) 폭 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벽체와 헌치 겸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