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832Y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832Y1
KR200188832Y1 KR2020000001527U KR20000001527U KR200188832Y1 KR 200188832 Y1 KR200188832 Y1 KR 200188832Y1 KR 2020000001527 U KR2020000001527 U KR 2020000001527U KR 20000001527 U KR20000001527 U KR 20000001527U KR 200188832 Y1 KR200188832 Y1 KR 200188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toothbrush
handle
bristle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일
Original Assignee
최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남일 filed Critical 최남일
Priority to KR2020000001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대(10)와 칫솔모체(20)로 구성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대(10)와 칫솔모체(20)를 분리 형성하되, 중심에 축공(12)이 천공되고 그 일측면에는 돌기(14)가 형성된 환형의 돌환부(16)와, 상기 돌환부(16)가 삽입되어 탄성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돌환부(16)측으로 좁아지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그 중심에는 상기 돌환부(16)의 축공(12)과 동심상의 다른 축공(2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돌환부(16)의 돌기(14)가 축공(2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고정홈(24)이 형성된 복수개의 협지편(25)(26)을 상기 손잡이대(10) 혹은 칫솔모체(20)에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축공(12)(22)사이로는 축핀(28)을 삽입한 것으로, 칫솔모체(20)혹은 손잡이대(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14)가 고정홈(24)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칫솔모체(20)와 손잡이대(10)사이의 각도가 조절되어 양치질이 편리하도록 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양치질 하기에 용이하도록 손잡이대와 칫솔모체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대와 칫솔모체의 각도조절구조가 간단하도록 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칫솔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대(2)와 칫솔모체(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틱형 칫솔로써, 대부분의 사람이 양치질할 때 좌·우로 칫솔질을 하게 됨으로서 치아와 치아 사이와 잇몸 사이의 치경부가 손상되어 이가 시리거나 신경을 보호하는 표피가 벗겨지는 등의 질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칫솔질을 할 경우 칫솔모체(4)와 손잡이대(2)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닦는데 많은 불편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대와 칫솔모체를 분리 형성하되, 중심을 관통하는 축핀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순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협지편과 돌환부를 상기 손잡이대와 칫솔모체에 대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칫솔모체와 손잡이대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칫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분리 측면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대 12, 22 : 축공
14 : 돌기 16 : 돌환부
20 : 칫솔모체 24 : 고정홈
25, 26 : 협지편 28 : 축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손잡이대(10)와 칫솔모체(20)를 분리 형성하여, 중심을 관통하는 축핀(28)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일측에는 고정돌기(1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14)가 축핀(28)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순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홈(24)이 형성된 협지편(25)(26)과 돌환부(16)를 상기 손잡이대(10)와 칫솔모체(20)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협지편(25)(26)은 돌환부(16)가 삽입되어 탄성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입구측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칫솔모체(20)와 손잡이대(1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분리 측면도이며,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돌환부를 손잡이대에 형성하고 협지편을 칫솔모체에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중심에 축공(12)이 천공되고 그 일측면에는 돌기(14)가 형성된 환형의 돌환부(16)를 손잡이대(10)에 일체로 형성하고, 칫솔모체(20)의 종단에는 상기 돌환부(16)가 삽입되어 탄성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협지편(25)(26)을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하되, 상기 협지편(25)(26) 사이의 간격이 돌환부(16)측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협지편(25)(26) 중심에는 상기 돌환부(16)의 축공(12)과 동심상의 다른 축공(22)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협지편(25)(26)중 상기 돌환부(16)의 돌기(14)와 대응되는 협지편(25)의 일측면에는 상기 돌환부(16)의 돌기(14)가 축공(1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고정홈(24)을 형성하여, 상기 축공(12)(22)사이로 축핀(28)을 삽입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칫솔모체(20) 혹은 손잡이대(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14)가 고정홈(24)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칫솔모체(20)와 손잡이대(10)사이의 각도가 조절되어 양치질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양치질을 상·하로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도 변환이 간편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나 치석을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경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제거할 수 있어서 잇몸 질환 예방과 올바른 칫솔 방법을 유도할 수 있으며 칫솔의 마모시 일부 교체를 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손잡이대(10)와 칫솔모체(20)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10)와 칫솔모체(20)를 분리형성하여, 중심을 관통하는 축핀(28)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일측에는 고정돌기(1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14)가 축핀(28)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순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홈(24)이 형성된 협지편(25)(26)과 돌환부(16)를 상기 손잡이대(10)와 칫솔모체(20)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협지편(25)(26)은 돌환부(16)가 삽입되어 탄성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입구측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2020000001527U 2000-01-20 2000-01-20 칫솔 KR200188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527U KR200188832Y1 (ko) 2000-01-20 2000-01-20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527U KR200188832Y1 (ko) 2000-01-20 2000-01-20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832Y1 true KR200188832Y1 (ko) 2000-07-15

Family

ID=1963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527U KR200188832Y1 (ko) 2000-01-20 2000-01-20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8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233B1 (en) Toothbrush handle
JPH0344004Y2 (ko)
EP1133247B1 (en) Oral brush
ATE324814T1 (de) Verbesserte zahnbürste
US4763375A (en) Toothbrush
JP2018520743A (ja) 義歯から義歯接着剤を除去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道具を備えた口腔清掃器具
US4519109A (en) Tooth brush
KR200188832Y1 (ko) 칫솔
US20030019062A1 (en) Travel toothbrush
KR102519050B1 (ko) 교체가능한 칫솔모 헤드부를 포함하는 칫솔
KR200429535Y1 (ko) 조립식 칫솔모 유닛을 가진 칫솔
KR200238270Y1 (ko) 잇몸 마사지 겸용 칫솔
KR200317601Y1 (ko) 잇몸마사지기가 내설된 칫솔
JPH083297Y2 (ja) 歯ブラシ
KR200320435Y1 (ko) 헤어브러쉬 손잡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
JP2532744Y2 (ja) 歯ブラシ
KR200378703Y1 (ko) 잔모가 형성되어 있는 칫솔모 구조
KR200221495Y1 (ko) 두피 맛사지용 머리빗
JP3039611U (ja) ブラシ部交換式歯ブラシ
KR200314124Y1 (ko) 칫솔
KR200255517Y1 (ko) 세로칫솔
JP3137829U (ja) 歯間ブラシ
KR20200129577A (ko) 칫솔
KR20180118921A (ko) 회전 칫솔
KR20050026742A (ko) 수동식 회전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