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234Y1 -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234Y1
KR200186234Y1 KR2020000000972U KR20000000972U KR200186234Y1 KR 200186234 Y1 KR200186234 Y1 KR 200186234Y1 KR 2020000000972 U KR2020000000972 U KR 2020000000972U KR 20000000972 U KR20000000972 U KR 20000000972U KR 200186234 Y1 KR200186234 Y1 KR 200186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wire
earphone
mobile phone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블루투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블루투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블루투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000000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의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의 형상 및 모양을 특정한 형상 및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어폰용 전선을 목걸이용 줄로 이용하여 전체가 하나의 장신용 목걸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송수신기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일 만으로 목에 걸었던 와이어의 길이를 고정하여 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송수신기는 핸드폰 본체의 유선 리모트 송수신기용 잭홀(10)에 꽂아 무선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용 베이스(11)와; 상기 무선용 베이스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전자부품을 가진 PCB(26)를 내장하면서 임의의 형상으로 만들어 장신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송수신기(2)와; 상기 PCB(26)의 이어폰용 단자에 이어폰의 끝단을 솔더링의 방법으로 연결 고정하여 상기 송수신기의 밖으로 인출하고, 이어폰이 연결된 타측 끝단을 다시 송수신기(2)의 속으로 통과시켜 폐곡선의 형태로 목걸이 줄이 되도록 연결한 이어폰용 와이어(22);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핸드폰의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핸드폰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송수신기를 장신용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은 핸드폰 본체가 송수신기를 겸하는 일반적인 타입이 대부분이지만, 요즘에는 두 손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선 리모트 송수신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의 유선 리모트 송수신기(a)는 핸드폰(b)의 잭홀에 꽂을 수 있는 잭과, 길게 연장된 와이어(c)와, 와이어의 끝단에 연결 고정된 이어폰(d)과 중단에 연결된 마이크(e), 또는 마이크와 이어폰을 하나의 셋트로 형성한 헤드셋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유선 리모트 송수신기를 사용할 때는 잭을 핸드폰의 잭홀에 꽂은 다음 상기 핸드폰을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는 몸의 주변에 늘어져 있도록 방치한 채 이어폰을 끌어 올려 귀에 꽂고, 마이크를 입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는 대부분 와이어의 길이를 넉넉할 정도로 길게 하기 때문에 때에 따라 처리가 귀찮아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행동을 부자연스럽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출원인은 1999년 특허출원 제 65095호(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를 개발하였다.
상기 선출원 발명의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는 와이어가 핸드폰 본체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활동이 자유스러워지는 장점이 있으나 특별히 장신성을 배려하지 않고 투박한 형태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외장이 미려하지 못하고, 따라서 타인의 시선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미비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의 형상 및 모양을 특정한 형상 및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어폰용 전선을 목걸이용 줄로 이용하여 전체가 하나의 장신용 목걸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송수신에 필요한 송수신기용 스위치를 간단히 조작하는 것 만으로 목에 걸었던 와이어의 길이를 고정하여 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는 핸드폰 본체의 유선 리모트 송수신기용 잭홀에 꽂아 무선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용 베이스와; 상기 무선용 베이스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전자부품을 가진 PCB를 내장하면서 임의의 형상으로 만들어 장신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송수신기와; 상기 PCB의 이어폰용 단자에 이어폰의 끝단을 솔더링의 방법으로 연결 고정하여 상기 송수신기의 밖으로 인출하고, 이어폰이 연결된 타측 끝단을 다시 송수신기의 속으로 통과시켜 폐곡선의 형태로 목걸이 줄이 되도록 연결한 이어폰용 와이어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선 리모트 송수신기를 보인 예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송수신기를 보인 개략도
도 3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통화 대기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통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부재와 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예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본체 2 : 송수신기 11 : 베이스
20 : 와이어 고정수단 21 : 케이스 22 : 와이어
23 : 이어폰 24 : 인출공 25 : 유도통로
26 : PCB 27 : 스위치 28 : 고정부재
29 : 가이드부
도 2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핸드폰의 본체(1)와 무선 리모트 기능을 가진 송수신기(2)로 이루어 지며, 상기의 핸드폰 본체(1)측에는 무선 연결용 부품인 베이스(11)를 잭홀(10)에 꽂아 사용한다.
또, 본 고안의 본체(1)를 유선 리모트 송수신기가 아닌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만을 사용하는 모델로 제작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11)를 본체 내부의 PCB상에 전자 회로적으로 일체화된 상태로 생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2)는 무엇보다도 장신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임의의 형상으로 송수신기 케이스(21)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고안의 케이스(21)는 전면판(21a)과 배면판(21b)을 조립하여 원형이나, 삼각형, 혹은 사각형 내지 6각형, 또 하트모양이나, 타원모양 등 임의의 모양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는 어떠한 모양으로 만들더라도 어느 일측으로 이어폰(23) 와이어(22)용 인출공(24)을 형성하고, 인출된 와이어를 다시 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와이어 유도통로(25)와, 유도통로(25)를 향한 가이드부(29)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한 PCB(26)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와이어 고정수단(20)을 조립한다.
와이어 고정수단(20)은 노브(27a)를 가진 스위치(27)를 PCB(26)에 부착하고, 상기 노브(27a)에 볼부(28a)를 가진 고정부재(28)을 고정한 것이며, 이때의 볼부(28a)는 상기 가이드부(29)속으로 끼워져 유도통로(25)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조립한 것이다.
이어폰용 와이어(22)는 일측 끝단을 PCB(26)의 이어폰용 단자에 이어폰의 끝단을 솔더링의 방법으로 연결 고정하고, 그 타측 끝단을 상기 케이스(21)의 인출공(24)으로 인출하여 다시 와이어 유도통로(25) 속으로 통과시켜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어폰용 와이어(22)는 케이스(21)와 폐곡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와이어 고정수단(20)의 고정부재(28)가 갖는 볼부(28a)에 의해 유도통로(25)속에서 이동될 수 없도록 고정되거나, 이동될 수 있도록 놓여질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는 마이크, 5는 전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폐곡선의 형태를 이루는 이어폰(23)용 와이어(22)를 목에 둘러 송수신기(2)가 앞가슴에 위치하도록 걸고, 핸드폰 본체(1)는 주머니 또는 가방(핸드백 등)에 넣어 휴대한다.
통화 대기 상태일 때는 도 5와 같이 스위치(27)의 노브(27a)가 내려가 있으므로 와이어 고정수단(20)의 볼부(28a)가 와이어(22)를 고정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송수신기의 자중에 의해 이어폰용 와이어(22)가 길게 늘여져 이어폰(23)이 케이스(21)의 윗쪽에 닿을 때까지 내려가 있는 상태가 된다.
전화가 수신되어 통화를 하고자 할 때는 먼저, 이어폰(23)을 당겨 올려 귀에 꽂고 스위치(27)의 노브(27a)를 밀어 올려 송수신기의 전원을 ON시킨다.
스위치(27)가 ON되었기 때문에 핸드폰 본체(1)와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따라서 이어폰(23)으로 수신하고, 내부의 마이크(4)로써 송신을 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송수신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듯이 상측으로 이동된 노브(27a)에 의해 와이어 고정수단(20)의 고정부재(28)도 같이 상승하며, 고정부재(28)의 볼부(28a)가 케이스(21)의 와이어 유도통로(25) 속을 통과하고 있는 와이어(22)를 눌러 주게 되므로 송수신기(2)는 자중이 작용하더라도 밑으로 처져 내려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통화할 수 있다.
통화가 끝나면 스위치(27)의 노브(27a)를 밑으로 내리고, 이어폰(23)을 귀에서 뺀 다음 놓는다.
스위치(27)의 노브(27a)가 내려가면, 와이어 고정수단(20)의 고정부재(28)가 갖는 볼부(28a)가 내려가 와이어(22)를 누르지 않고 놓게 되므로 송수신기(2)는 자중에 의해 밑으로 쳐지고, 이어폰(23)이 송수신기의 케이스(21) 상면에 닿게 되었을 때, 사용자의 가슴 위치까지 처지므로 다시 장신구의 역할로 돌아가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케이스(21)의 와이어용 인출공(24)과 유도통로(25)는 케이스의 형상 모양에 따라 다른 위치로 바꿀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이드부(29)의 방향과 스위치(27) 노브(27a)의 조작 방향을 다른 방향(예컨데 수평방향이나, 대각선방향 등)으로 바꾸어 형성할 수도 있고, 와이어 고정수단(20)도 와이어를 눌러줄 수 있는 또 다른 구조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용 카셋트(6)의 이어폰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도 무선 연결용 베이스(63)는 카셋트의 잭홀(61)에 꽂아 그대로 사용하며, 단지 송수신기의 마이크를 테이프 조작용 버튼(62)들로 대체하면 이어폰(67)이 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주머니나 가방속의 휴대용 카셋트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시 스위치(64)의 노브(64a)를 조작하여 목걸이 줄 역할을 하는 와이어(65)의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는 전화 통화를 하고자 할 때 와이어를 당겨 이어폰을 귀에 꽂으면 가슴쪽에 위치하던 케이스가 자동적으로 당겨 올라와 마이크부분이 입 근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상태가 우수해 지고,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이 자유로워지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전화 통화를 하지 않는 평상시에 이어폰용 와이어를 목걸이줄로, 송수신기부분을 목걸이로 하여 장신용구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핸드폰 본체의 유선 리모트 송수신기용 잭홀(10)에 꽂아 무선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용 베이스(11)와;
    상기 무선용 베이스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전자부품을 가진 PCB(26)를 내장하면서 임의의 형상으로 만들어 장신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송수신기(2)와;
    상기 PCB(26)에 일측 끝단을 연결 고정하여 상기 송수신기의 밖으로 인출하고, 이어폰이 연결된 타측 끝단을 다시 송수신기(2)의 속으로 통과시켜 폐곡선의 형태로 목걸이 줄이 되도록 연결한 이어폰용 와이어(22);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송수신기(2)는 어느 일측으로 형성한 와이어(22)용 인출공(24)과, 인출된 와이어를 다시 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와이어 유도통로(25)와, 유도통로를 향해 형성된 가이드부(29)를 가지도록 전면판(21a)과 배면판(21b)으로써 케이스(21)를 형성하고, 상기 PCB(26)에 고정된 스위치(27)에 와이어 고정수단(20)을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와이어 고정수단(20)은 PCB(26)에 고정된 스위치(27)의 노브(27a)와, 상기 노브에 조립하여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한 고정부재(28)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연장된 채 상기 가이드부(29)의 속에 위치한 볼부(28a)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와이어(22)는 일측단을 PCB(26)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1)의 인출공(24)으로 인출하고, 그 중단이 상기 유도통로(25)속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끼워 상기한 와이어 단속수단(20)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KR2020000000972U 2000-01-14 2000-01-14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KR200186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72U KR200186234Y1 (ko) 2000-01-14 2000-01-14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72U KR200186234Y1 (ko) 2000-01-14 2000-01-14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234Y1 true KR200186234Y1 (ko) 2000-06-15

Family

ID=1963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972U KR200186234Y1 (ko) 2000-01-14 2000-01-14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2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54711A2 (en) Hands-free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34134A1 (en) Hands-Free Cell Phone Jewelry
KR200186234Y1 (ko) 핸드폰용 무선 리모트 송수신기
US7640042B2 (en) Buckle phone
CN205539964U (zh) 一种智能手表
JP3484529B2 (ja) 通話装置およびイヤホン
KR20010107385A (ko) 착탈식 목걸이형 송수신장치
KR200201902Y1 (ko) 휴대 전화기용 목걸이
KR200262903Y1 (ko) 무선 이어폰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KR200316494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목걸이 줄 길이조절장치
KR200181929Y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100963289B1 (ko) 마이크 돌출 설치형 무선 이어셋
KR20020024908A (ko) 마이크/이어폰 겸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456386Y1 (ko) 블루투스 핸즈프리
KR100739472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200233046Y1 (ko) 핸드프리 이어폰이 부착된 휴대폰용 목걸이
JP3068856U (ja) 携帯電話機ハンドフリ―装置
KR200180375Y1 (ko) 펜던트형 핸즈 프리
KR200233019Y1 (ko)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KR200225438Y1 (ko)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
KR200201159Y1 (ko) 핸드폰의 핸즈프리 기능을 가진 모자
KR200295033Y1 (ko) 전화기의 송,수화 교환장치
ES1048258U (es) Prenda con cable de comunicacion incorporado
KR200244997Y1 (ko) 이동기지국용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