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807Y1 - 수중보 - Google Patents

수중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807Y1
KR200187807Y1 KR2019990022795U KR19990022795U KR200187807Y1 KR 200187807 Y1 KR200187807 Y1 KR 200187807Y1 KR 2019990022795 U KR2019990022795 U KR 2019990022795U KR 19990022795 U KR19990022795 U KR 19990022795U KR 200187807 Y1 KR200187807 Y1 KR 200187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upstream
water
concret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121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00157A/ko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2019990022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8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고안은 하천이나 강을 막아 농업용 또는 공업용 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수중보에 관한 고안인 것이다.
종래의 수중보들은 한결같이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2도 와 같은 형태로 구성한 것이 전부 였으며 또다른 형태로는 철재를 이용하여 개폐식 수중보를 구성한 것이 있으나 설치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수중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압의 힘을 적게 받으면서 수중보로서의 역할을 해줄수 있는 구성을 이용하여 수중보를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수중보는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류로부터 떠내려오는 돌이나 자갈 또는 나무둥치들과 섞여 있는 유입수와 직각으로 저항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보니 대형홍수가 발생하면 수압의 힘에 의하여 수중보가 유실되는 수가 많았던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콘크리트 수중보를 구성 하여 대형홍수에 유실되지 않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콘크리트 수중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초를 구성한후 언체의 형태를 제1도와 같이 유선형으로 구성시켜준 구조이다.
이렇게 구성시켜주게 되면 평소에 상류로 부터 유입되는 유입수가 수중보를 통과 하면서 에프런상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에 물의 분자 구조가 쪼개지면서 산소가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하천에 자연적으로 구성되는 여울목에서 물의 분자구조가 분해되면서 산소가 유입되듯이 본 고안의 수중보를 하천에 설치하여주게 되면 상류로부터 떠내려오는 물이 수중보와 에프런상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낙차에 의해 폭포 현상이 유발되면서 물분자 속의 용존산소량을 중가 시켜줄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모래자갈과 나무둥치들이 수중보에 걸리지 않고 하류로 흡쓸려 내려가므로 인하여 수중보 내부에는 항상 계획된 저수량을 확보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중보{.}
본 고안은 수로에 축조하여 상류쪽에 일정량의 저수량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수중보는 수로의 상류쪽에 항상 일정량의 저수량을 유지시키기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로에 축조된다.
도 3은 종래에 제공된 수중보(1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수로(W)의 바닥에 형성시킨 기초(11) 위에 일정 높이의 언체(12)가 축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언체(12)는 상류쪽 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하류쪽 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중보(10)는, 일정 높이로 축조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류쪽에 일정량의 저수량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언체(12)의 상류쪽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류에서 유입되는 모래, 자갈, 나무는 물론 각종의 오물이 언체(12)의 상류쪽 면에 걸려 상류쪽의 수로바닥에 퇴적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수중보(10)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류쪽의 수심을 낮게 하는것임은 물론 퇴적오니에 의해 상류쪽의 수질을 크게 오염시키는 것이어서 수중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상류쪽에서의 퇴적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하류쪽에서의 수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종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보의 단면도
도 2의 a 내지 d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보에 있어서 폭기돌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수중보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수중보
2. 기초3, 언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수중보는, 수로의 바닥에 기초가 형성되고 이 기초 위에 언체가 형성된 수중보에 있어서, 상기 언체의 상류쪽 면을 상류쪽 바닥에서 하류쪽의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수중보는, 상류쪽에서 유입되는 모래, 자갈, 나무는 물론 각종의 오물이 경사진 언체를 넘어 용이하게 하류쪽으로 이동하므로 상류쪽에서의 퇴적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보(1)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지시부호 2는 수로(W)의 바닥에 형성시킨 기초이고 이 기초(2)는 일정 높이의 언체(3)가 축조되어 있다.
상기 언체(3)는 상류쪽 바닥에서 하류쪽의 상부로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축조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언체(3)와 하류쪽 기초(2) 사이의 경사각을 30∼70°로 한다.
상기 기초(2)의 하류쪽 표면에는 언체(3)를 넘어 낙하하는 물이 충돌하여 폭기현상을 일으키도록 폭기돌기(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폭기돌기(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수중보(1)는 언체(3)가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류쪽에서 유입되는 모래, 자갈, 나무는 물론 각종의 오물이 하류쪽에서 흐르는 물과 함께 경사진 언체(3)를 넘어 용이하게 하류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언체(3)를 넘어 하류쪽으로 낙하하는 물은 폭기돌기(4)에 충돌하여 폭기현상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용존산소량이 증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중보(1)가 수로(W)에 설치된 경우에는 모래, 자갈, 나무는 물론 각종의 오물이 언체(3)를 넘어 용이하게 하류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상류에서의 퇴적현상은 발생되지 않는 것이고 또 하류쪽으로 흐르는 물은 풍부한 용존산소량에 의한 자정작용에 의해 정화되는 것이다.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중보는 언체가 받는 물의 저항이 크게 낮아지는 것이므로 홍수시에도 유실될 우려가 없다.
본 고안에 따른 수중보는 상류쪽에서 유입되는 모래, 자갈, 나무나 각종의 오물이 하류쪽으로 넘어가기에 용이하도록 언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류쪽의 기초위에 언체를 넘어 낙하하는 물에 폭기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폭기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중보는 상류쪽에서의 퇴적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류쪽에서의 수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또 하류쪽으로 흐르는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잇는 것이므로 하류쪽의 수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수로의 바닥에 기초가 형성되고 이 기초 위에 언체가 형성된 수중보에 있어서, 상기 언체(3)의 상류쪽 면을 상류쪽 바닥에서 하류쪽의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보.
  2. 제 1항에 있어서, 하류쪽 기초(2) 위에는 폭기돌기(4)를 형성시켜 언체(3)를 넘어 하류쪽으로 낙하하는 물이 상기 폭기돌기(4)에 충돌하여 폭기현상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보.
KR2019990022795U 1999-09-19 1999-10-18 수중보 KR200187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795U KR200187807Y1 (ko) 1999-09-19 1999-10-18 수중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217A KR20000000157A (ko) 1999-09-19 1999-09-19 수중보
KR2019990022795U KR200187807Y1 (ko) 1999-09-19 1999-10-18 수중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217A Division KR20000000157A (ko) 1999-09-19 1999-09-19 수중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807Y1 true KR200187807Y1 (ko) 2000-07-15

Family

ID=2663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795U KR200187807Y1 (ko) 1999-09-19 1999-10-18 수중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8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718B1 (ko) * 2005-07-01 2007-08-21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718B1 (ko) * 2005-07-01 2007-08-21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644B2 (en) Hydrophilic revetment block having seawater flow por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5174681A (en) Permeable breakwater
CN114232663B (zh) 防治海水入侵和陆源污染的变渗透地下帷幕及其施工方法
KR200187807Y1 (ko) 수중보
JP3483847B2 (ja) 床止め工に傾斜取水スクリーンを設置した河川表流水の取水構造
KR100565953B1 (ko) 자연석을 이용한 하천의 취입보 축조공법
CN108277779A (zh) 一种应用挡土砖制作的生态护坡系统
JP2005220610A (ja) 連流型スリット砂防ダム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KR200341022Y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100424282B1 (ko) 수중보 내측 침전물 자동배출 시스템
KR200340945Y1 (ko) 투수콘 호안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0595961B1 (ko)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10101020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200342387Y1 (ko) 승강이 가능한 고수부지 확보장치
JP3007939B2 (ja) 人工海浜
KR200285792Y1 (ko) 수중 타원 교각
KR200344657Y1 (ko) 하상보호블록
KR200217682Y1 (ko) 하천의 수충부 축조용 호안블록
KR101077623B1 (ko) 하천용 옹벽
KR200262749Y1 (ko) 수중보 내측 침전물 자동배출 시스템
KR200199872Y1 (ko) 친환경 식생호안 블럭
KR200236324Y1 (ko) 조류소통을 위한 방파제 개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