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959Y1 -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 Google Patents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959Y1
KR200184959Y1 KR2020000001780U KR20000001780U KR200184959Y1 KR 200184959 Y1 KR200184959 Y1 KR 200184959Y1 KR 2020000001780 U KR2020000001780 U KR 2020000001780U KR 20000001780 U KR20000001780 U KR 20000001780U KR 200184959 Y1 KR200184959 Y1 KR 200184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tents
extruded
body portion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균
임상훈
Original Assignee
임병균
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균, 임상훈 filed Critical 임병균
Priority to KR2020000001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9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된 튜브 내에서 그 튜브의 내표면을 긁어주면서 내용물을 압출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튜브의 내표면에 잔존하는 내용물까지 완벽하게 인출하여서 아깝게 낭비됨을 방지하여 주며,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눌러서 내용물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튜브(200)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체의 단면형상으로서 그 튜브 내표면에 밀착되는 압출몸통부(110)와, 상기 압출몸통부(110)로부터 전후면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튜브(20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누름작용력을 받아서 상기 압출몸통부(110)를 떠밀어주는 누름추진부(120)와, 상기 압출몸통부(110)로부터 상기 누름추진부(120) 양측의 경계면을 따라 확개되어서 상기 압출몸통부(110)가 접촉된 튜브(200)의 직하부를 점진적으로 납짝하게 벌려주는 양측의 날개부(13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An Extruding Device for the Contents in a Tube}
본고안은 내용물을 수용한 튜브에 내장되어서 그 튜브 내에 내용물이 잔재됨이 없이 압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치약과 같이 겔상의 내용물이 담긴 튜브는 손으로 직접 눌러짜서 인출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나, 튜브 내에 적은량의 내용물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튜브를 손으로 눌러짜서 내용물을 남김없이 인출하기가 대단히 어렵고 번거로워서 대부분이 사용을 포기하고 그대로 폐기시켜서 낭비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물이 담긴 튜브와 관련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번호 제91-3143호(1991.5.13)에는 도1a의 도시와 같이, '4방 모서리가 만곡된 평판상 합성수지 판체(1)의 일측변부 내측에 공지 치약튜우브(10)의 압착말단부(11)가 끼워질 수 있는 직선형 삽입공(2)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2)을 내측면부가 상호 대향되는 원호상 접촉면(2a)(2a')을 갖게하고, 그 삽입공(2)의 타측부에는 손잡이부(3)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치약짜개가 선출원공고되어 있다.
즉, 이 치약짜개는 소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삽입공(2)을 손잡이부(3)의 일측에 형성하여서 된 구조로서, 그 삽입공(2)에 치약튜우브(10)의 압착말단부(11)를 끼워넣고 치약튜우브(10)를 압착시킨 상태로 훑어서, 치약튜우브(10)으로부터 치약을 허실없이 짜낼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치액짜개는 도1b의 도시와 같이, 치약튜우브(10)를 외부에서 눌러짜주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치약짜개의 삽입공(2)에 치약튜우브(10)를 끼워서 훑어낼 때에, 치약튜우브(10)의 내표면에는 미처 떠밀려서 인출되지 못한 치약이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약짜개는 삽입공(2)에 치약튜우브(10)의 압착말단부(11)를 끼워넣어 당길 때에 극심한 마찰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쪽 손은 치약튜우브(10)의 압착말단부(11)를 파지하고 다른 손은 치약짜개의 손잡이부(3)를 파지한 후에, 무리한 힘을 주어서 당겨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된 튜브 내에서 그 튜브의 내표면을 긁어주면서 내용물을 압출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튜브 내에 내용물이 잔존함이 없이 완벽하게 인출하여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튜브로부터 내용물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서 사용상의 편익을 제고하여 주는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종래 치약짜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1b는 종래 치약짜개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고안 압출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고안 압출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a는 본고안 압출구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4b는 본고안 압출구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5는 본고안 변형실시예에 따른 압출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고안 변형실시예에 따른 압출구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7은 본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구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압출구 110: 압출몸통부
111: 밀착편 112: 대접단부
113: 끼움홈부 114: 패킹
112a: 경사면 112b: 돌기
120: 누름추진부 130: 양측의 날개부
본고안의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100)는 도2 및 도3의 도시와 같이, 튜브(200)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체의 단면형상으로서 그 튜브 내표면에 밀착되는 압출몸통부(110)와, 상기 압출몸통부(110)로부터 전후면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튜브(20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누름작용력을 받아서 상기 압출몸통부(110)를 떠밀어주는 누름추진부(120)와, 상기 압출몸통부(110)로부터 상기 누름추진부(120) 양측의 경계면을 따라 확개되어서 상기 압출몸통부(110)가 접촉된 튜브(200)의 직하부를 점진적으로 납짝하게 벌려주는 양측의 날개부(130)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고안의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100)는 도4a 및 도4b의 도시와 같이 튜브(200)에 내장되어서, 그 튜브(200)의 내표면에 압출몸통부(110)가 밀착된 상태에서 튜브(20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누름작용력을 받게 되는 누름추진부(120)에 의하여 전진하면서 내용물을 압출시켜 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첫째 튜브(200)의 내표면에 압출몸통부(110)가 밀착되어 내용물이 잔재됨이 없이 긁어서 압출시켜 주기 때문에, 내용물이 잔존하는 튜브(200)를 그대로 버려서 아깝게 낭비됨을 방지하여 주며, 둘째 튜브(200)의 외측에서 누름추진부(120)를 자연스럽게 눌러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몸통부(110)는 상기 튜브(200) 내에 담긴 내용물을 떠밀어서 압출시켜 주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이 압출몸통부(110)는 상기 튜브(200)의 내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직경크기를 가지는 원통체로서 하단부 둘레에 밀착편(111)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압출몸통부(110)의 밀착편(111)이 튜브(200)의 내표면에 밀착되어서 내용물을 더욱 확실히 긁어줄 수 있게 하여서, 튜브(200)의 내표면에 내용물이 잔존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5의 변형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압출몸통부(110)는 그 상부에 튜브(200) 상단의 인출부(210)에 상응하는 원추형상으로서 경사면(112a)을 이루면서 중앙에 돌기(112b)가 돌출된 대접단부(112)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이는, 도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압출몸통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대접단부(112)가 튜브(200) 상단의 인출부(210)에 밀착되면서 그 인출부(210)에 잔존하게 되는 내용물까지 남김없이 압출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누름추진부(120)는 튜브(200) 외측에서 가해지는 누름작용력으로서 상기 압출몸통부(110)를 전진시키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이 누름추진부(120)는 상기 압출몸통부(110) 하부에 전후면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서, 상기 튜브(200) 외측에서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파지하여서 누르는 힘으로서 그 튜브(200)내에서 미끄러지면서 상기 압출몸통부(110)를 전진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양측의 날개부(130)는 상기 압출몸통부(110)로부터 상기 누름추진부(120) 양측의 경계면을 따라 확개 형성되어서, 내용물을 압출시킬 때에 방향키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압출몸통부(110)를 튜브(200) 내표면에 밀착시켜 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양측의 날개부(130)는 상기 압출몸통부(110)가 접촉된 튜브(200) 직하부를 납짝하게 벌리려는 작용력을 발휘함에 따라, 내용물을 압출시킬 때에 튜브(200)내에서 방향을 잃고 임의로 회전되려는 압출구(100)를 지탱하여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압출몸통부(110)가 접촉된 튜브(200)의 직하부를 벌려주면 그 압출몸통부가 접촉된 지점의 튜브(200)는 반작용으로 오므려져서 내표면에 상기 압출몸통부(110)가 항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7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압출몸통부(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부(113)에 환상형의 패킹(114)을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상기 압출몸통부(110)의 패킹(114)이 튜브(200)의 내표면에 밀착되어서 내용물을 더욱 확실하게 긁어주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된 튜브 내에서 그 튜브의 내표면을 긁어주면서 내용물을 압출시켜 줌으로써, 튜브의 내표면에 잔존하는 내용물까지 완벽하게 인출하여서 아깝게 낭비됨을 방지하여 주며,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눌러서 손쉽게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튜브(200)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체의 단면형상으로서 그 튜브 내표면에 밀착되는 압출몸통부(110)와, 상기 압출몸통부(110)로부터 전후면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튜브(20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누름작용력을 받아서 상기 압출몸통부(110)를 떠밀어주는 누름추진부(120)와, 상기 압출몸통부(110)로부터 상기 누름추진부(120) 양측의 경계면을 따라 확개되어서 상기 압출몸통부(110)가 접촉된 튜브(200)의 직하부를 점진적으로 납짝하게 벌려주는 양측의 날개부(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몸통부(110)는 상기 튜브(200)의 내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직경크기를 가지는 원통체로서 하단부 둘레에 밀착편(111)이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몸통부(110)는 그 상부에 튜브(200) 상단의 인출부(210)에 상응하는 원추형상으로서 경사면(112a)을 이루면서 중앙에 돌기(112b)가 돌출된 대접단부(112)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몸통부(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부(113)에 환상형의 패킹(114)을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KR2020000001780U 2000-01-22 2000-01-22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KR200184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80U KR200184959Y1 (ko) 2000-01-22 2000-01-22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80U KR200184959Y1 (ko) 2000-01-22 2000-01-22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959Y1 true KR200184959Y1 (ko) 2000-06-01

Family

ID=1963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780U KR200184959Y1 (ko) 2000-01-22 2000-01-22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9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6726A1 (de) Zahnbürste mit Zahnbürstenkörper und Zahnpastabehälter
KR100699521B1 (ko)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KR200184959Y1 (ko) 내용물이 담긴 튜브용 압출구
KR200448627Y1 (ko) 치약압출장치
KR100959387B1 (ko)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200349690Y1 (ko) 튜브 압출장치
CN201942088U (zh) 一种改良的牙膏管
KR200495657Y1 (ko) 치약튜브 압착장치
JP3067692U (ja) カラ―ペン
CN210392187U (zh) 膏体挤出装置
CN2374128Y (zh) 牙膏容器
KR890001808Y1 (ko) 치약 압출구
KR101238853B1 (ko) 절약형 봉지
JP3004657U (ja) 柄付き洗浄具
KR200220368Y1 (ko) 치약 압출기
CN211269087U (zh) 带牙膏的牙刷
CN218790744U (zh) 新型皮带
CN215923087U (zh) 一种免于浪费的环保牙膏管
CN211033582U (zh) 一种挤牙膏装置
CN217548550U (zh) 婴儿开塞露瓶
KR850001343Y1 (ko) 치약을 내장하는 치솔
KR20000020231U (ko) 치약 압출구
CN201164165Y (zh) 一种能推挤牙膏的牙刷
KR940006417Y1 (ko) 샤프펜의 심 압출장치
KR910003143Y1 (ko) 치약짜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