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789Y1 -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 Google Patents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789Y1
KR200185789Y1 KR2019990029171U KR19990029171U KR200185789Y1 KR 200185789 Y1 KR200185789 Y1 KR 200185789Y1 KR 2019990029171 U KR2019990029171 U KR 2019990029171U KR 19990029171 U KR19990029171 U KR 19990029171U KR 200185789 Y1 KR200185789 Y1 KR 200185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resin
resin
reinforcing material
reinforcement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관옥
Original Assignee
윤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관옥 filed Critical 윤관옥
Priority to KR2019990029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82Forcing wires, nets or the like partially or completely into the surface of an article, e.g. by cutting and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2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 B29C70/021Combinations of fibrous reinforcement and non-fibrous material
    • B29C70/023Combinations of fibrous reinforcement and non-fibrous material with reinforc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포수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공사시 또는 가정에서 단열, 흡음, 완충 등을 위해 건축내,외벽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제품 포장재로 사용되는 발포수지의 내부에 격자모양의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삽입하므로서, 어떤 충격에도 견딜 수 있고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성형되는 발포수지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10)의 내부에 격자모양의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되는 보강재(11)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The foamed resin inserted the reinforce}
본 고안은 발포수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공사시 또는 가정에서 단열, 흡음, 완충 등을 위해 건축내,외벽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제품 포장재로 사용되는 발포수지의 내부에 격자모양의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삽입하므로서, 어떤 충격에도 견딜 수 있고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플 폼이라 칭하여지는 발포수지는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성형가공이 용이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흡음 및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건축공사시 또는 제품 포장시에 단열재 또는 완충재, 포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발포수지는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흡음 및 단열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그 강도가 매우 약하여 사용시 또는 운반시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서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여 그 사용이 불편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발포수지를 건축공사시 건물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로 사용하였을 경우, 먼저 사각형의 큰 판자형태로 성형제작되는 발포수지를 사용용도에 맞는 크기로 다수 절단한 다음, 건물 내,외벽이나 바닥면에 위치시켜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키고 그 외면을 모르타르 등으로 마감처리하여 사용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발포수지를 부착하는 부착과정 또는 모르타르를 이용한 마감공정에서 발포수지의 단부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였으며, 이로인해 결합되는 발포수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건물내,외벽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는 발포수지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새사이로 열손실이 발생하여 단열효과가 떨어지게 되었으며, 또 그 틈새에 의해 흡음 및 차음효과 또한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이와 같은 틈새때문에 마감작업으로 모르타르를 도포할 때 모르타르의 균일한 도포가 불가능하였으며, 사용도중 그 틈새부분이 쉽게 꺼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하자보수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이에따라 추가비용이 소요되게 되었다.
또한, 상기 발포수지를 제품 포장을 위한 포장재나 완충재로 사용할 경우, 제품운반시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흔들림으로부터 포장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박스 내면에 사용되게 되는 데, 이 또한 포장재 또는 완충재로 사용되는 발포수지가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므로서, 외부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는 완충재 본연의 임무를 다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경우 파손부위 등에서 제품외관에 흠집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심한 경우에는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정도의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취급시 주의를 요하는 전자제품의 경우 약간의 충격에도 내부회로에 이상이 발생되게 되므로 그 문제점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건축공사시 단열, 흡음, 완충 등을 위해 건축내,외벽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제품 포장재로 사용되는 발포수지의 내부에 격자모양의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삽입하므로서, 어떤 충격에도 견딜 수 있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제조를 보인 공정도로서,
도 1a는 발포수지의 성형제조시 보강재 삽입을 보인 공정도이고,
도 1b는 기 제조된 발포수지의 외면에서 보강재의 삽입을 보인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포수지 11 ; 보강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성형되는 발포수지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의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형성하되, 상기 보강재는 격자모양의 금속망 등을 가열하여 삽입하거나, 발포수지의 성형시 부직포 등의 섬유재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즉, 발포수지의 내부에 격자모양의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삽입하므로서, 어떤 충격에도 견딜 수 있고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포수지를 제조를 보인 공정도로서,
도 1a는 발포수지의 성형제조시 보강재 삽입을 보인 공정도이고,
도 1b는 기 제조된 발포수지의 외면에서 보강재의 삽입을 보인 공정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발포수지는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성형되는 발포수지(10)의 내부에 보강재(11)를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발포수지(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포수지(10)의 성형과정에서 보강재(11)를 삽입하는 방법과,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 제조된 발포수지(10)에 보강재(11)를 삽입하는 방법의 2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발포수지(10)의 성형과정에서 보강재(11)를 삽입하는 방법으로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발포수지(10)의 성형과정에서 미리 제조된 보강재(11)를 발포실(12)내에 미리 설치한 다음, 발포실(12)에 형성된 주입구(13)를 통해 액상의 발포수지액을 주입하여 성형하게 되면, 보강재(11)가 삽입된 발포수지(1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발포수지(10)내에 삽입되는 보강재(11)로는 발포실에 미리 설치할 수 있도록 성형가공이 용이하며, 보강재(11)가 삽입된 발포수지(10)의 절단사용이 가능토록 가는 금속망의 사용이 바람직하나, 때에 따라서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보강재(11)로 사용되는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의 형상은 결속력의 증대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격자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 제조된 발포수지(10')에 보강재(11)를 삽입하는 방법으로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보강재(11)를 구비하여 그 보강재(11)를 별도의 가열원을 이용하여 가열한 다음, 가열된 보강재(11)를 기 제조된 발포수지(10')의 상부 또는, 하부의 외면에서 강제로 삽입하게 되면, 가열된 보강재(11)의 열에 의해 발포수지(10)의 접촉면이 녹으면서 보강재(11)가 기 제조된 발포수지(10')내로 삽입되게 되고, 상기 작용으로 보강재(11)가 삽입된 발포수지(10)의 삽입부분에는 발포수지(10) 자체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원 상태대로 복원되면서 그 삽입부분이 서로 접합되게 되어 발포수지(10)내에 보강재(11)의 삽입이 완료된다.
이때, 사용되는 보강재(11)로는 기 제조된 발포수지(10')의 외부에서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가열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열에 견딜수 있는 금속재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금속망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11)로 사용되는 금속망의 형상은 결속력의 증대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격자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10)를 건축공사시 건물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로 사용할 경우, 발포수지(10)를 건물 내,외벽이나 바닥면에 위치시켜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키고 그 외면을 모르타르 등으로 마감처리하여 사용하게 될 때, 발포수지(10) 내부에 삽입된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강재(11)에 의하여 발포수지(10)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므로서, 모르타르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흡음효과 및 차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손에 따른 틈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틈새 부분의 하자보수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10)를 제품운반시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흔들림으로부터 포장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재나 완충재로 사용할 경우, 발포수지(10) 내부에 삽입된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강재(11)에 의하여 발포수지(10)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므로서, 제품 적재시 또는 운반시 제품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제품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발포수지의 내부에 격자모양의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삽입하므로서, 어떤 충격에도 견딜 수 있고 쉽게 파손되지 않아 건축공사에 사용시 단열효과 또는 흡음 및 차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제품포장에 사용시 제품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제품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성형되는 발포수지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10)의 내부에 보강재(11)를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1)는 금속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1)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망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로 되는 상기 보강재(11)는 격자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KR2019990029171U 1999-12-22 1999-12-22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KR200185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71U KR200185789Y1 (ko) 1999-12-22 1999-12-22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71U KR200185789Y1 (ko) 1999-12-22 1999-12-22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789Y1 true KR200185789Y1 (ko) 2000-06-15

Family

ID=1960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171U KR200185789Y1 (ko) 1999-12-22 1999-12-22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78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86B1 (ko) 2004-12-21 2007-09-18 김원대 욕실용 바닥방수판
KR101043501B1 (ko) 2009-07-29 2011-06-23 최기영 완충재
KR101788364B1 (ko) * 2014-10-30 2017-10-23 이재동 발포수지를 이용한 초경량 고강도 파렛트
KR20210133408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아이벤 바닥 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86B1 (ko) 2004-12-21 2007-09-18 김원대 욕실용 바닥방수판
KR101043501B1 (ko) 2009-07-29 2011-06-23 최기영 완충재
KR101788364B1 (ko) * 2014-10-30 2017-10-23 이재동 발포수지를 이용한 초경량 고강도 파렛트
KR20210133408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아이벤 바닥 매트
KR102371392B1 (ko) * 2020-04-29 2022-03-07 주식회사아이벤 바닥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9345B2 (ja) 建築用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645974B1 (ko) 진공단열재 내장 복합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85789Y1 (ko) 보강재가 삽입된 발포수지
KR20160043874A (ko)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0873B1 (ko)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KR20110008397U (ko) 평판표시장치용 포장도구
KR102089956B1 (ko) 복층유리 제조방법
ITMI962221A1 (it) Corpo coibentato per esempio con poliuretano espanso o similare quale un armadio frigorifero presentante una pluralita' di vani
KR20000012738A (ko) 엠보싱가공된 발포수지의 제조방법
JP2013217093A (ja) 断熱パネル
KR101846305B1 (ko) 에어 단열 건축자재
JP5410891B2 (ja) 建築用ガラスブロック集合体及びガラスブロック組込壁面構造
KR101094503B1 (ko) 소음방지부재
KR102037732B1 (ko) 단열 컨테이너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2833B1 (ko) 경량 허니컴 패널
KR20170000436A (ko) 에어셀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패널
KR101158614B1 (ko) 경량 패널의 보강재
KR100738682B1 (ko) 바닥 시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42404B1 (ko) 강도보강용 섬유시트를 이용한 기능성 복합소재 보강 진공단열패널 제조방법
CN219491363U (zh) 一种模塑聚苯板贴合的真空板
KR20100086667A (ko)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JPH05148986A (ja) 床 材
KR200403459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EP3375583A1 (en) Masonry building element provided with intermediate panel made of thermally insulated and sound absorbing material
KR100747698B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건물 벽체용 발포플라스틱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