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536Y1 - 헤어아이론 - Google Patents

헤어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536Y1
KR200187536Y1 KR2019990030541U KR19990030541U KR200187536Y1 KR 200187536 Y1 KR200187536 Y1 KR 200187536Y1 KR 2019990030541 U KR2019990030541 U KR 2019990030541U KR 19990030541 U KR19990030541 U KR 19990030541U KR 200187536 Y1 KR200187536 Y1 KR 200187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od
heating
rod portion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이성
Original Assignee
윤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이성 filed Critical 윤이성
Priority to KR2019990030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5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5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서, 모발이 권취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권취면과, 상기 권취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내장된 가열부재를 가지고 상기 권취면에 권취된 모발을 가열하는 가열로드와; 상기 가열로드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권취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권취면에 모발을 고정시키는 모발고정부재와; 상기 가열로드의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열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스파이럴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리브를 가지고 모발을 스파이럴형상으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스파이럴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며 장비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기능의 헤어아이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헤어아이론{HAIR IRON}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을 다양한 스타일로 시술/처리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헤어아이론은, 모발을 접촉 가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열로드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부위에 소망하는 웨이브 또는 컬을 형성하거나, 곱슬머리와 웨이브 또는 컬이 형성된 모발 등을 곧게 펴서 정돈할 수 있도록 한 미용기구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헤어아이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아이론(110)은, 손잡이(111)와, 손잡이(111)의 일측에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둘레면을 따라 모발이 권취되는 로드(113)와, 로드(113)를 가열할 수 있도록 로드(113)의 내부에 매입되는 가열히터(117)와, 로드(113)의 일측에 마련된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로드(113)에 대해 이반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로드(113)와의 사이에 모발을 고정시키는 모발고정부재(119)를 가진다.
손잡이(111)의 타측단부에는 외부로부터 가열히터(11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코드(121)가 연결되어 있으며, 손잡이(111)의 일측에는 가열히터(117)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전원스위치(123)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스위치(123)의 일측에는 가열히터(117)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노브(125)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모발에 컬 또는 웨이브를 형성하고자 할 때는, 모발고정부재(119)의 일단을 가압하여 로드(113)로부터 모발고정부재(119)가 이격되도록 한다. 적절한 분량의 모발을 취해 끝단을 로드(113)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모발고정부재(119)의 가압력을 해소시켜 모발이 로드(113)와 모발고정부재(119)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로드(113) 및 모발고정부재(119)를 손잡이(11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로드(113)의 둘레면을 따라 권취되도록 한다. 이 때, 온도조절노브(125)를 조작하여 모발의 상태에 따라 온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도 2는 종래의 헤어아이론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아이론(130)은, 일측에 마련된 회동축(132)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반가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아암(131a,131b)과, 모발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면하도록 아암(131a,131b)의 상호 접촉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평탄부재(133a,133b)와, 평탄부재(133a,133b)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후에 배치되어 평탄부재를 가열하는 가열히터(135)를 가진다. 회동축(132)에는 이들 아암(131a,1331b)이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컬 또는 웨이브가 형성된 모발 또는 곱슬머리 등의 모발을 곧게 펴고자 할 때는, 먼저 모발을 적절한 분량을 취해 평탄부재(133a,133b)사이에 넣고 모발의 방향을 따라 모근측으로부터 끝부분을 향해 적절한 텐션을 주어 당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헤어아이론들에 있어서는, 소망하는 시술의 형태, 예를 들면, 모발에 컬 또는 웨이브를 형성하고자 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헤어아이론(110)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모발을 곧게 펴서 교정 및/또는 정돈하고자 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헤어아이론(130)을 사용하고, 모발을 나선형으로 되도록 하는 소위 “스파이럴파마”를 하고자 할 때는, 도시 않은 스파이럴파마용 헤어아이론을 별도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고자 할 때는 이들 장비를 모두를 구입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추가됨은 물론이고, 사용 및 보관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컬 또는 웨이브를 하거나 스파이럴 파마 또는 곧게 펴는 소위 “스트레이트파마”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술하게 될 경우, 다른 용도의 헤어아이론은 사실상 방치되므로 헤어아이론의 이용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시술이 가능하여 장비의 이용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복합기능의 헤어아이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헤어아이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헤어아이론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헤어아이론의 제1누름판의 결합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헤어아이론의 저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도 3의 헤어아이론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로드부 11 : 회동축
13 : 제1지지아암부 15 : 제1가열부
17,57 : 미끄럼방지부 18 : 온도조절노브
19 : 제1조작노브 22,42 : 수용부
23,43 : 가열히터 30 : 제2로드부
33 : 제2지지아암부 35 : 제2가열부
41 : 걸림후크 50 : 모발고정부재
53 : 누름판지지부재 54a : 제1누름판
54b : 제2누름판 58 : 누름판수용홈
59 : 제2조작노브 61 : 걸림후크
70 : 스파이럴가이드부재 71 : 원통구간부
72 : 돌출부 73 : 가이드리브
80 : 손잡이캡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모발이 권취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권취면과, 상기 권취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내장된 가열부재를 가지고 상기 권취면에 권취된 모발을 가열하는 가열로드와; 상기 가열로드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권취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권취면에 모발을 고정시키는 모발고정부재와; 상기 가열로드의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열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스파이럴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리브를 가지고 모발을 스파이럴형상으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로드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연장형성되고 상호 접근 및 이반가능한 지지아암부와, 반원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아암부의 자유단부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가열부를 각각 갖는 제1로드부 및 제2로드부와; 상기 제1로드부와 상기 제2로드부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로드부 및 상기 제2로드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와; 상기 제1로드부 및 상기 제2로드부가 상호 대면접촉상태로 고정유지시키는 고정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로드부 및 제2로드부의 각 지지아암부의 가열부측 영역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을 가지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모발고정부재는, 상기 제1로드부 및 상기 제2로드부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연장형성되는 누름판지지부재와; 상기 누름판지지부재의 자유단부영역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1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지지부재의 자유단부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누름판에 비해 작은 길이를 갖는 제2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파이럴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적어도 일측에 원형고리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아암부측에 배치되는 원통구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원통구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아암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요철맞물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헤어아이론의 제1누름판의 결합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헤어아이론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헤어아이론은, 일단에 회동축(11)이 형성된 반원단면형상의 제1로드부(10)와,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제1로드부(10)에 대해 접근 및 이반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로드부(30)와, 제2로드부(30)의 외측에 제2로드부(30)에 대해 접근 및 이반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로드부(30)와의 사이에 개재된 모발을 고정시키는 모발고정부재(50)와, 제1로드부(10) 및 제2로드부(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제1로드부(10) 및 제2로드부(30)의 둘레면을 따라 모발이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스파이럴가이드부재(70)와, 일단에 제1로드부(10)와 제2로드부(30)의 자유단부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두께방향을 따라 축소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손잡이캡(80)을 가진다.
제1로드부(10)는, 회동축(11)으로부터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된 제1지지아암부(13)와, 제1지지아암부(13)의 자유단부영역으로부터 소정 길이구간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열부(15)를 가진다. 제1지지아암부(13)의 자유단부영역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을 가지는 미끄럼방지부(17)가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가열부(15)는, 모발을 곧게 펼 수 있도록 평탄면(16a)과, 컬 또는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도록 둘레면(16b)이 형성된 반원단면형상을 가진다. 제1가열부(15)의 내부에는 평탄면(16a)과 둘레면(16b)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히터(23)가 내장되어 있으며, 회동축(11)영역의 단부에는 가열히터(2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코드(9)가 연결되어 있다. 전원코드(9)에는 모발의 상태에 따라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온도조절노브(18)가 마련되어 있다.
제1로드부(10)의 회동축(11)에는 제2로드부(30)가 제1로드부(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1지지아암부(13)의 온도조절노브(18)와 미끄럼방지부(17)사이영역에는, 제2로드부(30)가 제1로드부(10)와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제1조작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제1조작노브(19)는 제1지지아암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며, 제1조작노브(19)의 배면측에는 제1조작노브(19)의 유동에 대응하여 일체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간을 유동가능한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턱(21)의 주변에는 걸림턱(21)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로드부(30)에는 판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되어 유동공간내에 수용되고 걸림턱(21)의 잠금위치시 걸림턱(21)과 상호 맞물림되어 제2로드부(30)가 제1로드부(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걸림후크(4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로드부(30)는, 제1로드부(10)에 형성된 회동축(11)에 상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로드부(10)로부터 접근 및 이반회동가능한 제2지지아암부(33)와, 제2지지아암부(33)의 자유단부영역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제1로드부(10)의 제1가열부(15)와 상호 협조적으로 원봉형상을 형성하는 제2가열부(35)를 가진다.
제2가열부(35)는 제1가열부(15)와 마찬가지로 평탄면(36a)과 둘레면(36b)이 형성된 반원단면형상을 가지며, 제2가열부(35)의 내부에는 평탄면(36a)과 둘레면(36b)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히터(43)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가열부(15) 및 제2가열부(35)는 세라믹부재로 형성하거나, 금속부재로 형성하고 표면을 소위 테프론(Teflon)으로 알려진 내열성수지로 코팅처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가열부(15) 및 제2가열부(35)의 내부에 내장되는 가열히터(23,43)는 단일체로 구성하거나, 각 가열부(15,35)의 평탄면(16a,36a)과 둘레면(16b,36b)를 각각 가열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하고, 각각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노브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모발고정부재(50)는,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제2로드부(30)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접근 및 이반가능하도록 회동축(11)에 결합되어 있으며, 회동축(11)에는 모발고정부재(50)가 제2로드부(3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모발고정부재(50)는,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누름판지지부재(53)와, 누름판지지부재(53)의 자유단부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가열부(35)와의 사이에 개재된 모발을 고정시키는 제1누름판(55a) 및 제2누름판(55b)을 가진다.
누름판지지부재(53)의 자유단부영역에는 제1지지아암부(13)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에 대응하여 요철단면형상을 가지는 미끄럼방지부(57)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제1누름판(55a) 및 제2누름판(55b)의 일단부를 소정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판수용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제1누름판(55a)은 박판을 호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일측은 누름판수용홈(58)에 일정한 죔새를 가지고 수용결합되며 타단은 제2가열부(35)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절곡됨과 동시에 제2가열부(35)의 표면에 대응하여 호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2누름판(55b)은 제1누름판(55a)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절곡영역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폭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누름판(55a) 및 제2누름판(55b)의 각 모발접촉영역에는 모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시 않은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누름판지지부재(53)의 미끄럼방지부(57)의 일측에는 모발고정부재(50)가 제2로드부(30)에 접근 및 이반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제2조작노브(59)가 형성되어 있다.
제2조작노브(59)는 길이방향을 따라 모발고정부재(50)가 제2로드부(30)에 결합되는 잠금위치와, 이격되는 해제위치간을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누름판지지부재(53)의 배면에는 제2조작노브(59)와 일체로 유동가능하며 제2지지아암부(33)에 함몰형성된 걸림홈(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걸림후크(6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걸림후크(61)는 걸림홈(44)내에 수용되고 제2조작노브(59)의 잠금위치로의 이동시 걸림홈(44)의 연부에 걸림유지되어 모발고정부재(50)가 제2로드부(3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한편, 스파이럴가이드부재(70)는, 제1지지아암부(13) 및 제2지지아암부(33)측에 배치되는 원통구간부(71)와, 원통구간부(71)의 일측에 각 가열부의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스파이럴형상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리브(73)와, 가이드리브(73)의 일측에 가열부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원추형상부(75)를 가진다.
원통구간부(71)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72)가 형성되어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1지지아암부(13) 및 제2지지아암부(33)에는 회전방향에 대해 돌출부(72)와 요철맞물림되어 제1로드부(10) 및 제2로드부(30)에 대해 스파이럴가이드부재(70)가 상대회동하는 것을 억제시키는 수용부(22,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도 3의 헤어아이론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발에 컬 또는 웨이브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드부(10)와 제2로드부(30)가 상호 접촉대면되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제1조작노브(19)를 잠금위치로 하여 이들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 상호 접촉된 제1로드부(10)와 제2로드부(30)의 자유단부영역에 손잡이캡(80)을 결합한다.
제2조작노브(59)를 해제위치로 하면 모발고정부재(50)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제2로드부(30)로부터 이격회동하게 된다. 이 때, 모발을 적절한 분량을 취해 상호 결합하여 원봉형상을 이루는 제1가열부(15) 및 제2가열부(35)의 표면에 모발의 끝부분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모발고정부재(50)를 가압하여 모발을 고정시키고 제2조작노브(59)를 잠금위치에 위치시킨다. 미끄럼방지부를 잡고 모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모발의 뿌리측으로 말아 모발이 가열부의 표면에 수회 권취되도록 한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푼다.
다음, 모발을 곧게 펴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고정부재(50)를 가압하여 제2로드부(30)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제2조작노브(59)를 잠금위치로 하여 모발고정부재(50)가 제2로드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1조작노브(19)를 해제위치로 위치시키면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2로드부(30)는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제1로드부(10)로부터 이격회동하게 된다.
모발을 적당량 취해 제1로드부(10) 및 제2로드부(30)의 각 가열부사이에 개재시킨 후 제1로드부(10)와 제2로드부(30)가 상호 접촉되도록 하여 모발이 적절히 가압되도록 한다. 다음, 모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절히 텐션을 주면서 모발의 끝을 향해 당기면 된다.
한편, 모발에 나선형의 웨이브를 시술하고자 할 때는, 먼저 모발고정부재(50)로부터 제1누름판(55a)을 분리시키고, 제1로드부(10)와 제2로드부(3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조작노브(19)를 잠금위치로 고정시킨다. 다음, 스파이럴가이드부재(70)를 상호 결합된 제1로드부(10) 및 제2로드부(30)의 자유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제1로드부(10) 및 제2로드부(30)의 각 지지아암부(13,33)의 단부에 형성된 수용부(22,42)와 스파이럴가이드부재(7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72)가 상호 요철맞물림되도록 하여 상대회동이 억제되도록 한다.
모발고정부재(50)가 제2로드부(3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제2누름판(55b)을 결합한 다음, 모발을 적당량 취해서 원통구간부(71)에 모발의 끝부분을 위치시킨다.
모발고정부재(50)를 가압하여 제2누름판(55b)과 제2로드부(30)사이에 모발을 고정시킨후 제2조작노브(59)를 잠금위치로 이동시킨다. 미끄럼방지부(17,57)를 잡고 모발이 가이드리브(73)를 따라 권취되도록 회전시킨 후 반대방향으로 풀면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스파이럴가이드부재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스파이럴가이드부재는 상호 다른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로드부 및 제2로드부의 각 가열부의 직경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누름판 및 제2누름판과 스파이럴가이드부재 등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제1로드부 및 제2로드부의 각 가열부의 직경은 헤어스타일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누름판 및 제2누름판과 스파이럴가이드부재도 제1로드부 및 제2로드부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호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모발에 다양한 형상의 컬 또는 웨이브를 형성하거나, 곱슬머리 또는 컬 및 웨이브가 형성된 모발을 곧게 펴서 교정할 수 있는 복합기능의 헤어아이론이 제공된다.

Claims (6)

  1. 모발이 권취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권취면과, 상기 권취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내장된 가열부재를 가지고 상기 권취면에 권취된 모발을 가열하는 가열로드와; 상기 가열로드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권취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권취면에 모발을 고정시키는 모발고정부재와; 상기 가열로드의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열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스파이럴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리브를 가지고 모발을 스파이럴형상으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드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연장형성되고 상호 접근 및 이반가능한 지지아암부와, 반원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아암부의 자유단부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가열부를 각각 갖는 제1로드부 및 제2로드부와; 상기 제1로드부와 상기 제2로드부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로드부 및 상기 제2로드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와; 상기 제1로드부 및 상기 제2로드부가 상호 대면접촉상태로 고정유지시키는 고정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부 및 제2로드부의 각 지지아암부의 가열부측 영역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을 가지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고정부재는, 상기 제1로드부 및 상기 제2로드부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연장형성되는 누름판지지부재와; 상기 누름판지지부재의 자유단부영역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1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지지부재의 자유단부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누름판에 비해 작은 길이를 갖는 제2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적어도 일측에 원형고리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아암부측에 배치되는 원통구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구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아암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요철맞물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KR2019990030541U 1999-12-30 1999-12-30 헤어아이론 KR200187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41U KR200187536Y1 (ko) 1999-12-30 1999-12-30 헤어아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41U KR200187536Y1 (ko) 1999-12-30 1999-12-30 헤어아이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536Y1 true KR200187536Y1 (ko) 2000-07-15

Family

ID=1960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541U KR200187536Y1 (ko) 1999-12-30 1999-12-30 헤어아이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53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910Y1 (ko) * 2000-07-13 2001-01-15 최영범 헤어아이론의 보조 가열기
KR100407533B1 (ko) * 2001-05-09 2003-12-01 이만택 헤어 아이론
KR101391803B1 (ko) 2013-10-28 2014-05-07 박창수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WO2015064860A1 (ko) * 2013-10-28 2015-05-07 박창수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KR101576442B1 (ko) 2014-04-01 2015-12-10 박창수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KR20170003804U (ko) 2016-04-27 2017-11-06 (주)언일전자 회전 가능한 헤어 아이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910Y1 (ko) * 2000-07-13 2001-01-15 최영범 헤어아이론의 보조 가열기
KR100407533B1 (ko) * 2001-05-09 2003-12-01 이만택 헤어 아이론
KR101391803B1 (ko) 2013-10-28 2014-05-07 박창수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WO2015064860A1 (ko) * 2013-10-28 2015-05-07 박창수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KR101576442B1 (ko) 2014-04-01 2015-12-10 박창수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KR20170003804U (ko) 2016-04-27 2017-11-06 (주)언일전자 회전 가능한 헤어 아이론
KR200485064Y1 (ko) * 2016-04-27 2017-11-24 (주)언일전자 회전 가능한 헤어 아이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9702A (en) Heated hair styling system
JP4268754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器具およびヘアスタイリング方法
KR100444821B1 (ko) 두발스타일링용품및스타일링방법
EP2953500B1 (en) Hair care device
JPH04244107A (ja) ヘアアイロン
WO2011021783A2 (ko) 전기 고데기
US6014977A (en) Curling iron with adjustable barrel
US20110259356A1 (en) Hair styling implement
JP2008119471A (ja) 整髪用器具および整髪方法
RU24297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с
KR200187536Y1 (ko) 헤어아이론
WO2005067760A1 (ja) ヘアーアイロン
US20040124188A1 (en) Hair curling iron with concave/convex heating surfaces
JP2021524366A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および毛髪をカールさせる方法
WO2022005803A1 (en) Hair straightening and styling appliance
US11224274B2 (en) Hairstyling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WO1996019926A1 (en) Spherical hair curler and method for using same
JP3229816U (ja) ヘアーカーラー
TW202233090A (zh) 捲髮器
TW202233091A (zh) 捲髮器
KR20130013499A (ko) 고데기
CN113677235A (zh) 多功能美发美容电热器
KR20100110667A (ko) 헤어 아이론
KR20210000744U (ko) 클램프를 구비하는 빗살형 고데기
KR20150086088A (ko) 헤어 고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