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203Y1 - 곡물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203Y1
KR200188203Y1 KR2020000001941U KR20000001941U KR200188203Y1 KR 200188203 Y1 KR200188203 Y1 KR 200188203Y1 KR 2020000001941 U KR2020000001941 U KR 2020000001941U KR 20000001941 U KR20000001941 U KR 20000001941U KR 200188203 Y1 KR200188203 Y1 KR 200188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hopper
suction
outs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국제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1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2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6Skip or hopper conveyors
    • B65G2812/0609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분사를 이용하여 외부로 부터 곡물을 호퍼내로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토출구를 통하여 이송시키는 곡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곡물의 흡입과 토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검불, 먼지 등 이물질을 소형 송풍기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므로서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정선효율을 현격히 향상시키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시킨 개량형 곡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모터로 구동되는 송풍 팬모터(1), 곡물흡입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부터 흡입된 곡물을 내부로 이송시키는 곡물흡입관(2)과 곡물흡입관(2)으로 부터 이송된 곡물이 통과하는 노즐통(3)과 통과된 곡물을 호퍼(8)내로 배출시키는 곡물이송관(6)이 연통되게 연결된 이송부(5)와 상단이 이송부(5)의 곡물이송관(6)과 연통되고 하단에 곡물토출관(9)이 구비된 호퍼(8)와 연결하고 호퍼(8)의 상단에 공기흡출관(10)(10a)을 연결하여 소형 팬모터(11)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곡물이송장치{GRAIN TRANSFER MACHINE}
본 고안은 공기분사를 이용하여 외부로 부터 곡물을 호퍼내로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토출구를 통하여 이송시키는 곡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곡물의 흡입시에 호퍼내에서 발생하는 검불, 먼지 등 이물질을 공기흡출관을 통하여 소형 송풍기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므로서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정선효율을 현격히 향상시키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시킨 개량형 곡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곡물 이송장치로는 곡물을 흡인하여 흡입호퍼 하방으로 곡물을 낙하시키고 상방으로 공기나 검불, 먼지 등 이물질을 상부로 유도하여 걸름망체에 흡착시키는 구성으로서, 이 경우에는 곡물에 붙은 검불이나 먼지 등이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고 곡물과 같이 낙하 배출되므로서 분진 등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고 검불, 먼지 등 이물질을 재차 분리 제거하여야 하며 일정한 기간이 경과후에는 호퍼의 뚜껑을 열고 걸름망에 붙은 검불 등을 제거해야 하는 등 번거로워 작업상의 비효율성 등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곡물 이송장치에서 발생하는 곡물과 이물질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 장착된 소형 팬모터로 공기배출관을 통하여 검불,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 배출시키므로서 곡물과 이물질의 분리효율을 월등히 향상시켰다.
도 1은 본 고안을 일부 절결하여 요부인 호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곡물이송장치
1:팬모터 2:곡물흡입관 3:노즐통 4:곡물배출구
5:이송부 6:곡물이송관 7:곡물진입구 8:호퍼
9:곡물토출관 10, 10a:공기흡출관 11:소형팬모터
12:관측창 13:곡물흡입구
본 고안의 곡물이송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곡물이송장치는 팬모터(1)로 공기분사를 이용하여 외부로 부터 곡물을 호퍼(8)내로 흡입하고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곡물이송장치(100)에 있어서,
모터로 구동되는 송풍 팬모터(1), 곡물흡입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부터 흡입된 곡물을 내부로 이송시키는 곡물흡입관(2)과 곡물흡입관(2)으로 부터 이송된 곡물이 통과하는 노즐통(3)과 통과된 곡물을 호퍼(8)내로 배출시키는 곡물이송관(6)이 연통되게 연결된 이송부(5)와 상단이 이송부(5)의 곡물이송관(6)과 연통되고 하단에 곡물토출관(9)이 구비된 호퍼(8)와 연결하고 호퍼(8)의 상단에 공기흡출관(10)(10a)을 연결하여 소형 팬모터(11)를 장착한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12는 관측창이다.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 고안의 곡물이송장치는 전원이 통전되어 이송부(5)의 팬모터(1)가 작동하면 사이로나 건조장, 곡물창고 등의 외부로부터 곡물이 곡물흡입관(2)을 통하여 흡입구(13)로 흡입되고 흡입된 곡물은 노즐통(3)을 거쳐서 곡물배출구(4)와 곡물이송관(6) 및 곡물진입구(7)를 통하여 호퍼(8)내로 이동되며 호퍼(8) 내부는 공기를 흡입하므로서 진공화되며 연속 흡입된 곡물은 자중에 의하여 호퍼(5)의 곡물토출관(9)으로 낙하되는데, 이때 호퍼(8)로 벼, 보리 등 곡물과 함께 유입된 검불이나 먼지 등 이물질은 호퍼(8) 상방에 착설된 소형 팬모터(11)가 작동하여 팬모터(11)의 흡인력에 의하여 흡입되어 공기흡출관(10)(10a)으로 공기와 함께 배출되므로서 외부로 부터 이송된 벼, 보리 등 곡물과 함께 붙어온 검불이나 먼지 등 이물질을 완벽히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호퍼(8) 중앙부에는 작동되는 정선현황을 관측할 수 있는 아크릴이나 유리 등의 재질로 된 관측창(12)이 부설되어 작업자가 관찰하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곡물이송장치는 외부로 부터 이송된 벼, 보리 등 곡물과 함께 붙어온 검불이나 먼지 등 이물질을 완벽히 분리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정선작업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어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팬모터(1)로 공기분사를 이용하여 외부로 부터 곡물을 호퍼(8)내로 흡입하고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곡물이송장치(100)에 있어서,
    모터로 구동되는 송풍 팬모터(1), 곡물흡입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부터 흡입된 곡물을 내부로 이송시키는 곡물흡입관(2)과 곡물흡입관(2)으로 부터 이송된 곡물이 통과하는 노즐통(3)과 통과된 곡물을 호퍼(8)내로 배출시키는 곡물이송관(6)이 연통되게 연결된 이송부(5)와 상단이 이송부(5)의 곡물이송관(6)과 연통되고 하단에 곡물토출관(9)이 구비된 호퍼(8)와 연결하고 호퍼(8)의 상단에 공기흡출관(10)(10a)을 연결하여 소형 팬모터(11)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이송장치
KR2020000001941U 2000-01-24 2000-01-24 곡물이송장치 KR200188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941U KR200188203Y1 (ko) 2000-01-24 2000-01-24 곡물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941U KR200188203Y1 (ko) 2000-01-24 2000-01-24 곡물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203Y1 true KR200188203Y1 (ko) 2000-07-15

Family

ID=1963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941U KR200188203Y1 (ko) 2000-01-24 2000-01-24 곡물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2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123B1 (ko) 2007-09-21 2008-06-02 김재덕 곡물 부산물 처리방법 및 장치
WO2016072626A1 (ko) * 2014-11-07 2016-05-12 주식회사 미앤미 공기를 이용한 곡물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123B1 (ko) 2007-09-21 2008-06-02 김재덕 곡물 부산물 처리방법 및 장치
WO2016072626A1 (ko) * 2014-11-07 2016-05-12 주식회사 미앤미 공기를 이용한 곡물 이송장치
US10227185B2 (en) 2014-11-07 2019-03-12 Mi&Mi Co., Ltd. Grain conveying apparatus using 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7195B (zh) 具有吸塵器及基座之系統、吸塵器、基座及清空吸塵器之集塵室之方法
CN102234028A (zh) 一种粉煤灰卸载装置的改良结构
US20070039123A1 (en) Vacuum cleaner
WO2016072626A1 (ko) 공기를 이용한 곡물 이송장치
EP0057690A1 (en) Grain handling apparatus with improved cyclone separator
CN108501114A (zh) 一种能够清洁并分离木屑的带锯机
KR200188203Y1 (ko) 곡물이송장치
US20190388856A1 (en) Vacuum dust extractor
JP3697698B2 (ja) 集塵装置
CN108284488A (zh) 一种带锯机
JP2016153108A (ja) 穀類乾燥調製施設の乾式集塵装置
KR100289803B1 (ko) 진공흡입적재및압송하역차량
CN109924925A (zh) 一种车间真空吸尘系统
KR20070081444A (ko) 파우더 충진장치
CN106120624B (zh) 一种具有扬尘处理装置的电动地面清扫机
CN201409423Y (zh) 气流式茶叶输送装置
CN101242768A (zh) 真空清洁器的排放结构
SE514314C2 (sv) Tömningssystem för en dammsugare
CN220722902U (zh) 一种吸粮机的除尘机构
CN220658237U (zh) 一种环保水性涂料真空吸料装置
CN218191609U (zh) 一种烘干塔入粮地槽除尘系统
KR100834089B1 (ko) 분체 이송장치
JP2540558Y2 (ja) 粉体飛散防止収集装置
CN213881547U (zh) 一种吐司脱模机的碎屑收集系统
CN213162240U (zh) 一种cof覆晶结合前的芯片表面微尘清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