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985Y1 -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985Y1
KR200185985Y1 KR2019980005560U KR19980005560U KR200185985Y1 KR 200185985 Y1 KR200185985 Y1 KR 200185985Y1 KR 2019980005560 U KR2019980005560 U KR 2019980005560U KR 19980005560 U KR19980005560 U KR 19980005560U KR 200185985 Y1 KR200185985 Y1 KR 200185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refighter
resistor
capacitor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984U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주식회사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주식회사산청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2019980005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985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9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관의 소방헬멧 내부에 송신 및 수신기를 부착하고 별도의 푸쉬 투 토크(Push-TO-Talk)를 무전기에 연결설치하여 소방관의 몸체 장착함으로써 화재나 사고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공기호흡기의 면체를 벗지않고 간단한 작동으로 지휘본부와의 긴밀한 통신이 이루어지고 사고현장의 소방관들끼리도 의사소통이 원활히 할 수 있어 구조작업을 하는 소방관의 안전을 도모할 뿐 아니라 양손으로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본 고안은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관의 몸체에 소방헬멧, 송수신장치 및 공기호흡기가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화재나 사고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지휘본부와의 긴밀한 통신이 이루어지고 현장의 소방관들끼리도 의사소통이 원활히 할 수 있어 소방관의 안전을 도모할 뿐 아니라 양손으로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화재 및 안전사고가 대형화 추세로 가고 있어 많은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구조활동 및 방재활동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소방관이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장치인 무전기를 한손으로 들고 조작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작업을 양손으로 행하지 못하여 효율적인 구조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경황이 없는 사고현장에서 소방관 및 구조대원의 자기책임하에 관리되는 고가장비인 무전기의 분실이 우려되는 부담감으로 구조작업 및 방재작업을 하는데 많은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전기는 화재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공기호흡기 면체를 착용하고 구조작업을 하는데 있어 지휘본부 및 동료소방관과의 통신할 경우 송수신이 불가능하여 면체를 벗어 송수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화재현장에서 다른 인명의 구조작업을 하는 소방관이 오히려 연기 및 유독가스에 질식하는 피해가 속출하였다.
따라서, 무전기를 한손에 잡고 통신하거나 구조작업을 하는 것은 효율적인 구조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많은 인명을 구조해햐 되는 소방관이나 구조대원이 오히려 무전기의 사용상 불편 때문에 또 다른 사고가 유발되는 문제가 항상 내포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제반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기 위해 연구개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소방관의 소방헬멧 내부에 송신 및 수신기를 부착하고 별도의 푸쉬 투 토크(Push-To-Talk : 이하 PTT라함)를 무전기에 연결설치하여 소방관의 몸체에 장착함으로써 화재나 사고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공기호흡기의 면체를 벗지 않고 간단한 작동으로 지휘본부와의 긴밀한 통신이 이루어지고 사고현장의 소방관들끼리도 의사소통이 원활히 할 수 있어 구조작업을 하는 소방관의 안전을 도모할 뿐 아니라 양손으로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을 나타내기 위한 외형도,
도 3은 본 고안을 소방관이 장착했을때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PTT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5는 PTT의 헤드셋트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송수신장치 2 : 소방관
3 : 압축공기탱크 4 : 공기호흡기의 면체
10 : 헬멧 11 : 수신스피커
12 : 무지향성 송신마이크 20 : 무전 송수신기
30 : PTT(Push-To-Talk) 40 : 지휘본부 송수신기
50 :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와 외형도로써, 화재 및 구조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 헬멧(10)의 좌,우측단 내부에는 외부에서 통신되어지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스피커(11)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헬메(10)의 전면 내측에는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로 통신할 수 있도록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수신스피커(11)와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가 외부의 송신 및 수신이 원활히 운용할 수 있도록 무선 송수신기(20)가 구비되고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하는 소방관이 상기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를 이용하여 상기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로 통화내용을 송신할 수 있게 스위치작용을 하고 상기 소방관의 몸체 일부분에 장착되어지도록 하는 PTT(30)로 구성되어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1)가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을 소방관이 장착했을때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써, 압축공기탱크(3)와 공기호흡기 면체(4) 및 헬멧(10)을 착용하여 화재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2)이 운영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장치(1)는 상기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에 통화내용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소방관(2)의 헬멧(10)내에 2개의 수신스피커(11)와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수신스피커(11)와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의 운영을 원활히 행할 수 있도록 무전송수신기(20)가 상기 압축공기탱크(3)의 외측부분에 장착되어지며, 상기 소방관(2)이 외부로 통화내용을 송신할 수 있게 스위치작용을 하는 PTT(30)를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하는데 피해주지 않은 소방관의 몸체 일부분에 안착시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PTT(30)는 상기 소방관이 송신할 경우에는 PTT의 누름판을 눌러 온시켜 작동하게 되고 수신할 경우에는 오프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PTT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로써,
상기 PTT(30)는 연결콘넥터(32)의 입력단 일측에 절환스위치(SW1)와 마이크잭(33)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마이크로스위치(SW2)와 스피커잭(34)이 연결되어지며 상기 연결콘넥터(32)의 출력단 일측에는 헤드셋트부(35)와 스피커(11)가 각각 연결접속되어진다.
도 5는 PTT의 헤드셋트부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써,
상기 연결콘넥터(3)의 출력 +단에는 저항(R1)이 접속되고 상기 출력단 +단과 -단 사이에는 콘덴서(C1)가 접속되어지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2)과 콘덴서(C2,C3)가 연결되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에는 전해콘덴서(C5)와 저항(R5)이 병렬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과 컬렉터단 사이에는 저항(R3,R4)과 콘덴서(C4)가 병렬 연결되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에는 콘덴서(C6)와 저항(R6), 가변저항(VR) 및 저항(R7)이 직렬접속되며 상기 가변저항(VR)에는 콘덴서(7)가 접속되어지고, 전원(B+)단에는 저항(R8)과 전해콘덴서(C8)가 직렬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 사이에는 콘덴서(10), 전해콘덴서(C11)와 저항(R12)가 병렬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과 컬렉터단 사이에는 저항(R10)과 콘덴서(C9)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에는 저항(R9,R11)이 각각 직렬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 및 구조작업에 투입되는 소방관(2)이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에 통화내용을 송신출력할 경우에는 상기 소방관(2)의 몸체에 안착되어있는 PTT(30)의 누름판을 눌러 온시켜 출력하면 헬멧(10)에 설치된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가 온되어지고 상기 무전송수신기(20)의 송신기가 작동되어져 통화내용이 외부로 송신되어진다.
또한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같은 구조 및 방재작업에 투입되어있는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로 부터 통화내용이 수신출력되어질 경우에는 상기 PTT(30)가 오프상태에서 상기 무전 송수신기(20)의 수신기를 통해 소방관의 헬멧(10)의 2개의 수신스피커(11)로 통화내용이 수신되어져 작동하게 된다.
상기 PTT(30)의 마이크잭(33)을 온작동하고 절환스위치(SW1)이 온되었을시에 연결콘넥터(32)의 입력단에 임력되어져 타측의 출력단에 있는 헤드셋트부(35)로 출력하여 소방관(2)의 육성이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에 송신하게 되고 상기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에서 송신되어진 통화내용을 상기 소방관(2)이 수신하기 위해서는 스피커잭(34)이 접점되어지고 마이크로스위치(SW2)가 온되어져 상기 연결콘넥터(32)의 입력단에 입력하여 상기 연결콘넥터(3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진 스피커(11)에 수신되어져 소방관(2)이 통화내용을 듣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통신을 무전 송신하기 위해서는 같은 주파수대역에서 이루어짐은 주지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헬멧 내부에 수신스피커가 부착되어있어 양쪽 귀로 자동수신이 되므로 화재 및 구조작업을 하는 현장에서도 또렷한 수신이 가능하고 지하3층에서 지상10층가지도 송수신 감도가 우수한 효과를 갖으며, 소방헬멧, 송수신장치 및 공기호흡기의 3가지 제품을 하나로 세트화시킬수가 있어 긴급출동시 착용시간을 최소화하여 신속, 정확한 구조가 이루어지고 소방헬멧에 수신스피커 및 무지향성 송신마이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별도의 이어폰(Ear Phone)이나 음성전달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더욱 간소화하고 편리한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소방관의 등지게부분에 무선 송수신장치를 장착하고 이에 따른 PTT를 구비함으로써 무선 송수신장치의 분실우려가 없고 소방관이 양손으로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화재 및 구조작업에서 소방관이 통신을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무전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전 송수신장치(1)는 화재 및 구조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 헬멧(10)의 좌,우측단 내부에는 외부에서 통신되어지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스피커(11)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헬멧(10)의 전며 내측에는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로 통신할 수 있도록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수신스피커(11)와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가 외부의 송신 및 수신이 원활히 운용할 수 있도록 무선송수신기(20)가 구비되고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하는 소방관이 상기 무지향성 송신마이크(12)를 이용하여 상기 지휘본부 송수신기(40)와 동료소방관 송수신장치(50)로 통화내용을 송신할 수 있게 스위치 작용을 하고 상기 소방관의 몸체 일부분에 장착되어지도록 하는 PTT(3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30)에는 연결콘넥터(32)의 입력단 일측에 절환스위치(SW1)와 마이크잭(33)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마이크로스위치(SW2)와 스피커잭(34)이 연결되어지며 상기 연결콘넥터(32)의 출력단 일측에는 헤드셋트부(35)와 스피커(11)가 각각 연결 접속되어지고, 상기 헤드셋트부(35)는 상기 연결콘넥터(3)의 출력 +단에 저항(R1)이 접속되고 상기 출력단 +단과 -단 사이에는 콘덴서(C1)가 접속되어지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2)과 콘덴서(C2,C3)가 연결되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에는 전해콘덴서(C5)와 저항(R5)이 병렬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과 컬렉터단 사이에는 저항(R3,R4)과 콘덴서(C4)가 병렬 연결되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에는 콘덴서(C6)와 저항(R6), 가변저항(VR) 저항(R7)이 직렬접속되며 상기 가변저항(VR)에는 콘덴서(C7)가 접속되어지고, 전원(B+)단에는 저항(R8)과 전해콘덴서(C8)가 직렬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 사이에는 콘덴서(C10), 전해콘덴서(C11)와 저항(R12)가 병렬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과 컬렉터단 사이에는 저항(R10)과 콘덴서(C9)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에는 저항(R9,R11)이 각각 직렬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19980005560U 1998-04-09 1998-04-09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185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60U KR200185985Y1 (ko) 1998-04-09 1998-04-09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60U KR200185985Y1 (ko) 1998-04-09 1998-04-09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84U KR19980031984U (ko) 1998-08-17
KR200185985Y1 true KR200185985Y1 (ko) 2000-07-01

Family

ID=1953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560U KR200185985Y1 (ko) 1998-04-09 1998-04-09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9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91B1 (ko) 2006-05-24 2007-04-2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미터파 수동영상시스템을 갖춘 소방관용 영상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360B1 (ko) * 2001-07-02 2003-06-25 김경주 소방관용 경보회로
KR100788886B1 (ko) * 2006-11-09 2007-12-27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와이맥스 및 와이파이 전송기술을 이용한 공공안전재난구조 통신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45941Y1 (ko) * 2009-02-13 2009-09-10 배석동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91B1 (ko) 2006-05-24 2007-04-2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미터파 수동영상시스템을 갖춘 소방관용 영상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84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5241C (en) Combination head-protective helmet with local and remote voice triggered communication system
US449169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hostile environments
US5404577A (en) Combination head-protective helmet &amp; communications system
US7818036B2 (en) Techniques for wirelessly controlling push-to-talk operation of half-duplex wireless device
US7818037B2 (en) Techniques for wirelessly controlling push-to-talk operation of half-duplex wireless device
US20050064915A1 (en) Wireless headset for communications device
US20070049360A1 (en) Cell phone interface to personal protection device
US20090052714A1 (en) High noise immunity emergency resonder communication system
US20030224838A1 (en) Mask communication system
KR200185985Y1 (ko)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290419Y1 (ko)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공기 호흡기
KR200288245Y1 (ko) 영상송신 및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가부착된 헬멧
KR200290420Y1 (ko)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방독면
KR200254302Y1 (ko) 송,수신 헬멧
CN201114001Y (zh) 特种防护人员对外联系的无线小型扩音器
JPH0492542A (ja) 携帯式電話器
KR20110041605A (ko) 비상탈출 무선송수신장치
KR20220005729A (ko)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CA2525609C (en) Speaker unit for a communication system
KR200380046Y1 (ko) 무전기 장착용 무선 피티티 버튼 제어 송, 수신기
EP3726851A1 (en) Remote speaker microphone unit for use with headset
US2023033689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neck microphone
KR200250539Y1 (ko) 무선 송수신 장치가 내장된 헬멧
JPH10191433A (ja) 携帯電話機ハンドフリー装置
KR200380049Y1 (ko) 무선 피티티 버튼 제어 수신기를 내장한 이어 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