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33Y1 -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33Y1
KR200186133Y1 KR2020000003059U KR20000003059U KR200186133Y1 KR 200186133 Y1 KR200186133 Y1 KR 200186133Y1 KR 2020000003059 U KR2020000003059 U KR 2020000003059U KR 20000003059 U KR20000003059 U KR 20000003059U KR 200186133 Y1 KR200186133 Y1 KR 200186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y
horizontal support
cap
hollow
mad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Priority to KR2020000003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수평받침의 외측 둘레에 고정밴드들 및 가변날개들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내에 손쉽게 정위치되도록 설치하여서 채움콘크리트의 채움작업을 균일하고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와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그 중공부 내에 수평하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원주크기를 가지는 수평받침(110)과, 상기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일연체로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각각 걸고리구멍(121)을 가지는 복수개의 고정밴드(120)들과, 상기 고정밴드(120)들 사이의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향 절첩되는 수개의 가변날개(130)들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A Hollow Blocking Cap for a Precast Concrete Pipe in a Constructing Site}
본고안은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내에 손쉽게 정위치되도록 설치하여서 채움콘크리트의 채움작업을 균일하고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에 관한 것이다.
기성콘크리트 말뚝은 지중에 관입 설치하여서 지상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층에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이전부터 기성콘크리트 말뚝공사에서 그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를 막아주기 위한 수단으로 중공부막이캡을 사용하여 왔다.
종래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10)은 도1의 도시와 같이,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접시형상으로서 둘레면에 경사지는 경사테두리(11a)를 가지는 받침판(11)과, 상기 받침판(11)의 경사테두리(11a)의 등간격마다 구멍을 뚫어서 길게 연결시킨 복수의 고정철선(12)들로서 구성되었다.
이러한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10)을 이용하여 기성콘크리트 말뚝(20)과 지상구조물의 기초바닥(50)을 일체로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a의 도시와 같이 해당위치의 지중에 관입된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상단부를 예정된 기초바닥(50)의 저면으로부터 대략5cm 정도 위로 돌출시키고 기성콘크리트 말뚝(20) 단면내에 매립된 강선(22)을 대략 30cm 정도의 길이로서 노출되게 준비한 상태에서, 그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측에 중공부막이캡(10)의 받침판(11)이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면서 고정철선(12)들을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강선(22)에 결박하여서 설치한다.
이후에, 도2b 및 도2c의 도시와 같이 터파기 된 바닥면에 버림콘크리트(30)를 타설할 때에 중공부막이캡(10)이 설치된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측에 채움콘크리트(40)를 채워서 제위치에서 경화되도록 하고, 다시 지상구조물의 기초바닥(50)을 설치할 때 타설되는 미경화콘크리트를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측의 채움콘크리트(40) 위에 확보된 빈공간에 채워서 일체가 되도록 시공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10)은 지중에 관입된 기성콘크리트 말뚝(20) 내에 설치하여서, 기초바닥(50)을 설치할 때에 타설되는 미경화콘크리트가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함몰됨이 없이 충진되어서 일체화되도록 하는 데 유용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10)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첫째는 고정철선(12)들을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강선(22)에 결박할 때마다 길이가 달라져서 받침판(11)이 매번 다른 높이로 설치되기 때문에, 기성콘크리트 말뚝(20) 내에 채워진 채움콘크리트(40)의 두께 차이가 발생하여서 시공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는 작업자가 고정철선(12)들을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상단부에 노출된 강선(22)에 일일이 결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고정철선(12)의 길이를 동일하게 맞추어 결박하여야 하는 까다로운 작업여건으로 인하여 작업량 및 작업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는 중공부막이캡(10)의 받침판(11)은 형상 및 치수가 제작시에 결정되어서 융통성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원심성형되어서 제작상 오차가 있는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내에 받침판(11)을 억지로 끼워서 설치할 때에 많은량의 채움콘크리트(40)가 빠져서 낙하되는 정도의 커다란 틈새가 발생되어서, 채움콘크리트(40)의 채움작업을 수행하는 데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첫째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내에 균일한 두께로 채움콘크리트를 충진할 수 있게 하여서 시공품질을 확보하여 주며, 둘째 기성콘크리트 말뚝 내에 중공부막이캡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작업여건을 개선시켜 주며, 셋째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내에 채움콘크리트의 채움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하여서 시공성을 향상시켜 주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중공부막이캡의 사시도
도2a, 2b, 2c는 종래 중공부막이캡을 이용하여 기성콘크리트 말뚝과 기초바닥을 일체로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는 본고안 중공부막이캡의 저면사시도
도4는 본고안 중공부막이캡의 일측면도
도5는 본고안 중공부막이캡의 요부발췌도
도6은 본고안 중공부막이캡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중공부막이캡 110: 수평받침 111: 원호형 보강리브
112: 방사형 보강리브 113: 다각형 보강리브 120: 고정밴드
121: 걸고리구멍 122: 충진구멍 130: 가변날개
131: 꺽임홈 132: 절개부
본고안의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100)은 도3 및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와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그 중공부 내에 수평하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원주크기를 가지는 수평받침(110)과, 상기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일연체로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각각 걸고리구멍(121)을 가지는 복수개의 고정밴드(120)들과, 상기 고정밴드(120)들 사이의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향 절첩되는 수개의 가변날개(130)들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본고안의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100)은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에 고정밴드(120)들 및 가변날개(130)들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손쉽게 정위치되도록 설치하여서 채움콘크리트(40)의 채움작업을 균일하고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첫째 고정밴드(120)로 걸어서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수평받침(110)을 항시 동일한 높이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성콘크리트 말뚝(20) 내에 채움콘크리트(40)를 매번 일정한 두께로 채워서 시공상의 균일성을 보장하여 주며, 둘째 작업자가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강선(22)에 걸고리식으로 고정밴드(120)들을 간편하게 걸어서 수평받침(110)을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공부막이캡(100)을 설치하는 데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작업량 및 작업시간을 감축시켜 주며, 셋째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가변날개(130)들이 제작상 오차가 있는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의 형상 및 치수에 맞추어 융통성있게 밀착되어서 채움콘크리트(40)가 빠져서 낙하될 정도의 커다란 틈새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채움콘크리트(40)의 채움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받침(110)은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끼워져서 채움콘크리트(40)를 정위치에 떠받쳐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평받침(110)은 소정의 단면두께와 원주크기를 가지는 원판체의 형상으로서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충진된 채움콘크리트(40)의 하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받침(110)의 저면에는 그 수평받침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복수의 원호형 보강리브(111)들을 형성하여 두고, 그 원호형 보강리브들의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방사형 보강리브(112)들을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수평받침(1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원호형 및 방사형 보강리브(111)(112)들로서 그 수평받침(110) 자체의 구조적강도 및 굽힘강도를 증대시켜서 채움콘크리트(40)의 하중에 대한 감당능력을 더욱 향상시켜 주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받침(110) 저면의 외측에 상기 고정밴드(120) 및 가변날개(130)들과 연하는 둘레면을 따라 방사형 보강리브(112)들과 일직선으로 연이어서 된 다각형 보강리브(113)를 형성할 수 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다각형 보강리브(113)는 상기 수평받침(110)과 고정밴드(120) 및 가변날개(130)들이 연결되는 경계부위를 보강하여 주는 동시에, 그 고정밴드(120) 및 가변날개(130)들이 자연스럽게 절첩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고정밴드(120)들은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끼워지는 수평받침(110)을 정위치에 매달아서 지탱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고정밴드(120)들은 각각 상기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서 일연체로서 길게 연장되며 장방형의 걸고리구멍(121)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120)들은 걸고리구멍(121)을 통하여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상단부에 노출된 강선(22)에 걸고리식으로 걸어주기만 하면,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수평받침(110)이 정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채움콘크리트(40)를 항시 일정한 두께로 충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120)들은 상기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로부터 그 각각의 걸고리구멍(121)들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고정밴드(120)들이 채움콘크리트(40)를 떠받치는 수평받침(110)을 더욱 견실하게 지탱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밴드(120)들은 그 각각의 걸고리구멍(121)들 안쪽에 위치되도록 길게 뚫어지는 충진구멍(122)을 가져서,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에 채워지는 채움콘크리트(40)가 상기 고정밴드(120)의 충진구멍(122)에 채워져서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가변날개(130)들은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에 맞추어 융통성있게 밀착되어서 채움콘크리트(40)를 효과적으로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변날개(130)들은 상기 고정밴드(120)들 사이의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에 상향 절첩되도록 형성되어서,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형상 및 치수에 맞추어 융통성있게 밀착되기 때문에, 채움콘크리트(40)가 빠져서 낙하될 정도의 틈새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변날개(130)들은 도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수평받침(110)의 저면에 형성된 다각형 보강리브(113)와의 경계면에 꺽임홈(131)을 두고 연이어지도록 형성하여서, 그 각각의 가변날개(130)들이 꺽임홈(131)을 통하여 유연하게 상향 절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가변날개(130)들은 도3 및 도6의 도시와 같이, 그 가변날개들 각각의 외측단 중간부에 소정의 길이로서 트여지는 절개부(132)를 형성하여서,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 내면에 더욱 융통성있게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고안의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100)을 이용하여 기성콘크리트 말뚝(20)과 지상구조물의 기초바닥(50)을 일체로 시공하는 과정은 종래의 기술에서 밝힌 바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의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은 수평받침의 외측 둘레에 고정밴드들 및 가변날개들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중공부 내에 손쉽게 정위치되도록 설치하여서 채움콘크리트의 채움작업을 균일하고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기성콘크리트 말뚝(20)의 중공부(21)와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그 중공부 내에 수평하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원주크기를 가지는 수평받침(110)과, 상기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일연체로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각각 걸고리구멍(121)을 가지는 복수개의 고정밴드(120)들과, 상기 고정밴드(120)들 사이의 수평받침(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향 절첩되는 수개의 가변날개(130)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받침(110)의 저면에는 그 수평받침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복수의 원호형 보강리브(111)들을 형성하여 두고, 그 원호형 보강리브들의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방사형 보강리브(112)들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받침(110) 저면의 외측에 상기 고정밴드(120) 및 가변날개(130)들과 연하는 둘레면을 따라 방사형 보강리브(112)들과 일직선으로 연이어서 된 다각형 보강리브(113)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120)들은 그 각각의 걸고리구멍(121)들 안쪽에 위치되도록 길게 뚫어지는 충진구멍(122)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날개(130)들은 상기 수평받침(110)의 저면에 형성된 다각형 보강리브(113)와의 경계면에 꺽임홈(131)을 두고 연이어지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날개(130)들은 그 가변날개들 각각의 외측단 중간부에 소정의 길이로서 트여지는 절개부(132)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KR2020000003059U 2000-02-03 2000-02-03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KR200186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059U KR200186133Y1 (ko) 2000-02-03 2000-02-03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059U KR200186133Y1 (ko) 2000-02-03 2000-02-03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133Y1 true KR200186133Y1 (ko) 2000-06-15

Family

ID=1964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059U KR200186133Y1 (ko) 2000-02-03 2000-02-03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751B1 (ko) * 2000-10-16 2003-06-25 배정효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100491404B1 (ko) * 2002-08-27 2005-05-2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공교각의 중공부 차폐용 가설부재 및 그 가설방법
KR102676185B1 (ko) * 2021-04-06 2024-06-17 성병준 중공 슬래브용 앤드 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751B1 (ko) * 2000-10-16 2003-06-25 배정효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100491404B1 (ko) * 2002-08-27 2005-05-2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공교각의 중공부 차폐용 가설부재 및 그 가설방법
KR102676185B1 (ko) * 2021-04-06 2024-06-17 성병준 중공 슬래브용 앤드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116B2 (ja) 特に風車のための基礎及び風車
JP6204593B2 (ja) 風力発電装置およびその基礎
JP5328910B2 (ja) タワーを組み立てる方法及びタワー
FI3918136T3 (fi) Yksipilariperustus
CN215669649U (zh) 风电塔筒基础和风电塔
JP5416622B2 (ja) 杭頭引張定着筋の施工方法
US20180112371A1 (en) Wind Turbine Foundation
KR101082519B1 (ko) 콘크리트 파일
KR101326676B1 (ko) 콘크리트 속채움식 강관파일 두부보강방법
KR100870865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KR200186133Y1 (ko) 건설현장의 기성콘크리트 말뚝용 중공부막이캡
EP3290692B1 (en) Wind-turbine tower, wind turbine, and method of assembling wind-turbine tower
KR20090040021A (ko) 중공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용 캡
EP4079970A1 (en) Concrete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tower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KR200432120Y1 (ko) 파일보강캡
KR10107273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JP2001059219A (ja) 埋込み杭
KR20160005669A (ko) 내하력 분산형 파일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구축공법
JP6866980B2 (ja) 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KR20090117440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0148062B1 (ko) 기성말뚝근입용 케이싱오거 및 그를 이용한 기성말뚝의 시공방법
KR200398417Y1 (ko) 파일캡
JP7309237B2 (ja) ライナープレート及びライナープレートの連結方法
KR200285545Y1 (ko) 기초공사용 파일캡
US4355927A (en) Piling structure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