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586Y1 - 칸막이벽 - Google Patents

칸막이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586Y1
KR200189586Y1 KR2020000005229U KR20000005229U KR200189586Y1 KR 200189586 Y1 KR200189586 Y1 KR 200189586Y1 KR 2020000005229 U KR2020000005229 U KR 2020000005229U KR 20000005229 U KR20000005229 U KR 20000005229U KR 200189586 Y1 KR200189586 Y1 KR 200189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present
attached
gypsum board
fireproof gyp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태
Original Assignee
티앤씨 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앤씨 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앤씨 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5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주로 벽돌이나 벽돌벽으로 쌓던 세대간 격벽 또는 에어덕트의 방화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칸막이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같은 수직면상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놓여지는 C채널형태의 두 개의 상부 및 하부레일(6); 상기 상부 및 하부레일(6) 사이에 지그재그로 세워서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채널(2); 상기 수직채널(2)의 양쪽에 부착되는 두 개의 방화석고보드(3); 상기 두 개의 방화석고보드(3)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CRC보드(4); 및 상기 수직채널(2)에 부착된 두 개의 방화석고보드(3) 사이에 삽입되는 단열재(5)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칸막이벽은 세대간 격벽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가 자유롭고 구조성능, 단열성능 및 차음성능이 우수하며, 에어덕트의 방화벽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시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하다.

Description

칸막이벽{Drywall}
본 고안은 칸막이벽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세대간 격벽 또는 에어덕트의 방화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칸막이벽에 관한 것이다.
세대간 격벽은 한 세대 안에서 방과 방의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벽과는 다르게 거의 완벽한 방화성능과 차음성능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화재시 옆 세대로 불길이 번지는 것을 막아야하며, 각 세대의 독립성을 위하여 소음의 전달을 막아야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세대간 격벽은 주로 내력벽과 비내력벽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내력벽의 경우 철근콘크리트조 공동주택에 주로 사용되며, 상기 비내력벽의 경우에는 요즘 점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철골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조의 건물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비내력벽으로 사용되는 세대간 격벽은 일체의 하중으로부터 자유로우므로 건물의 기둥과 기둥사이에, 주로 현장에서 벽돌이나 블록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쌓고 그 사이에 단열재와 전기배선을 넣어 시공한 후, 석고보드 등의 마감재를 부착하고 도장이나 도배를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세대간 격벽은 일일이 조적공이 벽돌이나 블록을 쌓아 시공하므로, 시공시간이 길어지고 노임 및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생활문화와 주거문화가 다양화되는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공간의 창출을 위하여, 자유로이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세대간 격벽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종래의 세대간 격벽은 설치 및 철거가 번거로워서 이에 대응하기 어렵다.
상술한 것과 같이 현대사회에는 비록 세대간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세대간 격벽이라 하더라도 설치 및 철거가 자유롭고, 우수한 방화성능과 차음성능을 갖춘 경량의 유니트화된 세대간 격벽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세대간 격벽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가 자유롭고 구조성능, 단열성능 및 차음성능이 우수한 공사비가 저렴한 칸막이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덕트의 방화벽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칸막이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칸막이벽의 수평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수직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칸막이벽의 변형예인 에어덕트용 칸막이벽 및 파이프덕트용 칸막이벽의 실시예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11: 칸막이벽 2: 수직채널
3, 13: 방화석고보드 4, 14: CRC보드
5: 단열재 6: 하부레일
7: 측면레일 8: 석고보드
9: 지지레일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칸막이벽의 수평 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칸막이벽(1)은 두 개의 상부 및 하부레일(6), 다수개의 수직채널(2), 두 개의 방화석고보드(3), 두 개의 CRC보드(4) 및 단열재(5)로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레일(6)은 주로 폭이 넓은 C채널을 이용하며, 벽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 같은 수직면상에서 천장면과 바닥면에 각각 설치한다.
수직채널(2)은 상기 상부 및 하부레일(6) 사이에 지그재그로 세워서 배치되며 주로 C-50×45×10×1.0T 규격의 C채널을 사용하여 약 600mm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다. 상기 수직채널(2)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본 발명의 칸막이벽(1)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수직채널(2)의 외면에는 방화석고보드(3)가 부착된다.
방화석고보드(3)는 주로 13mm-16mm 두께의 방화석고보드를 사용하며, 상기 배치된 다수개의 수직채널(2)의 외면에 나사못 등의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두 개가 부착된다. 상기 방화석고보드(3)의 외면에는 9mm-12mm CRC보드(4)가 설치된다.
CRC보드(4)는 상기 두 개의 방화석고보드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며, 기존의 석고보드보다 내화성능과 차음성능이 우수하고, 외면이 평활하며 모르터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도배, 페인트칠 및 타일작업 등의 각종 마감작업이 용이하다.
단열재(5)는 상기 수직채널(2)에 부착된 두 개의 방화석고보드(3) 사이에 삽입되며, 내화성능을 위하여 주로 열에 강한 유리섬유(glass fiber)를 이용하며 경우에 따라 암면 또는 매트형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칸막이벽(1)은 상기 단열재(5)가 지그재그로 설치된 상기 수직채널(2) 사이에 삽입되므로, 상기 칸막이벽(1) 내부의 곳곳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음전달 경로가 차단되므로 차음성능이 좋아진다.
본 발명의 칸막이벽(1)은 종래의 벽돌 및 블록벽을 대신하여 세대간 격벽으로 주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칸막이벽은 에어덕트의 방화벽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도3에도시된 것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보통 에어덕트용 벽의 평면은 대개 ㄱ자형 또는 ㄷ자형으로써, 파이프덕트와 함께 에어덕트는 건물의 평면상에서 코아나 최외곽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에어덕트용 벽은 파이프덕트와는 달리 다른 방화벽과 마찬가지로 방화성능이 요구되는 데, 왜냐하면 에어덕트는 공기조화를 위해 각 층 사이 및 각 세대 사이를 가로지르며 분산되어 있어, 불길과 연기의 수직 및 수평 이동경로가 되기 쉽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수도, 전기 등의 각종 파이프는 각층의 점검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건물의 벽체나 슬래브에 매설되는 경우가 많아 파이프덕트의 벽에 별도의 방화성능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에어덕트의 방화벽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에어덕트용 칸막이벽(11)은 약 25mm 두께의 석고보드(8)의 양쪽면에 13mm-16mm 두께의 방화석고보드(13)를 부착하여 2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을 유지하며, 그 양 측면의 단부에 C채널 형태의 측면레일(7)을 부착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미장, 도장 및 도배 등과 같은 마감작업을 고려하여 상기 측면레일(7)이 노출되지 않도록 가장 바깥쪽의 방화석고보드(13)를 외부로 노출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 외에도 별도의 내화성능이 필요 없는 파이프덕트와 같은 곳은 C채널 등을 사용한 지지레일(9)을 지주로 이용하고 약 6mm-12mm 두께의 CRC보드(14)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본 고안의 칸막이벽은 세대간 격벽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가 자유롭고 구조성능, 단열성능 및 차음성능이 우수하며, 에어덕트의 방화벽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시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하다.

Claims (4)

  1. 석고보드(8);
    상기 석고보드(8)의 양쪽면에 부착되는 두 개의 방화석고보드(13); 및,
    상기 석고보드(8)와 두 개의 방화석고보드(13)의 양단부를 감싸는 두 개의 측면레일(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용 칸막이벽.
  2. 제1항에서, 상기 석고보드(8)의 두께는 25mm, 상기 방화석고보드(13)두께는 12mm-1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용 칸막이벽.
  3. 제1항에서, 상기 에어덕트용 칸막이벽에 CRC보드(14)와 상기 CRC보드(14)를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레일(9)로 구성된 파이프덕트용 칸막이벽을 더 포함하는 에어덕트와 파이프덕트용 칸막이벽.
  4. 제3항에서, 상기 CRC보드(14)의 두께를 6mm-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덕트용 칸막이벽.
KR2020000005229U 1999-11-10 2000-02-25 칸막이벽 KR200189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229U KR200189586Y1 (ko) 1999-11-10 2000-02-25 칸막이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543U KR200185746Y1 (ko) 1999-11-10 1999-11-10 칸막이벽
KR2020000005229U KR200189586Y1 (ko) 1999-11-10 2000-02-25 칸막이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543U Division KR200185746Y1 (ko) 1999-11-10 1999-11-10 칸막이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586Y1 true KR200189586Y1 (ko) 2000-07-15

Family

ID=195957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543U KR200185746Y1 (ko) 1999-11-10 1999-11-10 칸막이벽
KR2020000005229U KR200189586Y1 (ko) 1999-11-10 2000-02-25 칸막이벽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543U KR200185746Y1 (ko) 1999-11-10 1999-11-10 칸막이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57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746Y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5832A1 (en) A composite sandwich wall panel
US3336709A (en) Prefabricated building panel wall
KR101630744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철골구조 시공방법
RU97147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наружная стена с облицовкой
KR20090003503U (ko) 레실리언트 채널을 이용한 건식벽체
KR200189586Y1 (ko) 칸막이벽
RU2485260C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WO2012074204A2 (ko) 차음 및 단열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와 바닥구조
JP2003171988A (ja) 耐火構造の耐力壁としての外壁および床
CN114867959A (zh) 耐火通风管道以及制造和安装这种通风管道的方法
KR200182709Y1 (ko) 칸막이벽
KR101487693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JP2002097730A (ja) 区画壁の固定構造
RU61742U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тен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точки росы в воздушной прослойке
KR200206059Y1 (ko) 칸막이벽
KR101536475B1 (ko) 세라믹 화이버 블랭킷을 활용한 건식벽체시스템
CN215290966U (zh) 一种新型无机保温墙板
JPS6375236A (ja) 耐火遮音間仕切壁
CN219863509U (zh) 一种房屋隔墙结构
CN211499438U (zh) 一种建筑保温隔音墙板
JPS5876634A (ja) 耐火間仕切壁
JP7331631B2 (ja) 基礎断熱構造
KR20010038067A (ko) 칸막이벽
RU2233521C2 (ru) Огнестойкий кабельный канал,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а также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изготовленная плита для кабельного канала
KR200315015Y1 (ko) 주택용 건식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