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795Y1 -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 Google Patents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795Y1
KR200186795Y1 KR2019990014714U KR19990014714U KR200186795Y1 KR 200186795 Y1 KR200186795 Y1 KR 200186795Y1 KR 2019990014714 U KR2019990014714 U KR 2019990014714U KR 19990014714 U KR19990014714 U KR 19990014714U KR 200186795 Y1 KR200186795 Y1 KR 200186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ir layer
inner container
pa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이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희 filed Critical 이주희
Priority to KR2019990014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뜨거운 내용물을 용기에 수장하더라도 용기의 외부로 뜨거운 열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통상의 종이용기에 있어서, 상기 종이용기는 음식물을 수장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에 절곡편(2, 3')이 형성된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의 가장자리로 형성된 돌출편(1)과 하부에 돌출부(3)를 형성하고 있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에 삽입된 내부용기(20)의 외부면으로 형성되는 공기층(4)을 형성하여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용기가 이중용기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용기에 뜨꺼운 내용물이 수장되더라도 공기층에 의해 외부용기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용기를 잡더라고 화상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Dual paper container with airlayers}
본 고안은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뜨거운 내용물을 용기에 수장하더라도 용기의 외부로 뜨거운 열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용기 즉, 종이컵 등과 같은 용기는 한겹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종이용기의 내부에 뜨거운 내용물을 수장하게 되면 내용물의 뜨거운 열기가 즉시 종이용기로 전달되기 때문에 종이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때 종이용기가 뜨거워서 잡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종이용기에 전달된 뜨거운 온도가 내려갈때 까지 기다렸다 종이용기를 잡고 내용물을 마셔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또 종이용기를 들고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이용기가 뜨거워서 손에 화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종이용기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중의 용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종이용기의 내부에 뜨거운 내용물이 수징되더라도 뜨거운 열기가 용기의 외부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이중 종이용기는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로 형성하여 외부용기에 내부용기를 삽입하여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이중으로 형성된 내부용기에 수장된 뜨거운 내용물의 열기는 내부용기에 전달이 되더라도 공기층이 뜨거운 열기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용기로 전달이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용기에 내부용기가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외부용기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외부용기내의 바닥에 안착되는 깔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외부용기에 내부용기가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2,3'. 절곡편 3. 돌출부 4,40. 공기층 30. 깔판 10,100. 외부용기 20,200. 내부용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종이용기에 있어서, 상기 종이용기는 음식물을 수장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에 절곡편(2, 3')이 형성된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의 가장자리로 형성된 돌출편(1)과 하부에 돌출부(3)를 형성하고 있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에 삽입된 내부용기(20)의 외부면으로 형성되는 공기층(4)을 형성하여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외부용기(10)에 삽입되는 내부용기(20)의 저면에 파도형의 깔판(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이 형성된 이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및 도 4에 나타내는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 종이용기의 구조는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용기(10)는 상부의 가장자리에 절곡편(1)이 형성되어 있고, 또 하부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3)가 형성되어 저면이 바닥에 직접 밀착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 상기 내부용기(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편(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외부용기(10)의 내부로 내부용기(20)를 삽입하게 되면 내부용기의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에 절곡된 절곡편(2)(3')이 외부용기(10)의 내부면과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용기(10)의 내면과 외부용기(20)의 외면사이에는 공기층(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내부용기(20)에 형성된 절곡편(2)(3')은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의 길이로 제작이 되어 외부용기(10)의 내부면과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내부용기(20)의 상부 절곡편(2)은 공기층(4)을 밀폐시키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내부용기(20)에 뜨거운 물등의 내용물을 수장하게 되면 상기 뜨거운 물의 열기가 내부용기(20)의 외주면으로 즉시 전달이 된다. 이 때 내부용기(20)에 전달된 열기는 공기층(4)에 부딪쳐서 열기가 공기층으로 분산됨과 동시에 외부로의 열기를 차단하게 되어 외부용기(10)로 전달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용기(20)의 상부 절곡편(2)도 공기층을 상부에서 밀폐하고 있어 열기가 공기층의 상부로 발산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기(10)의 하부 돌출부(3)는 외부용기(10)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뜨거운 열기가 직접 바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는 도 5의 사용상태도의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그 이중 종이용기의 형태에 있어서 외부용기(100)의 바닥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용기를 사용할때 도 6과 같은 파도형의 깔판(3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외부용기(100)에 내부용기(200)를 삽입하게 되면 내부용기(200)의 하부면이 외부용기(100)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외부용기(100)의 바닥에 삽입된 파도형 깔판(30)은 일정두께를 갖고 그 위로 내부용기(20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부용기(200)의 내부로 뜨거운 내용물을 수장하게 되면 뜨거운 열기가 외부용기(100)의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파도형의 깔판(30)이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 8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종이용기의 형태를 사발형으로 하여 제작한 것으로, 그 종이용기의 형태가 어느 일정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도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200')에 의해서 공기층(40)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용기가 이중용기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용기에 뜨꺼운 내용물이 수장되더라도 공기층에 의해 외부용기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용기를 잡더라도 화상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종이용기에 있어서, 상기 종이용기는 음식물을 수장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에 절곡편(2, 3')이 형성된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의 가장자리로 형성된 돌출편(1)과 하부에 돌출부(3)를 형성하고 있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에 삽입된 내부용기(20)의 외부면으로 형성되는 공기층(4)을 형성하여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10)에 삽입되는 내부용기(20)의 저면에 파도형의 깔판(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KR2019990014714U 1999-03-27 1999-07-22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KR200186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714U KR200186795Y1 (ko) 1999-03-27 1999-07-22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05005 1999-03-27
KR2019990005005 1999-03-27
KR2019990014714U KR200186795Y1 (ko) 1999-03-27 1999-07-22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109A Division KR100722362B1 (ko) 2001-03-27 2001-03-27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795Y1 true KR200186795Y1 (ko) 2000-06-15

Family

ID=2663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714U KR200186795Y1 (ko) 1999-03-27 1999-07-22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7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97B1 (ko) * 2001-09-27 2004-05-28 남기창 용기의 구조
KR20230000368U (ko) 2021-08-11 2023-02-20 김주원 냉온기능을 구현하는 배달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97B1 (ko) * 2001-09-27 2004-05-28 남기창 용기의 구조
KR20230000368U (ko) 2021-08-11 2023-02-20 김주원 냉온기능을 구현하는 배달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1079S1 (en) Polygonal susceptor tray
BR9908909A (pt) Recipiente articulável para alimentos
KR200186795Y1 (ko)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KR100722362B1 (ko)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
USD439969S1 (en) Condom with crisscross ribbing
USD432859S (en) Tab for container lid
KR200236809Y1 (ko) 내외부의 용기로 공기층을 형성한 종이용기
KR200236807Y1 (ko) 외피를 골판지로 형성한 종이용기
KR200236829Y1 (ko) 단열제로 외피를 형성한 종이용기
USD423942S (en) Portion of a bottle
KR200197818Y1 (ko) 인스턴트 식품용 종이용기
KR200170876Y1 (ko) 주전자의 밑판 구조
JP2007075251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KR200230557Y1 (ko) 공간부를 형성한 종이용기
KR200230393Y1 (ko) 식품용2중종이용기
JP2000062825A (ja) 火傷防止蓋
KR200194280Y1 (ko) 인스턴트식품 용기
KR200283338Y1 (ko) 뚝배기
US3687331A (en) Cook ware container cover
ITBO950127U1 (it) Dispositivo per il trasporto e la combustione di legna da ardere
JP3031655U (ja) カレー皿
KR200151202Y1 (ko) 이중주벽 컵
KR200230911Y1 (ko) 열전달방지용 손잡이를 갖는 그릇
JPH0418507Y2 (ko)
KR200142117Y1 (ko) 뚝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